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 자료 읽기 -감탄사 부사 관형사 어미 및 조사에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조어 자료 읽기 -감탄사 부사 관형사 어미 및 조사에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릿말
1.1. 신조어의 정의
1.2. 신조어의 특징
1.3. 4조 조사 말의 유형
1.4. 4조 조사 말의 특징
1.5. 조사 및 분석에 관해

2. 신조어의 예
2.1. 부사
2.2. 접사
2.3. 감탄사
2.4. 조사 및 어미

3. 신조어의 유형
3.1. 두 가지 유형에 따른 신조어 분류
3.2. 화용적 보완의 신조어 패턴 분류

4. 신조어 형성에 대한 가치와 의의

5. 나가며

본문내용

고 그 패턴이 경제성에 의한 것인지, 화용적 보완이 있는 것인지 분석하였다.
2. 신조어의 유형 분석
기능어 및 부가어 신조어는 어절 단위로 띄어 쓰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캐난감, 열공, 뻘짓과 같이) 접사에 관형사와 부사가 겹치기도 한다. 따라서 크게 부사, 접사, 감탄사, 어미로 나누어 밝히고자 한다.
2.1. 부사
기본적으로 용언이나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어절 단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활용을 하지 않는다.
▷ 레알 → 진짜라는 뜻으로 real에서 나온 말이다. ‘정말’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외국어에서 비롯되어 우리말의 부사 신조어가 되었다.
예) 레알 부럽다, 레알 돋네.
▷ 조낸, 절라, 졸랭 → 비속어 ‘존나’에서 변형된 꼴, ‘정말’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비속어에서 비롯되어 매우 다양한 변이형이 동시에 쓰이고 있다.
예) 국어문법 존나 어려워./조낸 싫다 걔./졸라 쳐맞아야겠구만.
▷ 걍 → 그냥의 줄임말이다. 말 그대로 줄임말이다.
예)걍 이것저것./걍 심심해서 문자 때려봤어.
▷ 넘흐 → ‘너무’의 변형된 꼴이다. 표기상에 있어서 변화를 준 것뿐 아니라 실제 발화상에도 성문음을 확실하게 내어 기식을 더 많이 한다.
예)바삭한 쿠키가 넘흐 좋아요.
▷ 대빵, 대따, 대땅 → 강조를 나타내는 부사어. 많은, 매우 등의 의미를 가진다. ‘크다’라는 대(大)에 덧붙는 말이 모두 경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러 변이형이 동시에 쓰이고 있다.
예)조니뎁 고화질 대빵 큰 사진으로 올려주세여 /와~ 대땅 어려운 문제!!!
▷ 덜덜덜 → 공포, 경외심, 분노 등 여러 상황에서 쓰이는 의태어이다. ‘덜덜’은 원래 존재하는 의태어이나 통상적으로 3음절로 실현되며 기존의 의태어보다 사용이 더욱 광범위해졌다.
예) 덜덜덜한 이야기인데? 성적표가 덜덜덜
▷ 블링블링 → 화려하고 반짝임을 나타내는 외국어 의태어이다.
예) 블링블링한 골드 스팽글 킬힐 사고 싶엉.
▷ 버럭 → 화를 낼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이다. 원래 존재하는 부사지만 통신 언어 상에서는 그 활용이 더욱 광범위해졌다.
예) 아놔. 담주 교수가 또 버럭 하겠네.
▷ 샤방샤방 → 의태어. 정말 눈에 띄고 예쁘다는 뜻이다.
예)샤방샤방 샤이니 옵빠들
▷ 양끗 → 엄청, 많이의 은어적인 표현. ‘양껏’에서 변형된 것이다. 강조를 나타내는 말에서 음운변화는 입을 넓게 벌리는 ‘ㅡ’음으로의 변화가 관찰된다.
예) 결국 양끗 삽질했네/기미 주근깨 때문에 스트레스 양끗 받고있음.
▷ 완전 → 본래의 뜻에서 새로운 활용의 형태가 나타난 단어. 원래 형태는 “완전하다”라고 형용사로 쓰여 ‘부족함이 없다’는 뜻이었으나, 현재는 ‘매우, 정말’과 같은 부사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문법적 활용이 확장되었다.
예) 완전 몬 생겼다./완전 멋있는 원빈, 아저씨ㅜㅜ/완전 부럽! 부럽!
▷ 오나전 → ‘완전’을 컴퓨터에서 타이핑하면 ‘오나전’으로 자주 오타나는 데서 굳어진 말. 오타에서 비롯되었지만 실제로 구어에서도 사용한다.
예) 나는 밤이 오나전 좋드라./스크롤 압박 오나전 주의!
▷ 지대 → ‘제대로’에서 유래했다. 줄여 쓰는 동시에 사용의 범위도 넓어졌다.
예) 가을삘 지대다. 느낌 지대 좋다.
▷ 와방 → 멋지다 좋다 등에 붙어서 ‘정말’, ‘많이’의 뜻이다.
예)눈웃음 와방 예쁜 효리누나/와방 바쁜 월요일.
2.2. 접사
접사는 크게 접두사와 접미사로 나눌 수 있다. 접두사는 또한 관형격 접두사와 부사격 접두사로 나눌 수 있다. 신조어에서 관형사와 부사가 따로 실현되지 않는 것은 보통 어절단위로 실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관형격인지 부사격인지 구분하는 것도 무의미한데 문맥적 상황에 따라 수식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게 접두사와 접미사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예)급키스-급한 키스(관형격), 급공부했다-급히 공부하였다(부사격)
접두사
▷ 급 → 급하게 행위를 바꾼다는 뜻이다. 형용사의 어근을 빼서 축약했다.
예) 급빵긋 → 갑자기 방긋 웃거나 아주 급하게 빵끗 웃는 표정으로 바꾸었을 때 사용.
▷ 즐 → 즐기다에서 비롯되었다. ‘즐겁게’, 혹은 ‘즐거운’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형용사의 어근을 빼서 축약했다.
예) 즐겜, 즐공, 즐놀
▷ 개, 캐 → 접두사로 단어 앞에 붙어서 ‘더’, ‘매우’라는 뜻을 가지는 신조어이다. 원래 비속어에서 존재했던 말이나 현재는 쓰임이 확장되어 좋은 경우를 강조하기 위해서도 쓰인다. -‘개(같이) 나쁜 사람’처럼 쓰였으나 ‘개좋다’로 쓰인다. 또한 격음화되어 ‘캐’로도 많이 실현된다.
예) 캐병신, 캐싫음, 이 문제 진짜 개어려워. 개멋있어!
▷ 열 → 열심히라는 뜻이다. 형용사의 어근을 빼서 축약했다.
예) 열공
▷ 뻘 → ‘헛’이라는 접두어와 같은 전라도 사투리였으나 신조어로 되면서 모든 상황에 붙을 수 있는 접두어가 되었다.
예) 뻘소리 하지마, 뻘짓하다가, 뻘공부했다. 뻘플(헛소리가 적힌 댓글)
접미사
▷ ~크리~ 크리 ~크리 → 상황이 어떤 이유 때문에 안좋게 흘러갈때 사용. 영어 critical(치명타)에서 왔다.
예)아놔 저 어제 설사크리 작열했음 
▷ ~니즘 → ~sm(이즘)은 \'주의, 학설, 독트린(doctrine)\'이라는 뜻을 가진 접사이다.
예)레이니즘, 귀차니즘
▷ ~틱하다 → 영어의 형용사 접미어 ‘-tic’을 모방한 것이다.
예)그는 미소년틱하다
▷ ~플 → 행위를 나타내는 접미사. play에서 왔다.
예) 어제 스타크래프트 하다가 뻘플했다.
▷ ~드립 → 영어의 애들립(addlip)에서 온 말로, 변명을 의미한다.
예) 개드립 치지마라, 공부드립 치면서 놀라고 그러는 거지?
접두·접미사
▷ -빠 → ‘빠’는 어딘가에, 특히 한 사람에게 심하게 빠져 있는 사람을 비하해서 부르는 비속어로, 반댓말, 즉 안티를 가리키는 말로는 ‘까’가 쓰인다. 연예인의 극성 팬의 경우는 특히 남자일 경우 빠돌이, 여자일 경우 빠순이라 부른다
예) 2ne1빠, 황까(황우석까)
2.3. 감탄사
▷ 아놔 → 아니 이런. ‘아, 나 원 참’의 첫 두 음절로서 원순음화된 것이 특징이다.
예) 아놔, 시험 떨어졌어.
▷ 된장, 덴장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7.23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2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