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청나라 법정 공안소설 팽공안 4회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청나라 법정 공안소설 팽공안 4회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사회 상수영조병초적 유전사헌계금구
팽공안 4회 항상 군영을 지켜 병사를 조달해 역적을 토벌하고 유전사는 계책을 바쳐 도적을 사로잡다
제오회 악패피금입호혈 청관우구출용담
팽공안 5회 악당패거리에게 호랑이 굴에 사로잡인 청렴한 관리는 구출당해 용담을 나오다

본문내용

편안히 할수 없습니다. 만약 갑자기 병사를 데리고 가면 조금 경솔함을 면치 못합니다. 당신과 제가 100명 관병을 데리고 가며 다시 100명 관아하인들을 데리고 가면 제가 먼저 마을 입구에 주둔해 형님을 기다리겠습니다. 당신은 몇 명 친히 따르는 사람을 데리고 먼저 그를 방문을 가십시오. 이칠후가 집에 있지 않으면 당신은 말을 끌어내 그의 진정한 실제 말을 꺼내십시오. 그가 만약 아직 현의 주인이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 당신은 기회를 보고 일어나십시오. 만약 그가 따르지 않으면 당신이 다시 사람을 보내 나에게 소식을 보내오고 저는 병사를 데리고 그를 곧 잡으면 됩니다.”
劉老爺說:“好, 就是那樣辦理。”
유노야설 흔호 취시나양판리
유노야가 말했다. “매우 좋습니다. 저렇게 처리하겠습니다.”
二人議論好了, 點了兵, 各執燈籠火把, 二位老爺騎馬出了三河縣城。
이인논의호료 점료병 각집등롱화파 이위노야기마출료삼하현성
[dnglong] ① 등롱 ② 초롱 ③ 제등(提燈)   
2사람의 논의가 매우 좋고 병사를 점검하고 각자 초롱과 횃불을 들고 2분 어르신은 말을 타고 삼하현성을 나왔다.
天已初鼓, 到了大道李新莊。
천이초고 도료대도이신장
날이 이미 초고로 대도 이신장에 도달했다.
常把總帶着人在村口外駐紮。
상파총대착인재촌구외주찰
상파총은 사람을 시켜 마을입구 밖에서 주둔하게 했다.  
劉老爺帶親隨人等, 執着燈籠, 來至李七侯大門外。
유노야대친수인등 집착등롱 래지이칠후대문외
유노야는 친히 따르는 사람을 데리고 호롱을 잡고 이칠후 대문밖에 이르럿다.
叫家人手敲門環, 打了幾下, 不見有人答應。
규가인수고문환 타료기하 불견유인답응
하인을 시켜 손수 문고리를 몇 번 치게하나 응답하는 사람이 보이지 않았다.
自己下了馬, 站在門首, 叫家人再叫。
자기하료마 참재문수 규가인재규
首 [menshu]① 문 앞 ② 문전
자기는 말을 내려 문 앞에 서서 하인에게 다시 부르게 했다.
家人又喊了幾聲, 聽裏面有人答應說:“一位?我睡了覺, 有事明天再說。”
가인우함료기성 청리면유인답응설 나일위 아수료각라 유사명천재설
하인이 또 몇 번 함성을 지르니 안에 있는 사람의 응답을 들었다. “어떤 분이시오? 내가 잠들어서 일이 있으면 내일 다시 말하시오.”
外面劉老爺的家人劉忠說:“我是三河縣劉老爺的家人劉忠, 因我們這三河縣的劉大老爺前來夜, 特來拜訪家主人。”
외면유노야적가인유충설 아시삼하현유노야적가인유충 인아문저삼하현적유대노야전래사야 특래배방니가주인
외부에 유노야의 하인 유충이 말했다. “나는 삼하현 유어르신의 하인 유충으로 우리들은 삼하현의 유어르신께서 밤에 조사를 나와 특별히 우리 집주인이 예방하러 오셨다.”
裏面聽見說:“少等片刻, 我們來開門就是了。”
리면청견설 소등편각 아문래개문취시료
안에서 듣고 설명 했다. “잠시 기다리시오. 우리들은 문을 열러 오겠소.”
劉老爺站在外邊, 擡頭一看, 繁星滿天, 無月色。
유노야참재외변 대두일간 번성만천 병무월색
유노야는 외부에 서서 머리를 들고 한번 보니 여러 별이 하늘에 가득하나 달 빛이 없었다.
約有二更之時, 忽聽大門一聲響, 把門開了, 手執燈籠, 出來兩個更夫, 在旁邊站立, 家人李忠說:“原來是劉大老爺, 老爺好?我給請安了。”
약유이경지시 홀청대문일성향 파문개료 수집등롱 출래양개경부 재방변참립 가인이충설 원래시유대노야 니노야호왜 아급니청안료
(음란한 소리 왜{토할 와}; -총9획; wa,wa)
更夫 [gngf] 야경꾼
대략 2경 시기에 갑자기 대문에서 한 소리를 듣고 문이 열려 손에 초롱을 잡고 2명 야경꾼을 꺼내 옆에서 서서 하인 이충이 말했다. “원래 유어르신이며 당신 어르신은 좋습니다. 제가 당신께 안부를 청합니다.”
劉老爺說:“不必請安。我因下辦公事, 夜不能回去, 特來拜訪家七莊主。”
유노야설 불필청안 아인하향사판공사 야만불능회거 특래배방니가칠장주
下 [xia//xing] ① 하향하다 ② (공산품을) 농촌에 공급하다 ③ 시골에 가다 ④ 농촌에 가다
유노야가 말했다. “인사할 필요가 없고 나는 공무로 마을에 와서 야간에 돌아갈수 없으니 특별히 당신 7째 집안 어르신을 예방하러 왔다.”  
李忠說:“我家七爺被武家的飛天豹武七子請去浬江寺了。我家八爺在家, 老人家請在此少等片刻, 我去回稟一聲。”
이충설 아가칠야피무가탄적비천표무칠달자청거광리강사료 아가팔야재가 니노인가청재차소등편각 아거회품일성
이충이 말했다. “우리 7재 어르신은 무가탄의 비천표 무칠달자께서 리강사에 재를 지내러 가셨습니다. 우리집 8째 어르신은 집에 계시니 당신 어르신은 여기서 잠시 기다리시면 제가 가서 아뢰겠습니다.”   
劉老爺說:“去回家八爺知道, 我在這裏等。”
유노야설 니거회니가팔야지도 아재저리등니
유노야가 말했다. “당신이 가서 당신 8째 어르신께 알리고 나는 여기서 당신을 기다리겠네.”  
李忠轉身來到裏面書房, 見案上擺着杯盤殘菜, 兩個書童三多、九如在那裏說話。
이충전신래도리면서방 견안상파착배반잔채 양개서동삼다 구여재나리설화
이충은 몸을 돌려 안에 책방에 가서 책상위에 잔과 쟁단 남은 채소가 보였다. 두명의 서동인 삼다와 구여는 저곳에서 말하고 있었다.
一見李忠進來, 他二人說:“李二爺還沒睡覺?”
일견이충진래 타이인설 이이야환몰수각
한번 이충이 들어옴을 보고 그들 두명이 말했다. “이이야께서 다시 잠에서 깨시지 않으셨는가?”
李忠說:“八莊主裏去?”
이충설 팔장주나리거라
이충이 말했다. “여덟째 주인께서 어디 가셨는가?”
三多說:“不知道, 們白天這裏八莊主不是叫了一個相面的先生, 姓十名豆三, 號雙月, 他原來是新任知縣, 前來私訪, 被孔二爺看破, 把此人上, 送至西院之內, 八莊主七莊主不在家, 他拿鬼頭刀去結果他的性命, 要八莊主到西院去。”
삼다설 니부지도 찰문백천저리팔장주불시규료일개상면적선생 성십명두삼 호쌍월 타원래시신임지현 전래사방 피공이야간파 파차인곤상 송지서원지내 팔장주진칠장주부재가 타나귀두도거결과타적성명 니요팔장주도서원거파
삼다가 말했다. “당신 모르겠지만 그들은 대낮에 이 여덟째 주인께서 관상보는 선생이 아닌 사람을 불렀으니 성은 십 이름은 두삼이며 호는 쌍월이라고 하나 그는 원래 신임 지현으로 사적인 탐방을 와서 공어르신이 간파해내 이 사람을 묶게 해서 서원안에 보내 여덟째 주인은 7째 주인께서 집에 안 계시니 그는 귀두도를 가져 그의 생명을

키워드

팽공안,   유전사,   이칠후,   이팔후,   이충,   삼하현,   유정경,   지현,   공량
  • 가격6,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8.09.03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1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