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천가를 통해 본 조선후기 유배가사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천가를 통해 본 조선후기 유배가사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 했다. 유배지로 오가는 동안의 견문이나 유배지에서의 생활상 등 견문가사 또는 기행가사적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예컨대 먼 길을 오가는 도중에서의 견문, 경험들은 본래 남다른 표현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 선비들에게는 신선한 소재로 등장하는 것이 자연스런 일인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북천가>는 유배가사이자 일종의 기행가사이기도 하다. <북천가>는 철종 때에 홍문관 교리였던 김진형이 이조판서 서기순을 규탄하다가 함경도 明川으로 귀양을 가서 보고 겪은 일들을 노래한 이른바 유배가사이지만 오가는 도중이며, 유배지에서 겪은 일들을 노래한 일종의 기행문의 하나인 것이다. 그런데 일정한 사연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했던 이전의 유배가사와는 달리 <북천가>는 귀양살이의 고통보다는 유배지 명천에서의 풍류와 흥취로 가득 차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북천가>를 통해 조선후기 유배가사의 변모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Ⅰ. <북천가>와 유배가사의 변모
<북천가> 전체에 나타나 있는 정서는 유배가사라고 하기 어려울 정도로 호탕하고 경쾌하다. 이는 당시에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기행가사의 구성과 흥취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귀양살이 길이 갈 적에는 심난하고 고생스럽기 그지없었으나, 유배지에서는 후한 대접도 받고, 경치 좋은 북관 땅에서 아리따운 명기 군산월과의 즐거운 풍류생활도 맛보고 또 안락한 벼슬살이에서도 맛볼 수 없었던 귀중한 인생체험이 호탕하고 화려하게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먼저 <북천가> 서두의 한 대목을 살펴보자.
두루마기 한띄메고 北天을 향해셔니
四顧無親 孤獨單身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