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작물 - 담배 재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예작물 - 담배 재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그러나 입고병선충 등은 피복으로 발생이 많아진며 이런 포장에서는 멀칭을 생육초기 약 40일간으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4. 이식
1) 이식 시기
담배 묘의 이식시기는 재배유형별로 수확예정일을 기준하여 이식일을 역산하여 결정하는데, 논담배는 벼의 이앙한계기 이전까지, 그리고 개량멀칭 재배시에는 7, 8월의 장마 전까지 성숙을 목표로 조기 이식한다. 담배의 생장최저 온도는 9℃인데 7℃에서는 뿌리의 신장이 정지되고 11℃에서 다소 신장한다. 이로써 정식기의 기온은 적어도 12~14℃는 되어야 할 것이다.
개량멀칭 : 4. 1 ~ 4. 10 일
절충멀칭 : 4. 10 ~ 4. 20 일
2) 재식 밀도
재식밀도는 단위면적당 수량과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포장의 비옥도, 재배 품종의 특성, 작업능률 및 재배방법 등에 따라 결정된다. 버얼리종 잎담배는 수량 및 품질의 생산 목표와 재배 품종의 형태적생리적 특성에 따라 황색종보다 밀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국에서는 노약의 살포, 관개, 농기계의 사용을 위하여 네 이랑마다 또는 여섯 이랑 마다 한 이랑씩 담배를 심지 않는 경우도 있다.
3) 재식 거리
휴주간 거리는 수량보다는 품질에 영향을 준다. 즉 소식하면 주당 건물량이 늘고 잎이 두꺼워지며 잎이 커져 조강하기 쉽고 향끽미가 강하고 신열하게 된다. 반대로 밀식을 하면 잎이 작고 얇아지며 향끽미가 약하게 된다.
4) 이식 방법
이식 전날 저녁에 충분히 관수를 하면 포트에서 뽑을 때 뿔 리가 손상되지 않아 이식 후 활착이 잘 된다.
(1) 모종을 뽑기 전에 3.3㎡당 우유액 10%액에 담근다. 탈지분유일 경우에는 분유 500g을 물 4.5ℓ에 타서 쓴다.
(2) 결손주 주위의 모나 묘상가의 모는 될 수 있는 한 이식하지 않는다.
(3) 병반이 있는 모나 뽑은 후 직근만 있는 것은 심지 않는다.
(4) 심기 전에 필요에 따라 토양살충제를 처리하여 거세미류의 피해를 막도록 한다.
(5) 심는 위치를 잘 맞춘다.
(6) 포토가 떨어지지 않게 하며 심을 때 흙을 너무 세게 누르지 않는다.
(7) 진흙땅에서는 비온 후에 바로 심지 않는다.
(8) 이식시 질산가리나 초안 100~200ppm용액으로 주당 200㎖씩 관수하면 착근이 촉진된다.
(9) 적당한 곳에 보식용 모를 심어 둔다.
5) 보식
(1) 이식 후 기상재해 또는 병충해로 생긴 결손주는 보식한다.
(2) 보식은 조기에 할수록 좋으며 병을 제외한 피해로서 생장점 부의가 건재하면 보식하는 것보다 그대로 생육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Ⅲ. 본포관리
1. 배토
1) 개량멀칭 담배 노출
개량멀칭은 10~15일 후면 담배가 고온 장해를 입게 되므로 예리한 칼로 직경 5㎝내외로 비닐을 절개하여 고온 장해를 막고 외기에 순화되도록 한다.
밀폐기간이 20일 이상 걸리게 되면 탄산가스 부족으로 인한 연약도장형이 되어 고온 장해를 입기 쉽게 된다.
2) 복토
(1) 복토용 삽으로 부드럽게 부수어진 흙을 구덩이에 채운다.
(2) 담배잎에 흙이 많이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복토 상태가 불량하면 생육이 부진하여지고 도복의 염려가 있다.
(4) 복토가 지연되면 토양 수분 증발이 촉진되거나 빗물이 많이 들어가 흙이 굳어지고 잡초가 무성해진다.
(5) 복토할 때 흙에 완숙퇴비나 초목화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품질이 좋아진다.
(6) 역병 발생이 우려되는 밭에는 리도밀(Ridomil) 수화제를 처리한다.
3) 잡초 방제
피복재배에서는 중경의 필요성은 적으나 피복하에서도 잡초의 발행이 많으므로 제초할 필요가 있다. 심한 경우 10a당 500㎏에도 이르며 시용질소량의 15%가 넘는 양을 흡수한다. 또 무성한 잡초를 휴내에 묻게 되면 미숙 퇴비를 늦게 준 것처럼 성숙이 지연되므로 잡초가 발생하기 전에 김매기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생력적이다.
(1) 잡초 방제의 요령
복토시 흙을 골고루 갈아엎고, 이식 구덩이를 흙으로 채워 비닐을 밀봉시키면 잡초 방제가 이루어진다.
복토시 잡초를 제거하고 파미드수화제 400배액을 뿌려 발아를 억제시키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다.
잡초가 심하게 발생하는 밭에는 이식 후 즉시 고랑에 발아전 제초제를 살포한다.
(2) 유의사항
지정 품목 약제만 사용하고 포졸 등을 사용한 밭은 재배를 지양한다.
잔디밭 등에 사용한 제초제에 의해 인접 담배밭은 약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화본과 잡초를 방제하면 광엽계의 잡초가 번성하는 경우도 있다.
사용했던 도구는 철저히 닦아 다음 분무기 사용시 부작용이 없도록 한다.
4) 추비
(1) 생육 초기에 비가 많았거나 담배밭이 침수되었을 때는 비분 유실이 많아 생육 후기의 양분 결핍을 수량품질이 저하되므로 이런 포지는 작황을 고려하여 복합비료 기준량의 20%이내 및 초목회를 추비한다.
(2) 담배 뿌리에 직접 닿지 않게 시비한다.
(3) 모래땅, 척박한 포비에서는 기비 80%에 추비 20%의 수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추비 시기는 복토 작업 시기가 좋으며, 이식 20~25일경 보다 늦어지면 만작화로 품질이 저하된다.
5) 병충해
(1) 세균성 마름병(입고병)
흙 속에서 월동한 병원 세균이 뿌리나 줄기의 기부에 생긴 상처를 통해 식물체에 침입하여 발생한다. 이 병에 감염되면 줄기 한쪽 편의 잎부터 시들기 시작하여 황변하고 줄기에서는 검은색의 줄무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조기재배를 실시하여 병의 발생 최성기 이전에 수확함으로써 병을 회피할 수 있으며 완숙 퇴비를 시용해야 한다. 또, 내병성 품종을 재배하고 3년 이상 윤작을 한다.
(2) 줄기속 썩음병(공동병)
토양에서 월동하여 주로 적심부위의 상처를 통해 병균이 침입하며 황색종보다 버얼리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엽맥이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엽육이 황변하고 줄기의 속이 연화되며 부패되면서 악취가 나고 심할 경우에는 줄기의 속이 완전히 소실된다.
적심은 맑은 날 정오경에 하고, 적심 후 항생제를 적심부위에 발라준다. 발병 포지는 3년 이상 윤작하고 배수가 잘 되게 한다.
(3) 들불병(야화병)
담배 잎의 기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잎에서는 수치상의 작은 녹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서로 합쳐져서 큰 반점을 형성하며 중앙이

키워드

  • 가격2,2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8.07.15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8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