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말을 들은 황진이가 벽계수의 사람됨을 시험하기 위해 그가 지나가는 것을 기다렸다가 이 시조를 읊었다. 시조를 읊는 황진이의 아름다운 모습에 놀란 벽계수가 타고 가던 나귀에서 떨어졌다는 일화가 전한다. 큰소리 친 것과는 달리 별로 대범하고 군자답지 못한 벽계수를 보고 실망한 황진이는 다시는 그를 만나주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2.冬至(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春風(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시간의 시각화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
주제 : 임을 기다리는 한 여인의 처절함
3.청산(靑山)은 내 뜻이요 녹수(綠水)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어예어 가는고
주제: 자신을 청산에 비유하여 변치 않는 정을 노래하고 있다.
4.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 물 아니로다
晝夜(주야)에 흐르니 옛 물이 있을소냐
人傑(인걸)도 물과 같아야 가고 아니 오노매라
-> 주제: 변치 않는 사랑
5.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르던가
이시랴 하드면 가랴마는 제 구타여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 이별의 회한을 노래한 것으로 시조의 형식을 완전히 소화하고 있다는 평을 듣는 시조이 다.
주제 : 떠나보낸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마음
6.내 언제 신(信)이 없어 님을 언제 속였관대
월침삼경(月沈三更)에 온 뜻이 전혀 없네
추풍(秋風)에 지는 잎 소리야 낸들 어이하리오
-> 화담 서경덕과의 시조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2.冬至(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春風(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시간의 시각화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
주제 : 임을 기다리는 한 여인의 처절함
3.청산(靑山)은 내 뜻이요 녹수(綠水)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어예어 가는고
주제: 자신을 청산에 비유하여 변치 않는 정을 노래하고 있다.
4.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 물 아니로다
晝夜(주야)에 흐르니 옛 물이 있을소냐
人傑(인걸)도 물과 같아야 가고 아니 오노매라
-> 주제: 변치 않는 사랑
5.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르던가
이시랴 하드면 가랴마는 제 구타여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 이별의 회한을 노래한 것으로 시조의 형식을 완전히 소화하고 있다는 평을 듣는 시조이 다.
주제 : 떠나보낸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마음
6.내 언제 신(信)이 없어 님을 언제 속였관대
월침삼경(月沈三更)에 온 뜻이 전혀 없네
추풍(秋風)에 지는 잎 소리야 낸들 어이하리오
-> 화담 서경덕과의 시조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