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선정이유
2. 본론
° 줄거리
° 관우
° 조조
°제갈공명
3. 결론
참고자료
°선정이유
2. 본론
° 줄거리
° 관우
° 조조
°제갈공명
3.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랑이의 엉덩이를 때리자 되돌아가서 땅에 엎드렸다. 뿐만 아니라 공명은 절구질을 하는 나무로 만든 로봇 등 수많은 진기한 것을 보았다. 말하자면 공명이 본 것은 자동문과 로봇이었던 것이다. 황승언은 이것들을 모두 자신의 딸이 만든 것이라고 자랑을 늘어놓았다. 마침내 황승언이 새롭게 혼담 이야기를 꺼내자, 공명은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여인은 추녀였지만 현명해서 공명을 잘 섬기고, 가사 일도 훌륭히 해냈다. 공명이 '목우', '류마'라는 운반 기구를 발명한 것은 그녀에게서 얻은 힌트에 의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안됐지만 삼국지에도 삼국지연의에도 나오지 않지만, 중국인들 사이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이런 구전 설화대로라면 결국 공명의 그 수많은 기지나 능력은 사실 처가의 덕이 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설화에서 공명이 못생겼으나 기지가 뛰어난 여인을 부인으로 둔 것은 어쩜 그의 현명함을 더 칭송받도록 하기 위한 장치였을지도 모른다. 어쨌건 남자는 역시 장가를 잘가야 한다. ^^
3. 결론
→ 우리가 알고 있던 삼국지의 영웅과 간신들의 모습은 사실 구전되어가면서, 그리고 작품을 쓴 작가의 사관이 반영된 주관적인 결과물이다. 신화나 설화의 가치는 그 것이 사실이냐 아니냐가 아니다. 그 속에서 우리가 찾고 싶어하고 실제 현실에서는 실현되기 어려운 인간상을 봄으로써 대리만족을 느끼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가게끔 생활의 약간의 자극을 주는 것. 그 것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참고자료 : 네이버 오픈 백과사전
‘사랑과 배움의 쉼터’ 블로그
‘삼국지에 관한 연구’ 저자 : 김동균
이런 구전 설화대로라면 결국 공명의 그 수많은 기지나 능력은 사실 처가의 덕이 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설화에서 공명이 못생겼으나 기지가 뛰어난 여인을 부인으로 둔 것은 어쩜 그의 현명함을 더 칭송받도록 하기 위한 장치였을지도 모른다. 어쨌건 남자는 역시 장가를 잘가야 한다. ^^
3. 결론
→ 우리가 알고 있던 삼국지의 영웅과 간신들의 모습은 사실 구전되어가면서, 그리고 작품을 쓴 작가의 사관이 반영된 주관적인 결과물이다. 신화나 설화의 가치는 그 것이 사실이냐 아니냐가 아니다. 그 속에서 우리가 찾고 싶어하고 실제 현실에서는 실현되기 어려운 인간상을 봄으로써 대리만족을 느끼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가게끔 생활의 약간의 자극을 주는 것. 그 것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참고자료 : 네이버 오픈 백과사전
‘사랑과 배움의 쉼터’ 블로그
‘삼국지에 관한 연구’ 저자 : 김동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