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발달특성] 영아기의 신체발달, 뇌발달, 감각 및 지각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적 발달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 발달특성] 영아기의 신체발달, 뇌발달, 감각 및 지각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적 발달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아기의 발달

I. 신체발달

II. 뇌의 발달

III. 감각 및 지각의 발달

IV. 인지발달

V. 언어발달

VI. 정서발달

VII. 사회적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자매 조부모 친척 등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애착의 정도는 12개월 전후에 절정에 달했다가 18개월이 되면서 다른 사람에게 확대되어 간다. 이러한 애착은 부모가 영아에게 필요한 자극을 주고, 영아가 필요한 신호를 보낼 때 신속하게 반응함으로써 길러진다. 이때 부모가 부적절하게 자극을 주거나 따뜻하게 대해 주지 않으면 애착이 형성되는 기간이 오래 걸리고 강도가 약할 뿐 아니라, 때로는 애착형성에 장애가 나타난다. 할로우와 짐머만(Harlow & Zimmerman)의 원숭이 대상연구를 통하여 애착형성에서 수유보다는 신체적인 접촉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인스워드(Ainsworth, 1973)는 4단계로 애착형성을 설명하고 있는데, 첫 번째 단계는 출생~3개월까지로 영아는 빨기 젖찾기 파악반사 등을 통해 계속 대상에 머물러 있으려 한다. 두 번째 단계는 3-6개월경으로 영아는 친숙한 사람에게 애착을 보이면서 낯가림을 시작하게 된다. 세 번째 단계는 7개월부터 걸음마시기까지로 영아가 능동적으로 타인과의 신체접근을 추구하며, 9개월경에는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이 나타나게 된다. 분리불안은 친숙한 사람과의 분리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는 것으로써, 특히 부모와 떨어지는 상황에 불안감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리불안은 20-24개월경이 되면 대상영속성이 형성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영아는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에 비해 분리불안을 덜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주변 환경을 능동적으로 탐색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2.07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