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남아시아에서 자생하는 고기능성 쌀 품종을 발견하였다.
이를 강원도 산간지에서 재배하려고 할 때 예상되는 문제 해결방법을 서술하라.(15점)」
「쌀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을 모두 조사하고 성분의 생리활성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15점)」
이를 강원도 산간지에서 재배하려고 할 때 예상되는 문제 해결방법을 서술하라.(15점)」
「쌀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을 모두 조사하고 성분의 생리활성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15점)」
본문내용
바깥 부분에 계속 남아 녹색을 띄게 된다.
녹색 쌀에는 당뇨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들어있다.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일반 쌀에 비해 25~75% 가량 많아 어린이 성장발육에 효과적이다. 붉은 쌀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방지 등에 효능이 있다.
흰쌀인 고아미 4호는 칼슘철분 등 미네랄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쌀눈과 쌀겨가 제거된 백미 상태에서도 일반 쌀에 비해 칼슘, 철분, 칼륨, 아연 함량이 50% 이상 많다. 아밀로스의 함량이 높아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식도, 위 등이 약한 환자도 쉽게 소화가 가능하다.
음식물의 섭취는 영양소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는 칼로리의 구성을 의미한다. 칼로리는 당질, 단백질, 지방을 어떤 비율로 섭취하느냐가 중요하다. 영양학자들이 제안한 이상적인 칼로리 구성은 당질 65%, 단백질 15%, 그리고 지방 20%이다.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칼로리 구성을 살펴보면 1978년 에 당질 : 단백질 : 지방이 75 : 14 : 11이었으나 2005년에는 64 : 15 : 20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상적인 칼로리 구성에 잘 맞으며, 영양소의 균형이 좋아졌음을 말해 준다.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영양소의 균형이 좋은 것은 ‘쌀밥 중심 식사’에 그 원인이 있다. 쌀밥 중심 식사는 섬유소 함량이 높아 칼로리가 낮으며, 섬유소가 소화기관 안에서 물을 빨아들여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적게 먹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반찬에 들어가는 콩이나 참기름 등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고지혈증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점차 서구화 되어가고 있는 식사 문화를 여러 가지 기능을 함유시킨 기능성 쌀 등을 개발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식탁문화를 형성, 유지해나가자. 쌀밥 중심의 식탁에서는 밥만 각자의 그릇에 담고 반찬은 종류별로 한 그릇에 담아 여럿이 먹게 준비하는데, 이는 가족끼리, 또는 동료와 더불어, 혹은 낯선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대화하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해준다. 그래서 외국인들은 우리의 쌀밥 중심 식사와 식탁문화를 건강하고 아름답다고 말한다.
세계의 쌀(현미)은 약 1억 5,000만ha에서 연간 약 4억 5,000만 톤이 생산된다(2005). 아시아는 전세계 벼 재배면적의 약 89%를 차지하며 세계 쌀의 약 91%를 생산한다. 쌀을 생산하는 나라는 모두 115개국이며, 그 중 중국(29%)와 인도(22%) 두나라가 세계 쌀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2005). 우리 나라의 쌀 생산량은 세계 총생산량의 1.0%에 지나지 않으나, 쌀 생산국 중 10위권에 들어가며 단위면적당 수량이 최상위에 있다. 세계적으로 쌀은 수요공급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쌀 교역량이 생산량의 약 4%에 불과하여 밀이나 옥수수에 비해 쌀 수급의 안정성은 낮다.
-쌀소식 제 13호 발행일자:1999년 9월30일자 발행인:사단법인한국쌀연구회 회장 윤근환
-2013.03.01 국민일보 <기능성 쌀을 만나다> 발췌
2013.01. 박순직이종훈 식용작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녹색 쌀에는 당뇨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들어있다.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일반 쌀에 비해 25~75% 가량 많아 어린이 성장발육에 효과적이다. 붉은 쌀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방지 등에 효능이 있다.
흰쌀인 고아미 4호는 칼슘철분 등 미네랄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쌀눈과 쌀겨가 제거된 백미 상태에서도 일반 쌀에 비해 칼슘, 철분, 칼륨, 아연 함량이 50% 이상 많다. 아밀로스의 함량이 높아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식도, 위 등이 약한 환자도 쉽게 소화가 가능하다.
음식물의 섭취는 영양소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는 칼로리의 구성을 의미한다. 칼로리는 당질, 단백질, 지방을 어떤 비율로 섭취하느냐가 중요하다. 영양학자들이 제안한 이상적인 칼로리 구성은 당질 65%, 단백질 15%, 그리고 지방 20%이다.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칼로리 구성을 살펴보면 1978년 에 당질 : 단백질 : 지방이 75 : 14 : 11이었으나 2005년에는 64 : 15 : 20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상적인 칼로리 구성에 잘 맞으며, 영양소의 균형이 좋아졌음을 말해 준다.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영양소의 균형이 좋은 것은 ‘쌀밥 중심 식사’에 그 원인이 있다. 쌀밥 중심 식사는 섬유소 함량이 높아 칼로리가 낮으며, 섬유소가 소화기관 안에서 물을 빨아들여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적게 먹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반찬에 들어가는 콩이나 참기름 등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고지혈증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점차 서구화 되어가고 있는 식사 문화를 여러 가지 기능을 함유시킨 기능성 쌀 등을 개발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식탁문화를 형성, 유지해나가자. 쌀밥 중심의 식탁에서는 밥만 각자의 그릇에 담고 반찬은 종류별로 한 그릇에 담아 여럿이 먹게 준비하는데, 이는 가족끼리, 또는 동료와 더불어, 혹은 낯선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대화하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해준다. 그래서 외국인들은 우리의 쌀밥 중심 식사와 식탁문화를 건강하고 아름답다고 말한다.
세계의 쌀(현미)은 약 1억 5,000만ha에서 연간 약 4억 5,000만 톤이 생산된다(2005). 아시아는 전세계 벼 재배면적의 약 89%를 차지하며 세계 쌀의 약 91%를 생산한다. 쌀을 생산하는 나라는 모두 115개국이며, 그 중 중국(29%)와 인도(22%) 두나라가 세계 쌀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2005). 우리 나라의 쌀 생산량은 세계 총생산량의 1.0%에 지나지 않으나, 쌀 생산국 중 10위권에 들어가며 단위면적당 수량이 최상위에 있다. 세계적으로 쌀은 수요공급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쌀 교역량이 생산량의 약 4%에 불과하여 밀이나 옥수수에 비해 쌀 수급의 안정성은 낮다.
-쌀소식 제 13호 발행일자:1999년 9월30일자 발행인:사단법인한국쌀연구회 회장 윤근환
-2013.03.01 국민일보 <기능성 쌀을 만나다> 발췌
2013.01. 박순직이종훈 식용작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