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세시풍속의 개념
3.세시풍속의 특징
4.4계절을 대표하는 세시풍속
5.우리나라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세시풍속 설명(추석)
6.결론
7.참고자료
2.세시풍속의 개념
3.세시풍속의 특징
4.4계절을 대표하는 세시풍속
5.우리나라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세시풍속 설명(추석)
6.결론
7.참고자료
본문내용
.
한가위에는 그 해에 갓 나온 햅쌀로 밥을 지어 조상님께 먼저 차례를 지내고, 고운 옷을 입고, 정성스럽게 조상님과 부모님께 절을 한다. 한국 가정의례를 체험한다. 자국의 추석과 비교문화를 통하여 문화를 공유한다. 음식체험으로는 차례상은 가을에 거두어들인 햇곡식과 햇과일로 차례상을 차린다. 한 해 동안 농사지은 수확물을 가장 먼저 조상들께 바치려는 마음이 담겨있다. 갓 수확한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냈다. 추석에 빚은 송편을 '오려 송편'이라고 한다. '오려'란 올벼를 뜻하는 말로 그 해 추수한 햅쌀을 가루 내어 빚은 떡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예술체험 내용에는 강강술래의 의미와 유래를 배우고, 노래를 배우고 불러 본다. 지방마다 다른 곡조가 있음을 알게 한다. 더불어 경상도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를 사물놀이 장단에 맞춰 배워본다. 즉석에서 가사를 지어 부르기도 하고, 자국의 행사를 떠 올려 가사를 만들어 노래 불러본다. 한국의 장단을 익히고, 부녀자들의 흥미로운 놀이를 익힌다. 강강술래의 본고장 진도에 가서 직접축제에 참여한다. 지난시간에 배운 강강술래 가사를 익혀 함께 참여하여 단결된 축제속에 공동체의 신명남을 배운다. 추석의 세시풍속 농악놀이는 지역문화원에서도 세시축제로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6. 결론
역사적으로 볼 때, 세시풍속은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신라의 사시제, 백제의 제천과 오신제, 고구려의 동맹 등이 왕실에서 주도한 국가의례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부여의 영고, 동예의 무천, 가야의 수로왕에 대한 제사 등이 제천의식과 시기별 제 의례가 특징적이다. 고려시대에는 초기의 불교적 의례는 왕실 중심으로, 중기의 유교적 의례는 지배층 중심으로, 그리고 후기의 성리학적 의례는 민간에서 세시풍속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조선전기에는 주자『가례(家例)』를 수용하고, 유교적 의례와 태음력중심의 생활을 하는 가운데 태양력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변화가 나타났으며, 후기의 중요한 세시일은 오늘날과 흡사한 특징을 보였다. 근대에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 세시풍속도 변화, 전통 세시풍속 쇠퇴, 설과 추석의 명절유지 등으로 세시풍속의 변화와 변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는 공식적으로는 양력사용을 권장했지만, 일반대중은 태양태음력을 공통으로 사용했고, 도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생활방식 변화에 따른 전통 세시와 충돌 등이 나타났다. 현대에는 새로운 노동 리듬에 따른 시간인식이 출현하고 있고, 현대인의 생활리듬을 규정한 일주일 등으로 세시풍속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계절별ㆍ월별 분류의 특징은 전통사회의 농경생활에서 나타난 계절별 24절기를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로 분류하여 월별로 나눠보면 설, 대보름, 삼짇날, 한식, 초파일, 단오, 유두, 칠석, 추석, 상달, 동짓달, 섣달절기로 분류하여 세시풍속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는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자연에 대해 순응하는 의존적 삶의 지혜와 절기에 맞는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일상과는 구분되는 생활의 활력과 생존력을 도모한다. 축제적인 행사를 통하여 구복과 공동체의 삶을 지향하며, 1년을 주기로 반복되는 재생적인 의미를 가지는 특징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의 문화적 관습과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일상 속에 담겨있는 사상과 역사성을 습득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를 제시하여 한국문화의 세계화를 향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7. 참고자료
김성원 편(1994). 「한국의 세시풍속」. 명문당.
김종태, 최순권. 박수환 역주(2004).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조선전기 문집편」.국립민속박물관.
서찬석(2014). 「우리 민속놀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채우리.
염경화, 박수환 역주(2015).「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조선후기 문집편」. 국립민속박물관.
원영주(2017). 「열두달 세시풍속」. 계림.
윤호진 편역(2013). 「한시로 읽는 세시풍속1 단오」. 민속원.
이승수(2013). 「민속학자가 들려주는 우리 명절」. 두산동아.
인권환(2016). 「한국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태학사.
임동권(1989).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민속학회 편, ■한국민속학의 이해■, 서울, 문학아카데미, 108, 1994.
이정진ㆍ김창수ㆍ김정환, 한국축제 50선, 대왕사, 2013.
장주근, 한국의 세시풍속, 민속원, 2016.
한가위에는 그 해에 갓 나온 햅쌀로 밥을 지어 조상님께 먼저 차례를 지내고, 고운 옷을 입고, 정성스럽게 조상님과 부모님께 절을 한다. 한국 가정의례를 체험한다. 자국의 추석과 비교문화를 통하여 문화를 공유한다. 음식체험으로는 차례상은 가을에 거두어들인 햇곡식과 햇과일로 차례상을 차린다. 한 해 동안 농사지은 수확물을 가장 먼저 조상들께 바치려는 마음이 담겨있다. 갓 수확한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냈다. 추석에 빚은 송편을 '오려 송편'이라고 한다. '오려'란 올벼를 뜻하는 말로 그 해 추수한 햅쌀을 가루 내어 빚은 떡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예술체험 내용에는 강강술래의 의미와 유래를 배우고, 노래를 배우고 불러 본다. 지방마다 다른 곡조가 있음을 알게 한다. 더불어 경상도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를 사물놀이 장단에 맞춰 배워본다. 즉석에서 가사를 지어 부르기도 하고, 자국의 행사를 떠 올려 가사를 만들어 노래 불러본다. 한국의 장단을 익히고, 부녀자들의 흥미로운 놀이를 익힌다. 강강술래의 본고장 진도에 가서 직접축제에 참여한다. 지난시간에 배운 강강술래 가사를 익혀 함께 참여하여 단결된 축제속에 공동체의 신명남을 배운다. 추석의 세시풍속 농악놀이는 지역문화원에서도 세시축제로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6. 결론
역사적으로 볼 때, 세시풍속은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신라의 사시제, 백제의 제천과 오신제, 고구려의 동맹 등이 왕실에서 주도한 국가의례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부여의 영고, 동예의 무천, 가야의 수로왕에 대한 제사 등이 제천의식과 시기별 제 의례가 특징적이다. 고려시대에는 초기의 불교적 의례는 왕실 중심으로, 중기의 유교적 의례는 지배층 중심으로, 그리고 후기의 성리학적 의례는 민간에서 세시풍속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조선전기에는 주자『가례(家例)』를 수용하고, 유교적 의례와 태음력중심의 생활을 하는 가운데 태양력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변화가 나타났으며, 후기의 중요한 세시일은 오늘날과 흡사한 특징을 보였다. 근대에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 세시풍속도 변화, 전통 세시풍속 쇠퇴, 설과 추석의 명절유지 등으로 세시풍속의 변화와 변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는 공식적으로는 양력사용을 권장했지만, 일반대중은 태양태음력을 공통으로 사용했고, 도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생활방식 변화에 따른 전통 세시와 충돌 등이 나타났다. 현대에는 새로운 노동 리듬에 따른 시간인식이 출현하고 있고, 현대인의 생활리듬을 규정한 일주일 등으로 세시풍속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계절별ㆍ월별 분류의 특징은 전통사회의 농경생활에서 나타난 계절별 24절기를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로 분류하여 월별로 나눠보면 설, 대보름, 삼짇날, 한식, 초파일, 단오, 유두, 칠석, 추석, 상달, 동짓달, 섣달절기로 분류하여 세시풍속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는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자연에 대해 순응하는 의존적 삶의 지혜와 절기에 맞는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일상과는 구분되는 생활의 활력과 생존력을 도모한다. 축제적인 행사를 통하여 구복과 공동체의 삶을 지향하며, 1년을 주기로 반복되는 재생적인 의미를 가지는 특징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의 문화적 관습과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일상 속에 담겨있는 사상과 역사성을 습득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를 제시하여 한국문화의 세계화를 향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7. 참고자료
김성원 편(1994). 「한국의 세시풍속」. 명문당.
김종태, 최순권. 박수환 역주(2004).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조선전기 문집편」.국립민속박물관.
서찬석(2014). 「우리 민속놀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채우리.
염경화, 박수환 역주(2015).「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조선후기 문집편」. 국립민속박물관.
원영주(2017). 「열두달 세시풍속」. 계림.
윤호진 편역(2013). 「한시로 읽는 세시풍속1 단오」. 민속원.
이승수(2013). 「민속학자가 들려주는 우리 명절」. 두산동아.
인권환(2016). 「한국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태학사.
임동권(1989).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민속학회 편, ■한국민속학의 이해■, 서울, 문학아카데미, 108, 1994.
이정진ㆍ김창수ㆍ김정환, 한국축제 50선, 대왕사, 2013.
장주근, 한국의 세시풍속, 민속원, 2016.
추천자료
- 한국과 미국 언론의 문화 보도 비교
- [관혼상제]한국인의 삶과 상장례에 대한 사회문화적 의미
- 신윤복의 작품으로 알아보는 한국 풍속화의 특징
- 한국 현대소설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예)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자녀와 이주노동자 가정 현실...
- 한국 해비타트 자원개발의 실제 - 인적자원(자원봉사자) 활용을 위한 전략적 접근 -
- [문화유산, 문화유산 종류, 문화유산 보존, 문화유산 정보조직, 문화유산 관광자원화]문화유...
- 한국 자원봉사정신의 근거와 이념 및 외국 자원봉사의 현황(외국 자원봉사의 기원과 발달 및 ...
- (국제결혼의 증가와 한국 내에서의 인식)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대책 - 다문화 가정 증가 원...
- [올바른 여가 활동 방안] 여가불평등 - 스포츠·문화예술 (한국인 여가활동 특징과 여가 활동 ...
-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 다문화사회의 정의와 다문화사회에서 자원봉사자가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의 실천영역에 대...
- 최근 2년 이내에 대중매체(신문 뉴스 등)에서 다루어진 사회복지 조직과 관련된 주요 문제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