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관계가 아닙니다. 사회 통합, 민족 통일, 그리고 세계 속의 한국인 같은 이상을 실현하려면 우리 교육이 이 모순을 슬기롭게 극복하는 지혜를 가르쳐야 합니다. 그래서 구극에는 하나의 세계를 실현해야 합니다.
일곱째, 기성세대(학부모)에 대한 의식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기성세대의 의식이 변하지 않는 한 학생들의 입시위주의 교육 방식은 계속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의식개혁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각 지역이나 직장, 사업장 등 인간의 다양성을 인지하고 공존의식을 함양하여 소수의 엘리트 집단만을 선호하는 사고방식을 전환하여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학교가 풀무학교처럼 교육 과정을 운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더불어 사는 삶의 방식을 가르치는 것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학생들이 학창 시절을 지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직업의 다양성과 더불어 인간의 다양한 종을 인정하여 세상과 타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삶의 방식을 터득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리 학생들의 등굣길이 신명나는 발걸음으로 가득 찼으면 합니다. 끝으로 풀무학교의 인사를 마음속으로 외쳐봅니다. ‘밝았습니다’(아침),‘맑았습니다’(점심), ‘잘갔습니다’(또는,고요합니다, 저녁)
일곱째, 기성세대(학부모)에 대한 의식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기성세대의 의식이 변하지 않는 한 학생들의 입시위주의 교육 방식은 계속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의식개혁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각 지역이나 직장, 사업장 등 인간의 다양성을 인지하고 공존의식을 함양하여 소수의 엘리트 집단만을 선호하는 사고방식을 전환하여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학교가 풀무학교처럼 교육 과정을 운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더불어 사는 삶의 방식을 가르치는 것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학생들이 학창 시절을 지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직업의 다양성과 더불어 인간의 다양한 종을 인정하여 세상과 타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삶의 방식을 터득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리 학생들의 등굣길이 신명나는 발걸음으로 가득 찼으면 합니다. 끝으로 풀무학교의 인사를 마음속으로 외쳐봅니다. ‘밝았습니다’(아침),‘맑았습니다’(점심), ‘잘갔습니다’(또는,고요합니다, 저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