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한국어 어문 규범이란
2. 본론
1) 한글 맞춤법이란
-맞춤법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2) 표준어란
-표준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3) 표준발음이란
-표준발음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4) 외래어 표기 규정 이란
-외래어 표기 규정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3. 참고문헌
2. 본론
1) 한글 맞춤법이란
-맞춤법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2) 표준어란
-표준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3) 표준발음이란
-표준발음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4) 외래어 표기 규정 이란
-외래어 표기 규정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시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령]은 정확한 발음이 아니고 [촤령]이 맞는 발음입니다.
한 단어에서 앞의 음절이 ‘ㄹ’ 받침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모음이 ‘ㅑ, ㅕ, ㅛ, ㅠ’일 경우에는 ‘ㄹ’을 첨가하지 않고 받침 ‘ㄹ’과 뒤의 모음을 자연스럽게 연음해서 발음합니다. 그러므로 [촬령]이라고 하면 ‘ㄹ’ 소리를 불필요하게 첨가해서 발음한 것이고, 이때는 연음해서 ‘[촤령]’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아껴 쓰는 것을 [절략]이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것 역시 연음해서 [저략]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물론 [절략]으로 발음하는 단어도 있지만, 그것은 ‘마케팅 전략’과 같은 표현으로 쓸 수 있는, 전혀 다른 표현이죠. 물자 절약과 함께 환경 문제를 얘기할 때 ‘재활용[재활룡]’이라는 표현도 자주 나오는데, 이것 역시 [재화룡]이 맞습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ㄴ’ 소리를 첨가해서 발음하는 예도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앞 음절이 ‘ㅁ’ 받침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모음이 ‘ㅑ, ㅕ, ㅛ, ㅠ’일 경우에는 ‘ㄴ’을 첨가하지 않고 받침 ‘ㅁ’과 뒤의 모음을 자연스럽게 연음해서 발음합니다. 따라서 ‘검역[검녁]’이 아니라 [거:멱]이고, ‘감염[감념]’이 아니라 [가:
한 단어에서 앞의 음절이 ‘ㄹ’ 받침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모음이 ‘ㅑ, ㅕ, ㅛ, ㅠ’일 경우에는 ‘ㄹ’을 첨가하지 않고 받침 ‘ㄹ’과 뒤의 모음을 자연스럽게 연음해서 발음합니다. 그러므로 [촬령]이라고 하면 ‘ㄹ’ 소리를 불필요하게 첨가해서 발음한 것이고, 이때는 연음해서 ‘[촤령]’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아껴 쓰는 것을 [절략]이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것 역시 연음해서 [저략]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물론 [절략]으로 발음하는 단어도 있지만, 그것은 ‘마케팅 전략’과 같은 표현으로 쓸 수 있는, 전혀 다른 표현이죠. 물자 절약과 함께 환경 문제를 얘기할 때 ‘재활용[재활룡]’이라는 표현도 자주 나오는데, 이것 역시 [재화룡]이 맞습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ㄴ’ 소리를 첨가해서 발음하는 예도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앞 음절이 ‘ㅁ’ 받침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모음이 ‘ㅑ, ㅕ, ㅛ, ㅠ’일 경우에는 ‘ㄴ’을 첨가하지 않고 받침 ‘ㅁ’과 뒤의 모음을 자연스럽게 연음해서 발음합니다. 따라서 ‘검역[검녁]’이 아니라 [거:멱]이고, ‘감염[감념]’이 아니라 [가: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문법,한글맞춤법,표준 발음법,외래어 표기법
남북한 표준어 규정,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 로마자 표기 비교.
우리 주변의 매체에서 언어 규범(맞춤법 규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규정, 언어 예절 ...
로마자 표기원칙과 외래어 표준어 오용사례
20세기 초 신문에 나타난 외래어 표기 모음에 관한 고찰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
한국어어문규범)표준 발음법 제1항은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표기 규정에 ...
한국어어문규범 ) 표준 발음법 제1항은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