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식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식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 동기 및 목적

Ⅱ.본론
2.북한의 시대별 식생활
3.북한 식량배급의 특징
4.북한의 지역별 식생활
5.북한의 행사 음식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홍어를 이용한다.
4.개성
-특색: 가장 호화롭고 다양하다. 따라서 공이 많이 들고 재료가 많이 필요하다. 간은 서울과 비슷하다.
-개성의 대표음식
(1)개성 편수
밀가루 반죽을 둥근 모양으로 얇게 밀어 만든 만두피에 다져서 양념한 쇠고기, 돼지고기, 으깬 두부, 삶은 숙주, 배추 김치 등을 새우젓과 고춧가루, 참기름, 소금으로 양념하여 만든 소를 넣고 만두피를 맞붙인 다음 양쪽 귀를 모아 아기모자처럼 볼록한 모양으로 빚은 후 삶아 낸 것이다.
(2)우메기
찹쌀가루와 밀가루를 막걸리로 되직하게 반죽하여 빚어서 기름에 튀겨낸 떡이다. 개성 지방에서는 약과와 모약과 등과 함께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나 잔칫상, 폐백, 이바지음식 등에 빠지지 않고 사용한다.
(3)개성무찜
돼지고기와 쇠고기, 닭고기를 손질하여 양념장(간장, 설탕, 다진 파ㆍ마늘, 생강즙,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에 재워 물을 부어 익히다가 국물이 반쯤 줄었을 때 납작하게 썰어 소금물에 살짝 데친 무와 밤, 대추를 넣고 끓인 것이다.
5.북한의 행사 음식
1.북한의 명절 음식
북한은 명절 또는 국가 기념일에 주로 민족 음식(전래음식)을 많이 먹는다. 그리고 전래음식을 보급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TV방송을 프로그램에서 요리시간을 편성하였다. 설날에는 김일성 동상에 찾아가 충성을 맹세하고 김일성, 김정일 초상화 앞에서 다시 충성을 맹세한다. 설날 특별음식은 돼지고기국 이라고 한다. 그러나 명절음식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는 가정이 대다수이고, 명절날 하지 못한 작업은 다음 일요일에 정상 근무를 통해 보충한다. 또한 김일성, 김정일 생일과 국제 노동자절 같은 사회주의 명절을 더 중시한다.
2.북한의 생일과 외식문화
북한에서도 생일이나 회갑 등의 풍습은 잘 지켜지고 있다. 북한에서의 생일은 주로 양력으로 생일을 챙기고 떡이나 쌀밥 한 끼를 먹는다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 아이들의 돌잔치는 탁아소에서 공동으로 치러진다. 당에서 주는 생일상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하사품은 당 고위 간부 또는 각 분야에서 모범 호칭을 받은 사람에게 지급한다. 하사품은 주로 옷감 또는 와이셔츠라고 한다. 또한 회갑 잔치는 제한되다가 최근에 와서 이를 묵인하고 있다.
Ⅲ.결론
북한의 시대별로 달라진 배급 형식을 알아봄으로써 사회주의 체제 아래에서 다양하게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식량배급의 특징을 살펴보면 개인의 식성과 기호에 의한 식생활은 생각도 하지 못할 상황이며 개인 소비의 절대량마저 재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북한의 식생활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개혁 개방 정책을 도입하는 해결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식생활을 비교 분석 하면서 그 지역의 지리적, 기후적 특성을 파악 할 수 있게 되고 그로인해 북한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명절음식과 생일음식을 조사하여 북한의 전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질감을 줄여나갈 수 있다.
Ⅳ.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북한의 식생활(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음식백과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