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모화’를 중심으로 한 무속과 무당
2. 무속의 입장에서 본 ‘모화’의 죽음
3. 김동리의 삶과 작품에 나타나는 무속과 「무 녀도」에서 보이는 무속의 새로운 의미
Ⅲ. 본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모화’를 중심으로 한 무속과 무당
2. 무속의 입장에서 본 ‘모화’의 죽음
3. 김동리의 삶과 작품에 나타나는 무속과 「무 녀도」에서 보이는 무속의 새로운 의미
Ⅲ. 본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무속에 대부분 주목하고 있는 것인데, 죽음의 문제를 삶 속에 끌어들이고자 했던 그의 문학 정신과 그 기반이 된 무속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보면 좀 더 밝고 희망적인 생각을 품을 수 있다. 모화가 예기소에 빠져 죽은 후에 거짓말처럼 낭이는 입을 열게 된다. 낭이는 어미 모화의 섬김을 받는 수국 ‘꽃님’의 화신으로, 모화 말에 의하면 꽃님 귀신이 붙어 벙어리가 되었다고 한다. 낭이는 욱이와 모화 사이에서 중간의 위치에 서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녀의 그림이 모화가 낭이를 칼로 찌르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무당으로서의 어머니가 아닌 인간 어머니를 원하지만, 거부할 수 없는 그녀의 무속성. 그리고 그녀의 그림 ‘무녀도’는 그녀를 사건을 해결하는 무속으로 만들어버린다. 소설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증인이고, 동시에 무속과 기독교의 대립과 화해라는 변증법적인 구조의 중심에 서있는 낭이는 시대의 아픔을 해결할 수 있는 한 줄기 빛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기저에 우리의 전통 무속이 있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새롭게 봐야 할 것은 부계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 여성중심의 무속을 통해 강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창조한다는 것이다. 남성중심의 기독교에 맞서는 무속, 그리고 여성인 낭이를 통한 사건 해결은 무속의 승리라는 진실 속에 여성의 승리도 숨기고 있는 것이다.
Ⅲ. 結論
김동리, 그의 초기 작품 세계는 한국적이라는 특수한 환경이 정신적 산물, 즉 토착적인 신앙 속에 형성된 샤머니즘적인 인간의 세계였다. 그리고 그러한 대표작으로 ‘무녀도’를 들 수 있다. 비록 ‘모호한 상태에 빠져있는 창조적 충동’ 조회경 「김동리 소설 연구」국학자료원
, ‘양립할 수 없는 종교적 신념 때문에 비극적인 만남과 극단적 대립으로 죽어야 하는 일종의 운명적 결말을 보여줄 뿐’ 신동욱 「김동리의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인 삶의 인식」『동방학지』1981. 9. p230
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그는 암흑 같은 시대에 하나의 창조적인 해법을 ‘무녀도’를 통해 보여준 것이다. 그 바탕에 깔려있는 무속은
첫째, 자연과 인간, 삶과 죽음을 연결시켜 주는 하나의 거대한 통로 역할을 한다. 모화를 통해서 삶과 죽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은 과거이건 현대이건 간에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 원초적인 종교로서 유, 불, 선, 기독교 등을 폭넓게 수용하는 가운데 끈질긴 생명력으로 문제를 해결해주는 민족정신이다. 한국인의 생활사에 가장 깊이 밀착되어 있는 민간신앙인 무속을 통해 작가는 일제에 대항할 수 있는 민족혼을 심어주려고 했던 것이다.
또한 「무녀도」에 담긴 무속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생명의 빛을 가슴에 담은 여성의 무속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상과 같이 김동리의 「무녀도」를 통해 한국적 본질 강하게 스며 있는 무속을 알아보았다. 다른 무엇보다도 「무녀도」에 내재된 그 민족정신, 그 숭고한 정신과 고유성이 우리 민족 문학의 나아가야 할 길인 것이다.
※참고문헌
- 김동리 「황토기」하서출판사 1994
- 김동리 「김동리전집(15)」語文閣 1983
- 조회경 「김동리 소설 연구」국학자료원 1999
- 이택화 「김동리 소설 연구」충북대학교 대학원 1997
- 소순회 「김동리의 ‘무녀도’에 나타난 샤머니즘 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1992
- 조영민 「김동리 단편소설에 나타난 무속성 연구」관동대학교 대학원 1990
- 김영희 「김동리 소설연구 -인물 유형에 따른 사상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1993
- 이상근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샤머니즘과 기독교 -무녀도, 을화, 사반 의 십자가를 중심으로」강원대학교 대학원 1991
- 이두현 「한국민속학개설」일조각 2001
또 한 가지 새롭게 봐야 할 것은 부계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 여성중심의 무속을 통해 강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창조한다는 것이다. 남성중심의 기독교에 맞서는 무속, 그리고 여성인 낭이를 통한 사건 해결은 무속의 승리라는 진실 속에 여성의 승리도 숨기고 있는 것이다.
Ⅲ. 結論
김동리, 그의 초기 작품 세계는 한국적이라는 특수한 환경이 정신적 산물, 즉 토착적인 신앙 속에 형성된 샤머니즘적인 인간의 세계였다. 그리고 그러한 대표작으로 ‘무녀도’를 들 수 있다. 비록 ‘모호한 상태에 빠져있는 창조적 충동’ 조회경 「김동리 소설 연구」국학자료원
, ‘양립할 수 없는 종교적 신념 때문에 비극적인 만남과 극단적 대립으로 죽어야 하는 일종의 운명적 결말을 보여줄 뿐’ 신동욱 「김동리의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인 삶의 인식」『동방학지』1981. 9. p230
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그는 암흑 같은 시대에 하나의 창조적인 해법을 ‘무녀도’를 통해 보여준 것이다. 그 바탕에 깔려있는 무속은
첫째, 자연과 인간, 삶과 죽음을 연결시켜 주는 하나의 거대한 통로 역할을 한다. 모화를 통해서 삶과 죽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은 과거이건 현대이건 간에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 원초적인 종교로서 유, 불, 선, 기독교 등을 폭넓게 수용하는 가운데 끈질긴 생명력으로 문제를 해결해주는 민족정신이다. 한국인의 생활사에 가장 깊이 밀착되어 있는 민간신앙인 무속을 통해 작가는 일제에 대항할 수 있는 민족혼을 심어주려고 했던 것이다.
또한 「무녀도」에 담긴 무속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생명의 빛을 가슴에 담은 여성의 무속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상과 같이 김동리의 「무녀도」를 통해 한국적 본질 강하게 스며 있는 무속을 알아보았다. 다른 무엇보다도 「무녀도」에 내재된 그 민족정신, 그 숭고한 정신과 고유성이 우리 민족 문학의 나아가야 할 길인 것이다.
※참고문헌
- 김동리 「황토기」하서출판사 1994
- 김동리 「김동리전집(15)」語文閣 1983
- 조회경 「김동리 소설 연구」국학자료원 1999
- 이택화 「김동리 소설 연구」충북대학교 대학원 1997
- 소순회 「김동리의 ‘무녀도’에 나타난 샤머니즘 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1992
- 조영민 「김동리 단편소설에 나타난 무속성 연구」관동대학교 대학원 1990
- 김영희 「김동리 소설연구 -인물 유형에 따른 사상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1993
- 이상근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샤머니즘과 기독교 -무녀도, 을화, 사반 의 십자가를 중심으로」강원대학교 대학원 1991
- 이두현 「한국민속학개설」일조각 2001
추천자료
- 논문 김동리 소설 무녀도에 나타난 샤머니즘
- 김동리 소설 연구-작품내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 김동리 연구
- 김동리 선생님의 전기비평 - 『무녀도』를 중심으로
- [김동리]김동리의 일생, 김동리의 인간관, 김동리의 세계관, 김동리의 작품특성, 김동리의 사...
- [김동리 소설 무녀도]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가,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갈등양상, 김동리 소...
- 김동리의 『등신불(等身佛)』에 나타난 죽음의식의 연구 - 등신불의 원불교와 불교적 사생관...
- [한국현대소설론] 구성론 - 구성의 정의와 법칙 및 유형(구성의 의의, 구성의 이해요인, 구성...
- 박씨전에 나타난 다양한 사상 연구- 유가 도가 무속신앙 (儒 道 巫俗信仰)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