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_ 베리소온, 매릴린 얄롬 엮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약]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_ 베리소온, 매릴린 얄롬 엮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베리소온, 매릴린 얄롬 엮음
 
제1장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p.9)
 -개관-
 1.가족의 기존 가정에 대한 페미니즘적 비판 (p.13)
 2. ‘가족’의 분해 : 생물학적/사회적 성 체계 (p.20)
 3. 가족 경험의 차이 (p.22)
 4. 가족은 소외되고 분리되어 있는가: 경계의 문제 (p.31)
 5. 가족과 시장간의 양면성: 애정적 보살핌과 개인주의 간의 양면성 (p.34)

제2장
 가족은 존재 하는가 (p.43)
 -새로운 인류학적 시각-
 1.말리노브스키의 가족개념 (p.44)
 2. 19세기 인류학자의 시각 (p.49)
 3. 가족에 대한 재고 (p.55)

제3장
 왜 19세기 페미니스트들은 ‘출산통제’에 반대하고 20세기 페미니스트들은 찬성하는가(p.63)
 -페미니즘, 재생산, 가족-

제4장
 완벽한 어머니의 환상 (p.82)
 1.전능한 어머니: 비난과 이상화 (p.84)
 2.성 (p.89)
 3. 공격성과 죽음 (p.91)
 4. 어머니의 소외 (p.94)
 5. 어머니일 수행에 대한 페미니즘적 해석의 심리문화적 근원 (p.96)
 6. 페미니즘과 어머니일 수행: 초기의 정치학을 넘어서 (p.102)

제5장
 어머니의 사고방식
 1.어머니일 수행을 지배하는 관심(p.116)
 2.자녀의 생명보존에 대한 관심(p.118)
 3.자녀의 성장을 촉진하는 관심(p.121)
 4.수용가능한 자녀로 키우려는 관심(p.124)
 5.배려 깊은 사랑의 능력(p.128)
 6.사회 정치적 함의(p.131)

제 6장
 어머니일 수행, 아버지일 수행 그리고 정신 질환(p.140)
 1. 정신병에 대한 서구의 개념들(p.141)
 2.프로이드와 가족(p.144)
 3.가족체계이론(p.146)
 4.정신분열증의 생물학적인 요인(p.151)

제7장
 부부재산법에 대한 시각 변화(p.162)
 1.미국 부부재산법의 역사 개요(p.164)
 2. 현재의 부부 재산권 논쟁(p.168)
 3. 사적 계약에 대한 관심 증가(p.177)
 4. 합의이혼으로서의 개정이 미치는 영향(p.178)

제8장
 남성들은 왜 저항하는가(p.186)
 1. 성역할의 범위(p.190)
 2. 지배자의 사회학(p.195)
 3. 반란에 대한 지배자의 반응 (p.198)
 4. 변화한 영역과 변화하지 않은 영역(p.200)
 5. 가정 내 의무와 직업(p.205)
 6. 현 변화와 기반(p.208)

제9장
 시장경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정생산 (p.215)
 1.가사노동: 필수적인 서비스의 준비 (p.217)
 2.가정경제의 경제적 분석에 있어서 무엇이 잘못 되었는가?(p.219)
 3.가사노동의 공헌에 대한 생활표준 향상의 영향 (p.222)
 4.상이한 가족에 의해 요구되는 자우너들 (p.226)
 5.가정경제의 변화하는 역할 (p.229)
 6.가정경제의 미래 (p.233)

제10장
 현대 미국의 가족과 계급 (p.238)
 - 이데올로기 이해를 위한 소고 -

제11장 
 복지국가의 기원에 있어서 가족의 위치 (p.265) 
 1.문제 제기
 2.복지국가의 기원 (p.276)
 3.진보주의와 근대가족 (p.292)
 4.결론 (p.308)

 제12장
 가족
 -그녀 자신만의 방에서 본 관점- (p.315)

본문내용

필요가 있는 점이다.
3)가정은 누구를 위한 은신처인가: 가사노동의 발전 (p.29)
어머니의 사랑과 낭만적 사랑이라는 이데올로기는 현대가족의 핵심을 정서적인 것으로 정의
함을 뜻한다. 파슨스 류의 견해에 따르면, 생산기능이 없어진 핵가족은 이제 자녀사회화와 가
족원의 정서적 생활을 주기능으로 특화되고 있으며, 이때에 부인은 ‘사회-정서적’ 지원의
주된 부담을 지게 된다. 이것은 가족을 가혹한 외부 세상의 은신처이며 일보다는 오히려
사랑의 장소로 묘사했던 19세기 이데올로기의 최신판이다.
페미니스트들은 다양한 가족원의 경험을 변별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가정은 누구를
위한 은신처이며 애정적 천국인가를 묻고 있다.
여성보다 가사노동을 훨씬 덜 하는 남성에게는 가정이 정말 은신처 혹은 적어도 여가의 장
소로 경험될 수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여성에게 가정은 상당량의 일을 해야 하는 장소이
다. 여성은 훨씬 더 자주 서비스 제공자이며, 남성과 자녀는 이러한 개별화된 서비스의 수
혜자이다. 그래서 성적 불평등의 패턴-남성의 특권과 보살핌을 받고 여가시간을 갖고자 하
나 번번히 충족되지 못하는 여성의 욕구-또한 가사노동에 핵심적인 문제이다.
4. 가족은 소외되고 분리되어 있는가: 경계의 문제 (p.31)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사적이고 자립적인 가족이란 하나의 이데올로기이며 문화적 이상
이고, 사회계층에 따른 변이와 가족, 경제, 국가간에 지속되고 있는 관계를 모호하게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과 합류한다.
19세기 페미니스트들은 가족과 임금노동, 사적 생활과 공적 생활의 영역분리를 당연시하였
다. 현대의 페미니스트들은 이러한 이분법에 도전하고 있다. 여성과 가족을 동격시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고 여성-그리고 남성-의 경험을 온전히 그대로 폭로하려 하면서 페미니스트들
은 여성과 가족에 대한 한정된 이해를 뛰어넘으려 애써왔다.
5. 가족과 시장간의 양면성: 애정적 보살핌과 개인주의 간의 양면성 (p.34)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사회적 성간의 관계를 좀더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
기 시작했으나, 이원론 적이라는 느낌은 가족이나 여타 사회제도에 대한 많은 페미니스트들의
사고 속에 여전히 기본적인 것으로 남아 있다. 또한 가족에 대한 우리의 재고는 기존 현상에
대한 친숙한 사고방식을 뛰어넘어 무엇이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해 주의 깊게 사고하는 계획
하는 것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가족의 위기”라고 부르는 분열과 소외
는 사실상 훨씬 광범위한 사괴적인 위기인데 그것이 해결되려면 사회, 경제, 정치생활 전반
의 변화가 요구된다.
제2장
가족은 존재 하는가 (p.43)
-새로운 인류학적 시각-
현대의 사회생활과 신념 속에 가족이 매우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우리는 가족의 역동성
을 파악하지 못했다. 또한 이상과 실제를 혼동하여, 친밀한 관계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문화적
으로 다양하다는 점의 깊은 읨를 인식하지 못하며 가정에서 ‘보살핌’이 이루어지는 것이 ‘자
연스럽다‘는 신념 때문에 복잡한 인간유대와 경험을 계산에 넣지 못한다.
이글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첫째는 사회과학자들이 의미하는 가족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후에 논의하겠지만 말리노브스키의견해가 잘못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말
리노브스키가 비판했던 19세기 이론가들의 작업을 살펴본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19세기 이론가들의 올바른 통찰력을 바탕으로 가족을 보는 견해에 몇가
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이는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제
도로서 가족을 보는 것이 아니라 현대 국가와 관련된 이제올로기적 구성체로 가족을 보는
것이다.
1.말리노브스키의 가족개념 (p.44)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 사이에 가족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말리노브스키는 자녀양
육이라는 가족의 보편적 기능에서 도출된 가족의 세 가지 특성에 대해 기술 했다.
첫째로 그는 가족이 분명한 경계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그이유는 가족이 어린 자녀를
돌보는 중요기능을 수행하려면 구성원과 비구성원을 구별할 수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그 자
녀에 대한 양육책임이 누구에게 있는가를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말리노브스키
는 가족원들이 함께 있을 수 있으며, 자녀양육에 관련된 일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말리노브스키는 가족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애정을 느낀다는 점을 지적했는데 오랜 기
간 동안 자녀양육에 힘쓴 부모들은 자신의 애정과 자녀의 애정을 통해 보상 받는다고 했다.
따라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에 대한 말리노브스키의 책은 자녀들을 애정을 가지고 돌본
다는 보편적 기능을 수행하는 가족개념을 사회학자들에게 심어주었다.
2. 19세기 인류학자의 시각 (p.49)
가족을 보편적 제도로 보는 말리노크스키의 견해는 현대의 학자들이 가정하고 있는 바와 일
치한다. 그러나 민속학적 증거를 보면, 이런 견해는 문외한인 관찰자가 생각하는 것보다도
훨씬 더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현재의 ‘가족’의 본질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첫째, 왜 많은 사회과학자들이 자본주의
적인 가족을 보편적 제도라고 믿는가 둘째, 인류학의 전통에는 우리의 가족을 ‘필수적이고 자
연적‘ 이라고 보는 견해를 대체할 만한 것이 없었는가 등의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만일 현대의 사회과학자들 대부분이 궁극적으로 여성과 가족을 불변의 생물학
적인 욕구들과 결합시키는 빅토리아 시대의 편견을 이어받는다면, 우리는 빅토리아 시대의
진화론자 들이 옳게 생각했던 부분을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19세기 학자들이 원시 사회에 대해서는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적 의미의 가족,
즉 생물학적, 법적으로 정의되며, 재산, 자기충족과 관련되고 가정 ‘내부’의 공간과 애정을지
니는 제한된 단위로서의 가족이 석기시대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국가가 지배라는 복합적인
사회형태 내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한 점에서는 옳았다.
반대로 현대의 제한된 가족은 이웃을 가족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분명 가족의 특성, 이데올
로기, 기능은 항상 동일한 것이 아니다. 빅토리아 시대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5.05.05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