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
3. 고려속요의 교수학습 모형
4.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5. 나가며
2.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
3. 고려속요의 교수학습 모형
4.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5. 나가며
본문내용
5. 나가며
1. 들어가며
고전문학은 학습자는 물론 지도교사 또한 가르치기 힘든 부분 중 하나이다. 특히 고등부 교육과정에서는 고전의 원전표기 방식을 택하고 있다. 작품 그대로의 의미를 손상하지 않고 학습자가 직접 생각해 보고 문학의 깊이를 이해하도록 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현대어와 다른 표기방식에서 차이를 느끼고 해석에만 중점을 두어 학습하려고 한다. 이는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력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자 모두 흥미를 갖고 학습할 수 있는 다각적인 측면의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고전문학 중 문학성이 뛰어나고 원전을 학습자가 스스로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작품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산별곡」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작품의 화자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작품의 주제는 내용상 흐름이나 구조를 통해 다양하게 유추된다. 실연당한 자의 괴로운 마음을 노래한 것이라는 견해, 어지러운 세속을 떠나 자연에서 살고자 하는 선비의 심정을 읊은 것이라는 견해, 살길을 찾아 헤매는 유랑농민의 처지를 노래한 것이라는 견해 등이 있다.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 강좌(상)』, 창작과 비평사, 2007, p.111
이 중, 가장 설득력을 인정받는 견해는 ‘유랑농민의 노래’라는 학설이다.
본고는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청산별곡」 교수-학습에 있어 학습자 중심으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효과적인 내면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청산별곡」 교수-학습이 정서체험과 내면화에 치중한 나머지 그러한 내면화에 바탕이 되는 기본지식 습득에는 소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의 구조를 세워 습득하도록 하는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을 고려속요 교수-학습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다.
2.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
Brunner는 학생의 능동적 참여에 대한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론을 제시한 미국의 교육학자이다. 그는『교육의과정ProcessofEducation)』에서 교육내용으로 지식의 구조를 Brunner는 구조를 <기본개념> 내지 <일반적 원리>라는 말과 동의어로 쓰고 있다. 개념이든지 원리든지 간에 거기에는 ‘일반적general)’이라는 말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 ‘일반적’이라는 말은 상대적인 말이다.-Brunner(1989), 이홍우역 『교육의 과
1. 들어가며
고전문학은 학습자는 물론 지도교사 또한 가르치기 힘든 부분 중 하나이다. 특히 고등부 교육과정에서는 고전의 원전표기 방식을 택하고 있다. 작품 그대로의 의미를 손상하지 않고 학습자가 직접 생각해 보고 문학의 깊이를 이해하도록 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현대어와 다른 표기방식에서 차이를 느끼고 해석에만 중점을 두어 학습하려고 한다. 이는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력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자 모두 흥미를 갖고 학습할 수 있는 다각적인 측면의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고전문학 중 문학성이 뛰어나고 원전을 학습자가 스스로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작품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산별곡」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작품의 화자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작품의 주제는 내용상 흐름이나 구조를 통해 다양하게 유추된다. 실연당한 자의 괴로운 마음을 노래한 것이라는 견해, 어지러운 세속을 떠나 자연에서 살고자 하는 선비의 심정을 읊은 것이라는 견해, 살길을 찾아 헤매는 유랑농민의 처지를 노래한 것이라는 견해 등이 있다.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 강좌(상)』, 창작과 비평사, 2007, p.111
이 중, 가장 설득력을 인정받는 견해는 ‘유랑농민의 노래’라는 학설이다.
본고는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청산별곡」 교수-학습에 있어 학습자 중심으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효과적인 내면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청산별곡」 교수-학습이 정서체험과 내면화에 치중한 나머지 그러한 내면화에 바탕이 되는 기본지식 습득에는 소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의 구조를 세워 습득하도록 하는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을 고려속요 교수-학습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다.
2. Brunner의 발견학습 이론
Brunner는 학생의 능동적 참여에 대한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론을 제시한 미국의 교육학자이다. 그는『교육의과정ProcessofEducation)』에서 교육내용으로 지식의 구조를 Brunner는 구조를 <기본개념> 내지 <일반적 원리>라는 말과 동의어로 쓰고 있다. 개념이든지 원리든지 간에 거기에는 ‘일반적general)’이라는 말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 ‘일반적’이라는 말은 상대적인 말이다.-Brunner(1989), 이홍우역 『교육의 과
추천자료
교수학습이론의 의의, 역사, 수업원리, 교수학습이론의 통찰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의 자기주...
교수학습이론의 발견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의 시행착오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의 잠재학습이...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 의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 이론적 배경, 브루너교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개념과 장점,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특징...
체육과 이해중심게임학습(이해중심게임수업)의 의의와 유형, 체육과 이해중심게임학습(이해중...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의미와 의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특징...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방안 연구 ‘-고’와 ‘-아서-어서’를...
대화중심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방안 연구 - 김광규의 ‘상행’을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