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육론] 토의학습을 통한 가사교육 -관동별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교육론] 토의학습을 통한 가사교육 -관동별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정철문학 교육의 필요성
가. 충효사상
나. 작품 현장의 미
Ⅱ. 본론
- 지도 방안
- 학습지도안
Ⅲ. 결론
Ⅳ. 학습자료제시

본문내용

동별곡>이란 제재를 보다 친숙하게 받아들이고 새롭게 공감할 수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1. <관동별곡>에 대한 감상이 새롭게 이루어졌는가?
2. <관동별곡>의 가사의 성격이 갖는 묘미를 느낄 수 있었는가?
3. 송강 정철에 대한 인물의 삶과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는가?
4. 정철의 삶을 자신의 삶으로 공감할 수 있었는가?
위와 같은 평가항목들은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고, 수업환경조성에 따라 보충해야 할 것이다.
3. 정리
이 수업은 2시간 연속수업이 적당하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해 볼 때 그것이 언제나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1차시에는 과제 제시와 토의시간으로 하고 2차시에 그 결과물을 가지고 조별간 토의수업을 하는 것으로 잡았다. 토의수업이라는 것은 그리 쉬운 수업의 형태가 아니다. 학생들은 자기 나름의 생각을 발표하면서 많은 공부를 해야 하고, 그것을 수렴하는 학생들도 무조건적인 흡수를 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선택의 갈등으로 학생은 즐거우면서도 힘들어야 한다.
<참고자료>
1. \'관동별곡\'의 국문학사적 위치
\'관동별곡\'은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등과 함께, 정철을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제 1인자로 손꼽히게 만든, 독창적인 장편의 서정적 기행가사이다.
\'동국악보(東國樂譜)\'에서는 이 작품을 악보(樂譜)의 절조(絶調)라 하였고, 김만중(金萬重)은 \'서포만필(西浦漫筆)\'에서 이 작품과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우리 나라의 \'이소(離騷)\'라고 평하였을뿐 아니라, 예부터 우리나라의 진문장(眞文章)은 오직 이 세편 뿐이라고 극찬 하였다.(松江, 關東別曲, 前後思美人曲, 乃我東之離騷, .... 自古左海眞文章, 只此三篇)
홍만종(洪萬宗)은 \'순오지(旬五志)\'에서. \"관동별곡\'은 송강 정철이 지은 것인데, 관동 산수의 아름다움을 낱낱이 들어, 그윽하고 기괴한 경관을 이루 다 설파하였으니, 사물을 형상하고 말을 만듦의 기묘함은 진실로 악보의 절조라 하겠다.\"라 하였다.
2. 관동별곡에 영향을 미친 가사
(1) 관서별곡(關西別曲)
명종 11년 봄에 백광홍(白光弘)이 평안도 평사(平事)가 되어 관서 지방의 자연 풍물을 살펴보고 그 아름다움을 노래한 가사이다. 이보다 25년 뒤에 나온 \'관동별곡\'은 이 작품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것이다.
(예) 關西(관서) 名勝地(명승지)에 王命(왕명)으로 보내실새 行狀(행장)을 다시리니 칼 한나 뿐이로다. 延詔門(연조문) 내달아 모화고개 너머 드니 歸心(귀심)이 빠르거니 故鄕(고향)을 사념하랴.
(2) 면앙정가(면仰亭歌)
종종 19년 송순(宋純)이 고향인 전남 담양의 제월봉 아래에 면앙정이란 정자를 짓고, 그 주변의 자연 경관과 그 속에서 노니는 풍류 생활을 읊은 서정 가사이다. 이 작품은 \'상춘곡\'의 영향을 받고, 뒤에 송강의 작품 특히 \'성산별곡\', \'관동별곡\'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 玉泉山 龍泉産 나린 믈히, 정자압 너븐 들해 올올히 퍼진드시, 넙꺼든 기디마나 프르거든 희디마나 雙龍이 뒤트난 닷 긴 깁을 채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6.04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