[간호학]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감염의 정의
2. 감염회로
1) 병원성 미생물
2) 저장소
3) 출구
4) 전파방법
5) 침입구
6) 감수성이 있는 숙주
3. 감염단계
1) 잠복기
2) 전구기
3) 발병기
4) 회복기

Ⅲ. 결론

Ⅳ. 국가고시 예상문제

V.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순포진 제 1형, A형간염, B형간 염 바이러스임.
③ 진균 : 주로 입이나 피부, 결장, 생식기관에 존재하며 아구창이나 피부염을 유발하는 칸디다 알비칸스 등이 있음.
2) 저장소 : 미생물의 주거지임.
균이 생활하고 증식하기 위하여 영양분, 물, 산소, 온도 등이 있어야 함.
① 사람 : 환자 및 보균자는 강한 병원체를 체내에 보유함.
보균자인 경우 질병의 증상은 보이지 않으나 체내에 병원균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사람이나 동물에게 그 균은 전파시킬 수 있음. ② 동물, 식물, 곤충 및 무생물
③ 음식물
④ 토양 : 예를 들어 가스괴저와 파상풍의 원인이 되는 유기체는 저장소가 토양임.
3) 출구 : 저장소로부터 병원체가 탈출하는 곳
① 호흡기계 : 사람이 재채기, 기침, 호흡, 말할 때 입이나 코를 통해서 병원균이 밖으로 나옴. 기관지 절개 환자나 기관지 내관을 꽂은 환자는 미생물이 호흡기계 로 탈출함.
② 위장관계 : 병원균은 대변, 토물 또는 담낭 배설물 같은 배출액을 통하여 배출됨.
입-침, 구토물/항문, 스토마-대변/비위관-배액물
③ 비뇨기계 : 비뇨기계는 정상적으로 무균상태임.
주로 요도나 인공요로를 통해서 균이 침입하고 비뇨기계에 감염이 있는 환 자의 소변으로 배출함.
④ 생식기계 : 여자인 경우는 질, 남자인 경우는 요도를 통해서 배출됨.
⑤ 혈액 : 혈액은 균을 갖고 있지 않지만 균의 저장소가 되기도 함.
주사바늘을 찌를 때 균의 탈출구를 제공할 수도 있음.
⑥ 피부 및 점막 : 신체조직은 균의 저장소가 됨.
4) 전파방법
① 접촉감염
직접접촉 : 감염된 사람과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이 직접 신체적 접촉을 하므로 전파 됨.
예) 드레싱을 교환하거나 환자 목욕, 마사지 등으로 직접 접촉할 때.
간접접촉 : 감염된 물체와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이 접촉되므로 전파됨.
예) 주사바늘, 변기, 식기, 간호사 손이 감염원이 될 수 있음.
비말접촉 :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혹은 말할 때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의 입 이나 코 혹은 결막에 병원체를 포함한 객담이나 타액을 분산하여 이것을 흡입할 때 감염됨.
② 내적전파 : 사람의 체내에서 전파되는 방법
예) 폐의 결핵이 신장이나 뇌막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되는 것.
③ 공기전파 : 비말액이 공기를 타고 운반된 뒤에 감염될 때.
예) 결핵, 감기, 인플루엔자 등.
④ 매체전파 : 운반체 또는 중개물
예) 오염된 식수나 식품은 콜레라, 장티푸스, 전염성 간염과 같은 질병의 원 인임.
⑤ 매개체전파 : 저장소에서 새 숙주로 병원균을 옮기는 동물
예) 모기- 뇌염바이러스
5) 침입구 : 병원미생물의 대부분은 외부로부터 적당한 침입구를 통해서 생체 내에 침입함.
미생물의 침입은 그들의 탈출구와 거의 동일한 경로를 이용함.
① 피부감염 : 피부 또는 점막이 병원체와 접촉함으로써 접촉감염을 일으키는 형식
② 기도감염 : 병원체를 함유한 공기 또는 환자의 객담 비말 등을 흡입함으로써 기도를 통하여 감염되는 경우임.
③ 경구감염 : 위장관계 감염에 있어서는 병원체가 대변 때로는 소변 중에 배설되어 싱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