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와 적용 (나룻배와 행인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와 적용 (나룻배와 행인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반응의 개념

III.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목표와 방향
1.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목표
2.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
3. 반응 중심 문학 수업 모형

Ⅳ. 교수 · 학습 과정안
1. 발표 제목 : 반응중심학습법을 적용한 문학수업 교수 · 학습 과정안
2. 선정 단원 소개
3. 단원 선정의 취지나 강조사항

Ⅴ. 나가며

본문내용

지도한다.
★ 시를 써 보고, 큰 소리로 낭송한다.
★ ‘바꾸어 쓴 시를 읽고 느낀 점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 원래의 시와 비교하여 느낌이 어떻게 달라졌나요?
(시에서 말하는 이에 따라 전달되는 느낌이 달라짐을 설명)
★ 자신의 느낌을 자유롭게 말하고, 시에서 말하는 이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전달효과가 달라짐을 이해한다.
★ ‘나룻배와 행인’에서 말하는 이를 학생들이 바르게 찾을 수 있는지 확인한다.
★ 읽은 시를 바탕으로, 시인이 설정해 놓은 말하는 이를 각자 찾아본다.
1. 나룻배와 행인에서 말하는 이는 누구인가요?
(이 때 말하는 이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한 학생이 말하는 이를 ‘나룻배’라고 한 경우, 나룻배가 어떤 처지에 있는지, 나를 왜 나룻배라고 했을지 생각해 보게 하여 말하는 이가 ‘나’임을 알 수 있게 한다.
1.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서 슬퍼하고 있는 ‘나‘
2. 나룻배에 비유한 나.
3. 나룻배.
개 별
학 습
창 의
학 습
★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나룻배와 행인‘처럼, 나를 사물에 빗대어 시를 써 보자. 그리고 ’나룻배와 행인‘의 형식을 빌려 내 마음을 전하는 시를 써 보자. (시 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좀 더 손쉽게 시를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 학생들은 자신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서 시를 써 본다.
- (교사용 지도서 예시답안 PPT)
8\'
정 리

평 가
(9′)
전 체
학 습
강 의
학 습
★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간단한 개념)
★ 학생들의 의견 중 재미있고 독특한 것들을 상기 시키면서 정리를 돕는다.
★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학습의 중요 내용을 떠올리며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한다.
★ 친구들이 생각한 의견을 잘 듣고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4′
교과서
개 별
학 습
형 성
평 가
★ 본시 학습 수업 내용을 정리한 형성평가를 실시한다.
★ 수행이 끝나면, PPT 화면을 보며 다 같이 풀어본다.
★ 형성평가를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 선생님과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자신이 잘못 생각했던 부분을 수정한다.
4′
형성
평가지
전 체
학 습
차 시
예 고
★ (1) ‘나룻배와 행인‘의 전체 내용 정리와 보충 심화 문제 및 모둠별 활동 수업 예고
- 강의한 내용 복습하는 과제 부여
-모둠별 발표 주제 정해오기 부여.
★ 사랑을 가득 담아 다음 시간에 보자며 인사한다.
★ 복습, 활동 지정 범위를 교과서 및 공책에 적어 놓는다.
★각 모둠들은 과제를 숙지하여 역할 분담 후 과제를 이행하도록 한다.
★수업에 감사함을 느끼며 인사 한다.
1′
교과서
Ⅴ. 나가며
지금까지 문학교육에서의 반응 중심 수업 모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문학 작품은 텍스트 자체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읽고 감상했을 때만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문학 수업은 독자의 요소는 고려하지 않고 텍스트에 대한 분석과 지식의 습득이 주를 이루어 왔다.
이러한 텍스트 중심의 문학교육이 이루어져 온 것에 대한 반성에서 반응 중심 문학 수업 모형이 비롯되었다. 반응 중심 문학 수업 모형은 텍스트와 독자의 어느 한 요소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와 독자의 거래를 통한 반응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즉 텍스트와 학생의 거래를 통한 반응의 형성을 통하여 작품의 이해와 감상 능력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인간성 함양이라는 문학교육의 궁극적 목표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반응 중심 모형을 적용한 문학 수업을 포함한 수업 외에도 모든 수업은, 수업을 주도하는 교사가 자유롭고 편안하게 수업할 수 있고, 내 학생들에게 가장 적절한 수업 방식이 되는 것이다.
또한 그럴 때에 수업의 목표를 최고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