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했다. 유배지로 오가는 동안의 견문이나 유배지에서의 생활상 등 견문가사 또는 기행가사적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예컨대 먼 길을 오가는 도중에서의 견문, 경험들은 본래 남다른 표현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 선비들에게는 신선한 소재로 등장하는 것이 자연스런 일인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북천가>는 유배가사이자 일종의 기행가사이기도 하다. <북천가>는 철종 때에 홍문관 교리였던 김진형이 이조판서 서기순을 규탄하다가 함경도 明川으로 귀양을 가서 보고 겪은 일들을 노래한 이른바 유배가사이지만 오가는 도중이며, 유배지에서 겪은 일들을 노래한 일종의 기행문의 하나인 것이다. 그런데 일정한 사연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했던 이전의 유배가사와는 달리 <북천가>는 귀양살이의 고통보다는 유배지 명천에서의 풍류와 흥취로 가득 차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북천가>를 통해 조선후기 유배가사의 변모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Ⅰ. <북천가>와 유배가사의 변모
<북천가> 전체에 나타나 있는 정서는 유배가사라고 하기 어려울 정도로 호탕하고 경쾌하다. 이는 당시에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기행가사의 구성과 흥취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귀양살이 길이 갈 적에는 심난하고 고생스럽기 그지없었으나, 유배지에서는 후한 대접도 받고, 경치 좋은 북관 땅에서 아리따운 명기 군산월과의 즐거운 풍류생활도 맛보고 또 안락한 벼슬살이에서도 맛볼 수 없었던 귀중한 인생체험이 호탕하고 화려하게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먼저 <북천가> 서두의 한 대목을 살펴보자.
두루마기 한띄메고 北天을 향해셔니
四顧無親 孤獨單身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북천가>는 유배가사이자 일종의 기행가사이기도 하다. <북천가>는 철종 때에 홍문관 교리였던 김진형이 이조판서 서기순을 규탄하다가 함경도 明川으로 귀양을 가서 보고 겪은 일들을 노래한 이른바 유배가사이지만 오가는 도중이며, 유배지에서 겪은 일들을 노래한 일종의 기행문의 하나인 것이다. 그런데 일정한 사연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했던 이전의 유배가사와는 달리 <북천가>는 귀양살이의 고통보다는 유배지 명천에서의 풍류와 흥취로 가득 차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북천가>를 통해 조선후기 유배가사의 변모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Ⅰ. <북천가>와 유배가사의 변모
<북천가> 전체에 나타나 있는 정서는 유배가사라고 하기 어려울 정도로 호탕하고 경쾌하다. 이는 당시에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기행가사의 구성과 흥취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귀양살이 길이 갈 적에는 심난하고 고생스럽기 그지없었으나, 유배지에서는 후한 대접도 받고, 경치 좋은 북관 땅에서 아리따운 명기 군산월과의 즐거운 풍류생활도 맛보고 또 안락한 벼슬살이에서도 맛볼 수 없었던 귀중한 인생체험이 호탕하고 화려하게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먼저 <북천가> 서두의 한 대목을 살펴보자.
두루마기 한띄메고 北天을 향해셔니
四顧無親 孤獨單身
추천자료
서민가사의 정의 중 ‘서민 작가’와 ‘비판적 성향’의 서민의식이 과연 타당성을 갖고 있는지에...
규합총서를 통해 본 조선후기 민간의료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과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
문이재도를 통해 본 좋은 가사와 그 특징 분석
조선통신사를 통해 본 지역축제, 한일 문화 교류 사업, 조선통신사 기본개요, 행사별 일정표,...
조선 전기, 후기, 조선통신사 파견 목적, 조선 통신사를 통해 본 일본과 우리나라에 외교관계...
<춘향전>을 통해 본 조선후기 민중의 삶
조선후기 가사의 소설화 경향 분석 정리 (노처녀가, 덴동어미화전가 등)
유광억전(柳光億傳)을 통해 본 조선후기 과거시험의 폐단(유광억전 소개 조선의 과거시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