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다산 정약용 선택 이유
Ⅱ. 본론
1. 다산 정약용의 생애
2. 교육사상의 특징
1) 수기치인을 교육적 인간상
2) 다산의 불가독설
3) 생산 기술 교육의 중요성 강조
4) 민족 주체성 교육 중시
5) 민본주의에 기초한 교육의 기회평등
3. 교육목적
4. 교육내용
5. 교육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 다산 정약용 선택 이유
Ⅱ. 본론
1. 다산 정약용의 생애
2. 교육사상의 특징
1) 수기치인을 교육적 인간상
2) 다산의 불가독설
3) 생산 기술 교육의 중요성 강조
4) 민족 주체성 교육 중시
5) 민본주의에 기초한 교육의 기회평등
3. 교육목적
4. 교육내용
5. 교육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의 동향은 언제나 미국의 교육 방법만을 따라한다고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교육은 단지 성리학 등의 유교로만 이루어진 교육을 했을 것이라고만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번 교육철학수업을 들으면서 우리나라의 교육사상을 접하고 또한 정약용의 교육사상까지 접하면서 나의 그러한 잘못된 편견들을 제대로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먼저 다산의 교육에 대한 이번 과제를 준비하면서 느낀 점을 하나하나 차례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 나가 알고 있듯이 조선시대의 성리학은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 당시의 성리학은 왕보다도 더한 힘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거기에 반한 행동을 하거나 언행을 하면 사회에선 가차 없이 그 사람을 용서하지 않는 꽉꽉 막힌 사회였다.
그러나 다산은 그러한 사회 속에서 거침없이 성리학의 그릇된 점을 비판하고 그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가치관을 정립하였다. 그 가치관 중에는 실학이 포함되는데 비록 조선시대에서는 크게 부흥하지 못하였고, 실제적으로 적용되지 못한 학문이었지만 다산을 통하여 조선시대의 꽉 막힌 모습만이 아닌 새로운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그는 이론적이며 학문적인 교육이 아닌 실제 인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을 추구하였다. 이는 곧, 양반 사대부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서민들을 위한 교육을 추구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비록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전제왕권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었다는 점이었다. 어쩔 수 없이 그도 조선시대의 한 사대부임을 알 수 있는 면이었다. 그에 따라서 그는 평등 교육이 아닌 계급에 따른 교육 내용을 달리 하였다는 것은 아무래도 그가 비판받아야 하는 내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셋째, 다산의 교육 내용에 보면 중국의 교육내용만을 숭배하지 말고 그때 당시의 자기나라의 고사에도 주목할 것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미국교육과 일본문화에 물들어있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과 학생들에게 커다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다산은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만이 아니라 그 학생들에게 공부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 또한 교사의 역할이라고 하였다.
교사라는 단어를 들으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은 단지 교사가 하는 일은 학생을 가르치는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나 또한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다산은 교사가 해야 할 일이 학생을 가르치는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며 즉, 이는 학생을 누구보다도 배려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조화태, 박종배(2010)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문원(2002) 한국의 교육사상가, 문음사
이만규(2010)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 거름
이원재(2011)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 교육이 보인다, 문음사
황의동(1998)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강기수(1998) 교육사상사, 세종출판사
김교빈(2008) 한국 철학 에세이, 동녘
강만길 외(2004) 한국의 실학사상, 삼성출판사
김경식(1999) 교육사, 철학신론
첫째,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 나가 알고 있듯이 조선시대의 성리학은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 당시의 성리학은 왕보다도 더한 힘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거기에 반한 행동을 하거나 언행을 하면 사회에선 가차 없이 그 사람을 용서하지 않는 꽉꽉 막힌 사회였다.
그러나 다산은 그러한 사회 속에서 거침없이 성리학의 그릇된 점을 비판하고 그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가치관을 정립하였다. 그 가치관 중에는 실학이 포함되는데 비록 조선시대에서는 크게 부흥하지 못하였고, 실제적으로 적용되지 못한 학문이었지만 다산을 통하여 조선시대의 꽉 막힌 모습만이 아닌 새로운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그는 이론적이며 학문적인 교육이 아닌 실제 인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을 추구하였다. 이는 곧, 양반 사대부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서민들을 위한 교육을 추구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비록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전제왕권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었다는 점이었다. 어쩔 수 없이 그도 조선시대의 한 사대부임을 알 수 있는 면이었다. 그에 따라서 그는 평등 교육이 아닌 계급에 따른 교육 내용을 달리 하였다는 것은 아무래도 그가 비판받아야 하는 내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셋째, 다산의 교육 내용에 보면 중국의 교육내용만을 숭배하지 말고 그때 당시의 자기나라의 고사에도 주목할 것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미국교육과 일본문화에 물들어있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과 학생들에게 커다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다산은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만이 아니라 그 학생들에게 공부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 또한 교사의 역할이라고 하였다.
교사라는 단어를 들으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은 단지 교사가 하는 일은 학생을 가르치는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나 또한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다산은 교사가 해야 할 일이 학생을 가르치는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며 즉, 이는 학생을 누구보다도 배려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조화태, 박종배(2010)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문원(2002) 한국의 교육사상가, 문음사
이만규(2010)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 거름
이원재(2011)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 교육이 보인다, 문음사
황의동(1998)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강기수(1998) 교육사상사, 세종출판사
김교빈(2008) 한국 철학 에세이, 동녘
강만길 외(2004) 한국의 실학사상, 삼성출판사
김경식(1999) 교육사, 철학신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