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육론] 고전문학 그 장르적 특성에 맞게 (고려가요 - 노래 노래로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교육론] 고전문학 그 장르적 특성에 맞게 (고려가요 - 노래 노래로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가요의 개관
2. 고려가요의 교육적 의의
3. 고려가요, 장르적 특성에 맞는 지도법
4. <청산별곡>

본문내용

논의하면서 좀더 친숙하게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고려가요라는 큰 틀 혹은 개개 작품에 다른 쪽으로 의미를 부여한다면 더 많은 교육점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점을 바탕으로 학습목표를 세우고 풀어나가는 과정에서는 다음에 제시한 노래들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이정현의 ‘아리아리’ , 이승환의 ‘덩크슛’ , GOD의 ‘거짓말’ 그리고 ‘난 사랑을 몰라’
양수경의 ‘그대는’ , 체리필터의 ‘낭만 고양이’ , 윤도현의 ‘광야에서’ ,
양희은의 ‘아침이슬’ , 싸이의 ‘해지면’, 김부자의 ‘달타령’............
<가시리>와 <서경별곡>을 잠깐 예를 들면, 이 둘은 교려가요 중 여성이 화자로서 이별의 정한을 훌륭하게 표현한 대표적 작품이다. <가시리>는 극기된 희생과 절제를 통한 재회를 기약하는 반면 <서경별곡>은 이별을 인정하지 않는 현세지향적, 자기중심적 이별가이다. <가시리>는 절제된 소박한 어조로, <서경별곡>은 저돌적이고 직설적 어조로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대체로 함께 다루며 비교해서 읽고 화자의 차이를 찾아보고 그의 따른 표현법도 찾아보는 등의 수업을 한다. 더 나아가 현대문학 중 <진달래꽃>과도 비교해보는 수업도 겸한다. 이런 교수-학습 과정에서 GOD의 ‘거짓말’, ‘난 사랑을 몰라’그리고 양수경의 ‘그대는’ 등과 같은 대중가요를 도구로 도입하여 상호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다양한 정서의 확장과 감정 이입을 할 수 있고, 노래로서의 고려가요를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4. <청산별곡> 학습지도안
〈청산별곡〉을 제재로 수업을 한다면 1차시 정도가 적당할 것 같다. 그리 어려운 내용도 아니고 원문이 길지도 않아서 사족들을 버린다면 1차시로 모든 수업활동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현장에서도 1차시분으로 수업을 한다고 한다.
국어 교과서 上, 6-(1) 청산별곡
▶ 단원 개관
이 단원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작품의 표현상의 특징을 이해하고, 나아가 다양한 화자의 모습을 확인하고, 그 화자의 심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나의 상황과 결부하여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서 주체적인 감상 능력의 신장을 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다양한 형식으로 녹음해온 〈청산별곡〉과 원곡을 들어보고 비교해 보는 학습 활동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서정적 자아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한 후 학생들이 그 중 하나를 선정하여 현대어로 해석해 보는 학습 활동을 수행하고, <청산별곡>과 여러 면에서 유사한 성격을 지니는 대중가요 <낭만고양이>를 얽어 읽어 봄으로써 사고의 확장을 꾀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나만의 <청산별곡>을 써보게 한다. 이 때 주의할 것은 고전문학 작품을 학습할 때에 흔히 일어나는, 즉 어구 해석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도입
1). 고려가요 개관을 확인하고 참고자료로 나누어준다.
묻고 답하는 상호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2). 동기유발(흥미)
‘청산’하면 떠오르는 것들 없냐?
- 푸른 산, 메아리, 동경, 도피처, 이상향.........
3). 감 느껴보기
이명우의 ‘가시리’를 들으며...
- 이 노래의 첫 느낌은 어떠한가. 목소리나 분위기에 느껴지는 감정은?
- 화자가 현재 처한 상황은 어떠한 상태인가?
- 화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 눈에 띄게 반복되는 부분을 찾아보자. 또 그것의 역할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자.
이명우의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바리고 가시리잇고 살아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날러는 엇디 살라하고 바리고 가시리잇고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얄리얄리얄라셩 얄리얄리얄라셩 청산 별곡이야 청산에 살어리랏다
얄리얄리얄리얄라리 얄리얄리얄라셩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잡사와 두오리 마라난 선하면 아니올세라 얄리얄리얄라셩 얄리얄리얄라셩
설온님 보내보나니 가시난닷 도셔오쇼셔 얄리얄리얄리얄라리 얄리얄리얄라셩
▶전개
1). 시 낭독해보기
다양한 노래 형식으로 녹음해 온 ‘청산별곡’을 들어본다.(전시 모둠과제)
‘청산별곡’원곡을 들어본다.
그것을 듣고 어떤 생각이 드는지 발표하게 한다.
이 작품을 낭독해 본다.
낭독해 보면서 어떤 운율적 특성이 있는지 써보게 한다.
- 3,3,2 의 3음보, 여음이 활기차고 밝고 유려하다.
2) ‘청산별곡’의 내용 이해와 화자의 정서 알기(모둠활동)
‘청산별곡’의 각 연마다 중심 소재 및 중심 내용, 화자의 정서를 써 보게 한다.
시적 화자의 신분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6.03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