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검사도구의 제작 목적 및 이유
Ⅱ. 본론
1. 예술감수성의 의미와 중요성
2. 평정척도법
3.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의 제작
4. 내용타당도 및 구인타당도의 확보과정
5. 검사도구의 실제 실시 내용
Ⅲ. 결론 :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예술감수성의 의미와 중요성
2. 평정척도법
3.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의 제작
4. 내용타당도 및 구인타당도의 확보과정
5. 검사도구의 실제 실시 내용
Ⅲ. 결론 :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요하는 것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내에서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유아가 가지고 있는 예술 감수성을 평가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사의 실시는 짧게는 1개월, 길게는 3개월의 시간을 두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관찰 방법은 아이가 스스로를 평가하는 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육교사나 보호자가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고 따로 체크하는 방식을 따르도록 한다.
평가의 실시 장소는 유아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적절하며 음악활동, 춤, 미술 감상 등의 부분에 있어서는 가정보다는 유치원 등 보육시설이 보다 접근성이 크기 때문에 주체는 교사임이 바람직하며 평가 장소는 유치원이나 보육원 등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Ⅲ. 결론 :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이 글에서 제시한 평정척도 문항은 누리과정 및 예술교육에 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이에 관한 내용을 문장으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유아의 예술 감수성 평가에 있어서 상당한 대표성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예술 감수성\'에서의 예술과 감수성 모두 추상적인 개념이기에 \'예술 감수성\'의 측정을 위한 조작적 정의 및 구성개념의 검사도구화 역시 절대적으로 옳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차후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의 확보를 위한 후속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평가자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객관적인 도구 개발을 통해 문항이 설정되지만 유아의 행동을 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 체크를 하는 것은 평가자로서 행동의 유무 뿐 아니라 질 까지 평가하고자 하는 평정척도법의 특성 상 평가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평정척도법을 실시하는 데 있어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할 여지를 최대한 소거하고 평가자 역시 중립적인 시각 하에 유아의 예술감수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평정척도의 결과가 단순히 유아의 예술 감수성 평가에 그치지 않고 이를 토대로 예술 교육의 내용 구성이나 방법의 설계 등에 피드백 되거나 하는 식으로 사용되어 보다 유의미한 검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2013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2
최지원, 『예술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16.
평가의 실시 장소는 유아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적절하며 음악활동, 춤, 미술 감상 등의 부분에 있어서는 가정보다는 유치원 등 보육시설이 보다 접근성이 크기 때문에 주체는 교사임이 바람직하며 평가 장소는 유치원이나 보육원 등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Ⅲ. 결론 :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이 글에서 제시한 평정척도 문항은 누리과정 및 예술교육에 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이에 관한 내용을 문장으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유아의 예술 감수성 평가에 있어서 상당한 대표성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예술 감수성\'에서의 예술과 감수성 모두 추상적인 개념이기에 \'예술 감수성\'의 측정을 위한 조작적 정의 및 구성개념의 검사도구화 역시 절대적으로 옳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차후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의 확보를 위한 후속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평가자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객관적인 도구 개발을 통해 문항이 설정되지만 유아의 행동을 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 체크를 하는 것은 평가자로서 행동의 유무 뿐 아니라 질 까지 평가하고자 하는 평정척도법의 특성 상 평가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평정척도법을 실시하는 데 있어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할 여지를 최대한 소거하고 평가자 역시 중립적인 시각 하에 유아의 예술감수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평정척도의 결과가 단순히 유아의 예술 감수성 평가에 그치지 않고 이를 토대로 예술 교육의 내용 구성이나 방법의 설계 등에 피드백 되거나 하는 식으로 사용되어 보다 유의미한 검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2013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2
최지원, 『예술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16.
추천자료
교육평가A형-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
유아교육과=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교육평가A형 (방송통신대 2018)-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
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
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
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
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
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