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시조분석 - 고전문학감상 - 한국여류문학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진이시조분석 - 고전문학감상 - 한국여류문학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시조문학의 꽃 ‘황진이’
1.그렇다면 황진이는 누구인가?

2. 그녀의 작품을 어떻게 볼 것인가?
1)산과 물로 나타나는 이원적 세계
2) 자아의 내면에 투영된 대립과 갈등의 세계

3.마지막으로 - 정리

4.감상

본문내용

한국시조문학의 꽃 ‘황진이’
우리 고전문학의 연구가 남성작가 위주라는 것은 여성작가의 상대적 결핍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 그런데 고전문학 중에서도 특히 시가문학사를 살펴볼 때, 수많은 시가양식의 형성, 시대적 변이상황에 따른 발전, 변형, 그리고 소멸의 와중에서 오직 그 명맥을 현재에까지 잇고 있는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정형시인 \'시조\'양식에서 뛰어난 문학적 수준을 보여준 여류시인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황진이다. 황진이의 시조는 겨우 6수에 지나지 않지만, 그 작품들은 어느 사대부 시조와 비교하여도 나무랄 데가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여성의 섬세한 감수성으로 감정표출의 어려운 부분까지 잘 묘사하고 있다.
1.그렇다면 황진이는 누구인가?
일명 진랑(眞娘). 기명(妓名) 명월(明月). 개성(開城) 출생. 중종 때 진사(進士)의 서녀(庶女)로 태어났으나,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읽고 시(詩) ·서(書) ·음률(音律)에 뛰어났으며, 출중한 용모로 더욱 유명하였다. 15세 무렵에 동네 총각이 자기를 연모하다가 상사병(相思病)으로 죽자 기계(妓界)에 투신, 문인(文人) ·석유(碩儒)들과 교유하며 탁월한 시재(詩才)와 용모로 그들을 매혹시켰다. 당시 10년 동안 수도(修道)에 정진하여 생불(生佛)이라 불리던 천마산(天馬山) 지족암(知足庵)의 지족선사(知足禪師)를 유혹하여 파계(破戒)시켰고, 당대의 대학자 서경덕(徐敬德)을 유혹하려 하였으나 실패한 뒤, 사제관계(師弟關係)를 맺었다.
당대의 일류 명사들과 정을 나누고 벽계수(碧溪守)와 깊은 애정을 나누며 난숙한 시작(詩作)을 통하여 독특한 애정관(愛情觀)을 표현했다. ‘동지달 기나긴 밤을 한허리를 둘에 내어’는 그의 가장 대표적 시조이다. 서경덕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렸다.
2. 그녀의 작품을 어떻게 볼 것인가?
그녀의 작품은 시조 여섯 수와 한시 몇 수가 전한다. 특히 시조 6수에서는 그 시대 여성들의 표현의 벽을 뛰어넘어 자유분방한 애정을 풍부한 정감을 바탕으로 기교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는 그녀가 기녀였던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황진이의 작품들은 기녀인 작자가 이별의 상황을 노래한 애정시 이다. 또한 우리 문학사 연구에 있어서도 그녀의 신분상, 제재상의 특질에 따라 황진이의 시조는 기녀시조이면서 애정시조인 것으로 파악되어 왔다고 한다.
그런 황진이의 시조작품들은 주체와 대상의 대결과 화해라는 심층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는 황진이 시세계의 정서적 원형이 떠나가는 님에 대한 이별을 주제로, 만류하는 자아의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지니게 되는 구조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때로는 이별의 한탄으로, 때로는 서로 사랑하면서 이별을 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체념으로, 때로는 이별하려는 님에 대한 야속함을 드러내면서 유혹하는 어조로 나타나는 이원적 세계인식은 서로 갈등하다가 해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녀의 시조작품들이 보여주는 주체와 대상의 대결과 화해라는 심층구조는, 떠나가는 님(대상)을 水로, 만류하는 자아(주체)를 山으로 비유한다. 산은 자아의 불변성을 나타내며 정적인 수동성을 의미하고, 물은 대상의 가변성을 나타내며 유동의 상태이다. 즉, 산과 물을 통해서 이원적 세계의 대립구조가 긴장을 형성하면서 표면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산과 물의 상징체계가 6수 모두에 걸쳐 등장하지는 않는다. 산과 물에 이원적 세계를 나타내지 않은 경우 그녀의 세계인식은, 자아를 드러내어 자아의 진술 속에서 내면화된다. 따라서 지금부터 우리는 그녀의 작품을 내부 구조적으로 분석한 문학사 자료들을 바탕으로 위의 두 가지 관점을 가지고 그녀의 시조6수를 살펴 보겠다.
1)산과 물로 나타나는 이원적 세계
황진이는 그녀의 시조 속에 대립되는 두 개의 힘을 등장시켰다. 하나는 정적인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동적인 것이다. 이들은 각각 \'산\'과 \'물\'로 표상 된다. \'산\'은 고정된 자연이며 정적인 불변성이다. 그것은 변함 없는 작자의 자아이며 여성적 수동성의 표상이다. 반면 \'물\'은 변화하는 님의 마음이며, 유동적 가변성을 말한다.
「산은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8.2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