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서 론
Ⅱ . 본 론
1. 심청전의 주제
2. 권선 포교적 성격과 강창문학
3. 중요 화소의 재의적 성격
Ⅲ . 결 론
Ⅳ . 참고 문헌
Ⅱ . 본 론
1. 심청전의 주제
2. 권선 포교적 성격과 강창문학
3. 중요 화소의 재의적 성격
Ⅲ . 결 론
Ⅳ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부녀자들에 의하여 전승되었다는 점을 고려하고 그 전승 과정이 폐쇄된 사회에서의 전승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판소리 대본으로 쓰일 때까지 얼마마한 장구한 세월이 흘렀겠느냐 하는 것을 염두에 넣어야 하다. 현재의 기록으로는 기껏해야 순조 초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런 것들은 대개가 판소리 내지는 판소리계 소설에 대한 기록이어서 문장체 소설인 한남본계에는 미치지 못한다. 」1) 와 같이, 그 상한성이 ‘효종’에서 머무르고는 있는데, 여러 가지 전후 관계나 시대적 정황으로 미루어, 사재동 역시 선조 이전으로부터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라 조심스러운 추정을 하고 있는 터이다.
수많은 이본이 전해지고 있는 가운데 어떤 판본을 논의에 중심으로 삼는가에 대한 문제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핵심 바탕이다. 물론, 하나의 제목으로 이루어진 소설이 판소리계 소설과 문장체 소설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대립적인 면모를 보이는 와중에 한 이본만을 선택, 정밀히 연구하여 그에 따른 결론이 도출된들, 그것을 다른 여타의 이본에 대입시키기는 만무할 것이다. 그럼에도, 게으름을 핑계삼고 무기삼아, 중심판본을 선택해 보았다. 이어질 논의에 구심점이 되어줄 판본결정이야말로 가장 비중있는 핵심적 요소임에 틀림없으나 무지의 소산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선행되어진 연구를 중심으로 경솔히 결정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앞서 연구되어진 많은 자료를 참고한 결과, 바로 위 단락에서도 제시된 경판 24장본(한남본)을 심청전의 원전으로 삼았다.(이하 경판 24장본) 「한 개인의 창작 소설인 ‘경판 24장본’에 나오는 인명지명사물명 등은 모두 그저 단순히 명명부여되지 않고, 작품 구조 전체와 긴밀한 상관 관계를 지니고 붙여진 것으로, 이들이 본래적본질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2)
원전으로 삼은 경판 24장을 바탕으로, 뒤이어 논의될 내용들은 불교를 배경사상으로 본 심청전이다.
무속을 비롯한 불교, 유교, 도교의 3교 사상은 예로부터 뿌리깊게 박혀 있는 우리 민중의 중심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심청전 또한 예외는 아니어서, 이러한 사상적 기반이 혼합적으로 작품의 배경에 자리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심청전의 연원을 불전에서 찾는 주장이 있을 만큼, 3) 무엇보다 심청전의 핵심배경 사상은 불교에 그 기저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어질 글에서는 이에 대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崔文和, “坊刻本「沈淸傳」硏究,” 高麗大 碩論 [1977.2], pp.108-109
2) 成賢慶, “판소리 문학으로서의「沈淸傳」,”『東亞硏究』, 5[1985.2], pp.184-185
3) 史在東, “「沈淸傳」 硏究序說,”『語文硏究』, 7[1971.10], p.169
Ⅱ . 本 論
1. 沈淸傳의 主題
그간의 논의를 살펴 볼 때 심청전의 지배적 주제는 ‘孝’이다.
그러나 필자가 길지 않은 기간 동안 심청전을 공부하며 도출한 주제를 먼저 밝히고 시작한다면 ‘孝를 표면으로 내세운 佛敎의 勸善 布敎談’이다.
이에 대하여는 조금 뒤에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고, 이에 앞서 단순한 ‘孝’ 이외의 주제에 대한 흥미롭고도 다양한 연구결과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성승택은 심청이 죽음을 택한 것은 오히려 효에 거역하는 것으로 이것은 작품의 구성상 불가피한 모순이라고 보아 자아와 효의 충돌이란 측면에서 주제를 보았고4), 사재동은 효보다 더 근원적인 ‘희생적 참회비원에 의한 無上의 濟度 즉 절대적 불공에 따른 왕생극락’이 작품의 주제라 하였다.5) 또한 임용식은 심청전의 주제는 효가 아니라 ‘극심한 간난으로 인하여 그의 몸을 방매하고 또 죽어야만 했던, 티없이 맑고 청순한 한 소녀의 죽음’6)이라고 하여 색다른 주장을 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유영대의 경우 ‘가난한 현실과 그 때문에 선인들에게 몸을 팔게 되는 상황에 대한 항의’ 라고 보기도 하였으며7) 설중환은 심청전의 주제를 ‘인간의식의 각성’이라고 하고, 이것은 인간성 회복을 부르짖던 근대화의 정신인 실학과도 일치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8)
이러한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는 당위성은 물론, 전승과정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원전의 근원적 성격은 후대로 내려오게 되면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변해갔고 위에서도 살펴본 것과 같이 그 수다한 이본을 모두 통합시켜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경판 24장본을 살펴보자. 그 중 주제와 관련하여 가장 핵심적 화소라 할 수 있는 심청의 죽음 부분이다.
ㅣ일 그 ㅣ 자는 이 이슬거시니 팔니여
수많은 이본이 전해지고 있는 가운데 어떤 판본을 논의에 중심으로 삼는가에 대한 문제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핵심 바탕이다. 물론, 하나의 제목으로 이루어진 소설이 판소리계 소설과 문장체 소설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대립적인 면모를 보이는 와중에 한 이본만을 선택, 정밀히 연구하여 그에 따른 결론이 도출된들, 그것을 다른 여타의 이본에 대입시키기는 만무할 것이다. 그럼에도, 게으름을 핑계삼고 무기삼아, 중심판본을 선택해 보았다. 이어질 논의에 구심점이 되어줄 판본결정이야말로 가장 비중있는 핵심적 요소임에 틀림없으나 무지의 소산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선행되어진 연구를 중심으로 경솔히 결정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앞서 연구되어진 많은 자료를 참고한 결과, 바로 위 단락에서도 제시된 경판 24장본(한남본)을 심청전의 원전으로 삼았다.(이하 경판 24장본) 「한 개인의 창작 소설인 ‘경판 24장본’에 나오는 인명지명사물명 등은 모두 그저 단순히 명명부여되지 않고, 작품 구조 전체와 긴밀한 상관 관계를 지니고 붙여진 것으로, 이들이 본래적본질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2)
원전으로 삼은 경판 24장을 바탕으로, 뒤이어 논의될 내용들은 불교를 배경사상으로 본 심청전이다.
무속을 비롯한 불교, 유교, 도교의 3교 사상은 예로부터 뿌리깊게 박혀 있는 우리 민중의 중심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심청전 또한 예외는 아니어서, 이러한 사상적 기반이 혼합적으로 작품의 배경에 자리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심청전의 연원을 불전에서 찾는 주장이 있을 만큼, 3) 무엇보다 심청전의 핵심배경 사상은 불교에 그 기저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어질 글에서는 이에 대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崔文和, “坊刻本「沈淸傳」硏究,” 高麗大 碩論 [1977.2], pp.108-109
2) 成賢慶, “판소리 문학으로서의「沈淸傳」,”『東亞硏究』, 5[1985.2], pp.184-185
3) 史在東, “「沈淸傳」 硏究序說,”『語文硏究』, 7[1971.10], p.169
Ⅱ . 本 論
1. 沈淸傳의 主題
그간의 논의를 살펴 볼 때 심청전의 지배적 주제는 ‘孝’이다.
그러나 필자가 길지 않은 기간 동안 심청전을 공부하며 도출한 주제를 먼저 밝히고 시작한다면 ‘孝를 표면으로 내세운 佛敎의 勸善 布敎談’이다.
이에 대하여는 조금 뒤에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고, 이에 앞서 단순한 ‘孝’ 이외의 주제에 대한 흥미롭고도 다양한 연구결과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성승택은 심청이 죽음을 택한 것은 오히려 효에 거역하는 것으로 이것은 작품의 구성상 불가피한 모순이라고 보아 자아와 효의 충돌이란 측면에서 주제를 보았고4), 사재동은 효보다 더 근원적인 ‘희생적 참회비원에 의한 無上의 濟度 즉 절대적 불공에 따른 왕생극락’이 작품의 주제라 하였다.5) 또한 임용식은 심청전의 주제는 효가 아니라 ‘극심한 간난으로 인하여 그의 몸을 방매하고 또 죽어야만 했던, 티없이 맑고 청순한 한 소녀의 죽음’6)이라고 하여 색다른 주장을 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유영대의 경우 ‘가난한 현실과 그 때문에 선인들에게 몸을 팔게 되는 상황에 대한 항의’ 라고 보기도 하였으며7) 설중환은 심청전의 주제를 ‘인간의식의 각성’이라고 하고, 이것은 인간성 회복을 부르짖던 근대화의 정신인 실학과도 일치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8)
이러한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는 당위성은 물론, 전승과정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원전의 근원적 성격은 후대로 내려오게 되면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변해갔고 위에서도 살펴본 것과 같이 그 수다한 이본을 모두 통합시켜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경판 24장본을 살펴보자. 그 중 주제와 관련하여 가장 핵심적 화소라 할 수 있는 심청의 죽음 부분이다.
ㅣ일 그 ㅣ 자는 이 이슬거시니 팔니여
추천자료
자유주의 시각에서본 다국적기업의 영향
심청전 작품설명과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의 인물들 이청준의 눈길과 비교
막스 베버의 시각에서 본 한국 정치
[예술][시각예술][예술의 지시적성격][시각예술 영역][시각예술에서 본 이상 시][시각예술의 ...
사회문제론적 시각에서본 양극화문제
막스 베버의 시각에서 본 한국 정치
긍정적 시각에서 본 지적재산권
[요약]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_ 베리소온, 매릴린 얄롬 엮음
[요약]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문학교육론] 심청전의 작품 분석(심청의 ‘효’를 중심으로) - 심청전의 작품 소개, 심청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