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심리성적 발달이론
1. 구강기
2. 항문기
3. 남근기
4. 잠복기
5. 성기기
II.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2. 자율성 대 수치심(1~3세)
3. 주도성 대 죄책감(3~5세)
4. 근면성 대 열등감(5~12세)
5. 정체감 대 역할혼란(청소년기)
6. 친밀감 대 고립감(성인 초기)
7. 생성감 대 자아탐닉(중년기)
8. 자아통합 대 절망감(노년기)
III. 인지적 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0~2세)
2. 전조작기(2~7세)
3. 구체적 조작기(7~11세)
4. 형식적 조작기(11~15세)
* 참고문헌
1. 구강기
2. 항문기
3. 남근기
4. 잠복기
5. 성기기
II.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2. 자율성 대 수치심(1~3세)
3. 주도성 대 죄책감(3~5세)
4. 근면성 대 열등감(5~12세)
5. 정체감 대 역할혼란(청소년기)
6. 친밀감 대 고립감(성인 초기)
7. 생성감 대 자아탐닉(중년기)
8. 자아통합 대 절망감(노년기)
III. 인지적 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0~2세)
2. 전조작기(2~7세)
3. 구체적 조작기(7~11세)
4. 형식적 조작기(11~15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았다. 이것은 일정한 순서대로 일어나는 것이며, 지적 성숙을 통하여 환경 적응에 필요한 어떤 새로운 기본 개념을 획득하는 것이다.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0~2세)
이 시기는 발기, 잡기 등 기본적인 반사(reflex)와 관련된 것들이 발달한다. 점차 빨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며, 무엇이든 본능적으로 잡고 소리도 알아듣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아는 경험을 범주화하고 구조화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이루어지는 주요한 발달은 빨기, 삼키기 등의 기본적 반사, 눈과 손의 협응, 즐거웠던 일을 반복해서 하기, 우연히 인과관계를 알게 된 것을 계속해서 하기, 사물의 연속성 파악하기, 대상 및 물체를 자세히 관찰하고 재조직하기 등이다.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전조작기가 되면 어떤 사물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체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가장 일반적인 상징체계는 단어 및 언어다. 또한 사고의 능력이 매우 자기중심적이어서 모든 것이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존재하고 움직인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자기 자신을 남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한다. 이는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타인의 입장에 대한 이해 능력이 아직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무생물에도 생명이 있다고 여기는 물활론적 사고(animism)를 갖는다.
이 시기의 유아는 보존(conservation)개념을 아직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보존 개념이란 모양은 다르지만 용량이 똑같은 두 개의 유리컵에 물을 담았을 때 그 양이 같다고 보는지 또는 물의 양의 증가 및 감소가 일어났다고 보는지의 능력이다. 그런데 전조작기에는 이러한 보존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사물의 높이, 넓이, 색깔 등 어느 한 차원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파악할 수 있을 뿐 여러 차원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7-11세)
이 시기가 되면 사고가 더욱 유연해지고 자신의 사고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다. 아동은 구체적인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서는 보존 개념을 획득하고 한꺼번에 여러 차원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어떤 하나의 차원에 대한 중심화에서 벗어나보다 융통성 있는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떤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이 매우 논리적이거나, 다루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의 관점에서만 가능하다.
그림. 보존개념의 이해
(4) 협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15세)
이 시기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능력은 추상적 사고 능력이다. 즉,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규칙을 형성하고 사실에 비추어 그것을 검증하며 우연에 의한 방법으로 관념을 다루지 않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다룬다. 특히, 이 시기에 발달하는 추상적 능력이란 현실적으로 존재하건 존재하지 않건 여러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가설적인 견지에서 추론할 수 있으며, 비유와 은유를 이해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0~2세)
이 시기는 발기, 잡기 등 기본적인 반사(reflex)와 관련된 것들이 발달한다. 점차 빨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며, 무엇이든 본능적으로 잡고 소리도 알아듣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아는 경험을 범주화하고 구조화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이루어지는 주요한 발달은 빨기, 삼키기 등의 기본적 반사, 눈과 손의 협응, 즐거웠던 일을 반복해서 하기, 우연히 인과관계를 알게 된 것을 계속해서 하기, 사물의 연속성 파악하기, 대상 및 물체를 자세히 관찰하고 재조직하기 등이다.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전조작기가 되면 어떤 사물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체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가장 일반적인 상징체계는 단어 및 언어다. 또한 사고의 능력이 매우 자기중심적이어서 모든 것이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존재하고 움직인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자기 자신을 남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한다. 이는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타인의 입장에 대한 이해 능력이 아직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무생물에도 생명이 있다고 여기는 물활론적 사고(animism)를 갖는다.
이 시기의 유아는 보존(conservation)개념을 아직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보존 개념이란 모양은 다르지만 용량이 똑같은 두 개의 유리컵에 물을 담았을 때 그 양이 같다고 보는지 또는 물의 양의 증가 및 감소가 일어났다고 보는지의 능력이다. 그런데 전조작기에는 이러한 보존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사물의 높이, 넓이, 색깔 등 어느 한 차원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파악할 수 있을 뿐 여러 차원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7-11세)
이 시기가 되면 사고가 더욱 유연해지고 자신의 사고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다. 아동은 구체적인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서는 보존 개념을 획득하고 한꺼번에 여러 차원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어떤 하나의 차원에 대한 중심화에서 벗어나보다 융통성 있는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떤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이 매우 논리적이거나, 다루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의 관점에서만 가능하다.
그림. 보존개념의 이해
(4) 협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15세)
이 시기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능력은 추상적 사고 능력이다. 즉,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규칙을 형성하고 사실에 비추어 그것을 검증하며 우연에 의한 방법으로 관념을 다루지 않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다룬다. 특히, 이 시기에 발달하는 추상적 능력이란 현실적으로 존재하건 존재하지 않건 여러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가설적인 견지에서 추론할 수 있으며, 비유와 은유를 이해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 [여행상품의 개념] 여행상품의 정의, 특성, 구성요소, 구분, 해외여행상품의 속성
-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 [노인보건] 노인보건의 개념과 특성(노인보건의 정의와 중요성, 신체적 노화현상, 치매), 노...
-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 [집단의 정의] 집단의 개념과 유형 집단의 특성 집단의 형성과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