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개요
2. 실험 원리 학습
2.1 교류전압
2.1.1 교류전압
2.2 Dual Trace Method에 의한 위상각 측정
2.3 Triggered Seep Method에 의한 위상각 측정
2.4 Ellipse Method에 의한 위상각 측정
3. 실험 기기 및 부품
4. 실험 방법
2. 실험 원리 학습
2.1 교류전압
2.1.1 교류전압
2.2 Dual Trace Method에 의한 위상각 측정
2.3 Triggered Seep Method에 의한 위상각 측정
2.4 Ellipse Method에 의한 위상각 측정
3. 실험 기기 및 부품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이다. ⓐ지점에서는 y가 최대값을 갖고 x는 양의 값에서 0을 향해 진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림에 표시된 각 지점에 대한 X-Y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 8(c)]와 같다. [그림 8(c)]에서 수직축으로 양의 최대치가 두 군데(ⓐ, ⓑ) 있고 수평축의 최대치가 한군데(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수직축 대 수평축의 최대값의 개수비가 두 신호의 주파수와 같게 된다. 즉, 두 신호 x, y의 주파수비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두 소리의 진동수를 각각 와 라고 하고 진동수의 주기 차이를 , 시간을 라고 하면 리사쥬 도형을 함수식 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 [그림 9]는 주파수비에 대한 리사쥬 도형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3. 실험 기기 및 부품
- 신호 발생기 : 2대
- 오실로스코프 : 1대
- 저항 : 100 2개
- 커패시터 : 47, 100, 200, 각 1개
- 인덕터 : 10mH, 30mH, 47mH 각 1개
4. 실험 방법
4.1 Dual Trace Method 에 의한 위상각 측정
① [그림 10]과 같이 회로를 연결한다.
② 과 를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에 각각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시간에 따른 파형을 보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시간축을 10ms/div 또는 위상각을 측정하기에 편한 크기로 조정한다. 신호발생 기에서 나오는 정현파 신호의 진폭은 10V 주파수는 16Hz 로 한다.
③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④ 표 1과 같이 커패시터를 바꾸어가며 CH1에 대한 CH2의 위상각을 측정하여 vy1을 완성하고 rmEO의 파형을 그려라
⑤ 커패시턴스를 100 로 고정한 상태에서 주파수를 표 2와 같이 변경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여 표 2를 완성하라
⑥ [그림 11]과 같이 회로를 연결한다.
⑦ 과 를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에 각각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시간에 따른 파형을 보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시간축을 10ms/div 또는 위상각을 측정하기에 편한 크기로 조정한다.
⑧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⑨ 표 3과 같이 커패시터를 바꾸어가며 CH1에 대한 CH2의 위상각을 측정하여 vy1을 완성하고 rmEO의 파형을 그려라
⑩ 인덕터를 10mH로 고정한 상태에서 주파수를 표4와 같이 변경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여 표 4를 완성하 라
4.2 Ellipse Method 에 의한 위상각 측정
① [그림 10]과 같이 회로를 연결하라
② 과 를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에 각각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시간에 따른 파형을 보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시간축을 10ms/div 또는 위상각을 측정하기에 편한 크기로 조정한다. 신호발생 기에서 나오는 정현파 신호의 진폭은 10V 주파수는 16Hz 로 한다.
③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④ display 단추를 누른후 XY모드로 설정하여 나타난 도형을 그리고 도형으로부터 두 신호의 쉬상차를 구한다. 동일한 회로에서 표5와 같이 신호발생기의 추파수를 변경해가며 실험을 반복하여 표5를 완성 하라
4.2 리사쥬 파형에 의한 주파수 비의 측정
① 그림 12와 같이 회로를 연결하고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를 그림과 같이 인가하라.
②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③ 두 신호 발생기의 출력은 모두 진폭이 7V가 되게 조정한다. CH1과 CH2의 시간축은 20ms/div, 측정 전압의 크기는 5v/div 로 조정한다.
④ 표 6과 같이 신호발생기의 주파수를 각각의 경우에 맞게 조정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 오실로스코 프의 신호가 정지되지 않고 흐를 경우 stop 단추를 눌러 신호를 정지시킨다.
⑤ standard모드에서 두 신호의 위상차를 측정한다.
⑥ XY모드로 설정한후 나타나는 리사쥬 도형을 그리고 이때의 주파수비를 측정하라
⑦ 표6 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실험하여 표 6을 완성하라.
참고 및 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2818&cid=50313&categoryId=50313 리사쥬 도형
http://blog.naver.com/boyyubi/4002433746 주파수, 주기, 위상, 리사쥬 도형
http://nys1043.blog.me/220698335728 움직이는 도형 리사쥬
[7]
두 소리의 진동수를 각각 와 라고 하고 진동수의 주기 차이를 , 시간을 라고 하면 리사쥬 도형을 함수식 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 [그림 9]는 주파수비에 대한 리사쥬 도형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3. 실험 기기 및 부품
- 신호 발생기 : 2대
- 오실로스코프 : 1대
- 저항 : 100 2개
- 커패시터 : 47, 100, 200, 각 1개
- 인덕터 : 10mH, 30mH, 47mH 각 1개
4. 실험 방법
4.1 Dual Trace Method 에 의한 위상각 측정
① [그림 10]과 같이 회로를 연결한다.
② 과 를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에 각각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시간에 따른 파형을 보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시간축을 10ms/div 또는 위상각을 측정하기에 편한 크기로 조정한다. 신호발생 기에서 나오는 정현파 신호의 진폭은 10V 주파수는 16Hz 로 한다.
③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④ 표 1과 같이 커패시터를 바꾸어가며 CH1에 대한 CH2의 위상각을 측정하여 vy1을 완성하고 rmEO의 파형을 그려라
⑤ 커패시턴스를 100 로 고정한 상태에서 주파수를 표 2와 같이 변경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여 표 2를 완성하라
⑥ [그림 11]과 같이 회로를 연결한다.
⑦ 과 를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에 각각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시간에 따른 파형을 보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시간축을 10ms/div 또는 위상각을 측정하기에 편한 크기로 조정한다.
⑧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⑨ 표 3과 같이 커패시터를 바꾸어가며 CH1에 대한 CH2의 위상각을 측정하여 vy1을 완성하고 rmEO의 파형을 그려라
⑩ 인덕터를 10mH로 고정한 상태에서 주파수를 표4와 같이 변경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여 표 4를 완성하 라
4.2 Ellipse Method 에 의한 위상각 측정
① [그림 10]과 같이 회로를 연결하라
② 과 를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에 각각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시간에 따른 파형을 보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시간축을 10ms/div 또는 위상각을 측정하기에 편한 크기로 조정한다. 신호발생 기에서 나오는 정현파 신호의 진폭은 10V 주파수는 16Hz 로 한다.
③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④ display 단추를 누른후 XY모드로 설정하여 나타난 도형을 그리고 도형으로부터 두 신호의 쉬상차를 구한다. 동일한 회로에서 표5와 같이 신호발생기의 추파수를 변경해가며 실험을 반복하여 표5를 완성 하라
4.2 리사쥬 파형에 의한 주파수 비의 측정
① 그림 12와 같이 회로를 연결하고 오실로스코프의 CH1과 CH2를 그림과 같이 인가하라.
② SLOPE는 + , trigger source는 INTernal (CH1) 으로 조정한다.
③ 두 신호 발생기의 출력은 모두 진폭이 7V가 되게 조정한다. CH1과 CH2의 시간축은 20ms/div, 측정 전압의 크기는 5v/div 로 조정한다.
④ 표 6과 같이 신호발생기의 주파수를 각각의 경우에 맞게 조정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 오실로스코 프의 신호가 정지되지 않고 흐를 경우 stop 단추를 눌러 신호를 정지시킨다.
⑤ standard모드에서 두 신호의 위상차를 측정한다.
⑥ XY모드로 설정한후 나타나는 리사쥬 도형을 그리고 이때의 주파수비를 측정하라
⑦ 표6 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실험하여 표 6을 완성하라.
참고 및 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2818&cid=50313&categoryId=50313 리사쥬 도형
http://blog.naver.com/boyyubi/4002433746 주파수, 주기, 위상, 리사쥬 도형
http://nys1043.blog.me/220698335728 움직이는 도형 리사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