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4명의 이례적인 르네상스 여성
2. 기독교 인문 학자들과 여성교육
3. 여성과 교육에 관한 루터의 개념
4. 캘빈과 귀족 (상류) 여성들
5. 급진 종교개혁 여성들
6. 영국 종교개혁과 여성들
7. 카톨릭 종교개혁과 여성들
Ⅲ. 결론
Ⅱ. 본론
1. 4명의 이례적인 르네상스 여성
2. 기독교 인문 학자들과 여성교육
3. 여성과 교육에 관한 루터의 개념
4. 캘빈과 귀족 (상류) 여성들
5. 급진 종교개혁 여성들
6. 영국 종교개혁과 여성들
7. 카톨릭 종교개혁과 여성들
Ⅲ. 결론
본문내용
스도와의 3차원적인 결혼 이었다. 이와 같은 결혼은 천국이라는 개념으로의 육체적인 연합과 영적인 양자연합 되었다.
재세례파 교도들은 가정이 우주의 축도로서의 교회라고 생각 했다. 그리스도가 교회를 이끈 것 같이 아버지는 가족을 이끌었다. 부모들은 자녀들이 읽기와 쓰기를 배우는 것을 도와주었다. “순교자의 거울”이라는 책속에 잘 구성된 편지글들은 어떤 아내들이 그들의 남편들보다 더 나은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워쿰 출신의 클리슨 이라는 여성은 문맹자였던 그녀의 남편을 위해 큰 소리로 읽어 주었으며 클리슨의 사형 집행자는 그녀의 충실한 교육이 그녀의 남편을 재세례파교로 유혹 했다고 주장했다. Claude de Vettre 는 목사의 아내로서 성경 본문의 위치를 잘 찾지 못하는 남편이 그녀를 칭찬할 정도였다.
재세례파의 헌신적 신앙의 사례들이 보존되어 있을 수 있었던 것은 여성 작가들과 예술가들의 역할 때문이었다. Balthasar Beck 이라는 재세례파교도와 결혼한 스트라스버그 출신의 Margret Pruss 라는 여성이 그 좋은 예이다. 1530년대 그들은 Press-Beck 라는 출판사를 세웠으며 재세례파 학자들과 목사들의 책들을 출판 하였다.
재세례파 여성 신도들은 캐톨릭과 신교도들로부터 동시에 박해를 당했다. 그 여성들의 이야기는 T. J. van Bright 에 의해 집필된 ‘순교자의 거울’에서 나타난다. 이 책에 실린 930명의 순교자들 중 300명 이상이 여성들이다.
Monjou 출신의 설교가 Maria 라는 여성은 1552년 Monschau (몬샤우)라는 곳에서 물속에 던져지는 익사형으로 사형을 당했다. Elizabeth Munstdorp 이라는 여성은 그녀의 남편과 Antwerp 라는 곳에서 사형을 당할 당시 결혼한 지 1년 밖에 되지 않았으며 임신 중이었다. 1573년 독일 국교회는 Malyken Wens를 수감한 뒤 고문해서 죽였다. 같은 해에 Malyken van Deventer라는 여성이 체포를 당해서 신념 때문에 순교를 당했다. Menno Simons와 함께 자주 여행을 하며 선교를 했었던 Leeuwarden 출신의 Elizabeth Dirks 라는 여성이 1549를 체포가 되었다. 종교 경찰들은 엘리자베스에 대해 잘 알고 있었는것 같은데 그 이유는 경찰들이 “우리가 드디어 확실한 사람을 잡았다. 우리가 그 여선생을 잡았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엘리자베스의 신앙과 죽음에 관한 민요는 가장 오래된 옛 스위스의 찬송가였던 Ausbund (아우스분트)에 포함 되어 있다. 이 찬송가는 15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지금도 북미 아미쉬 공동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어느 저술가는 재세례파 여성들을 극찬하기를 “여성은 재세례 신앙운동을 통해 종교적 문제에서 진정한 해방자로서와 기독교 신념의 자의적 운반자로서 태어난다” 고 했다.
6. 영국 종교개혁과 여성들
영국에서는 핸리 8세 국왕 재위 때 여성들이 교육 받을 기회가 점점 줄어들었다. 그는 수많은 수녀원들을 폐쇄 시켰고 그 결과 대부분의 수녀원이 다시는 문을 열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조치는 영국 여성들의 교육 받을 기회를 크게 손상 시켰다. 보다 중요한 것은 핸리 8세의 박해는 수많은 순교자들의 생명을 빼앗았다.
여러 여성들이 고해성사에 대한 반대 의견을 말했으며, 영어 성경을 찬성하며 이교도라고 여겨지는 종교를 가족과 친구들에게 가르쳤다. 핸리 국왕은 그중에 Elizabeth Barton 과 Anne Boleyn 을 참수했으며 특히 Alice Potkin 을 굶주려서 죽게 했다.
순교자들이 관련된 아주 이례적인 사건은 Derby 출신의 맹인 Joan Waste (1500 - 1556)에 관한 것이었다. 그녀의 개신교로의 회심 이후 Joan 은 신약성경을 구입해서 한 노인에게 보수를 지급하며 매일 자신에게 성경을 읽게 했다. 그렇게 함으로서 Joan은 많은 양의 성경내용을 암기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캐톨릭 미사에 출석하는 것을 거부 하였다. 그 당시 범죄로 여겨졌던 이러한 행위로 인해 Joan은 1556년 화형을 당했다.
영국 개신교도들은 일반적으로 정통 교회들 보다는 여성들에게 권위, 표현, 종교적 자유를 더 많이 인정 하였다. 대체로 좀 더 급진적인 집단일수록 중요한 역할이 여성들에게 맡겨진다. 종교개혁 주의는 여성들에게 그들의 통찰력과 신감 (신에 대한 감정)을 표현 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 주었다.
\'형제들의 단체 - 친우회\' 라고 알려진 ‘퀘이크교도’ 퀘이커(Quaker)는 17세기에 등장한 개신교의 한 종파이다. 친우회(형제들의 단체, Society of Friends)란 뜻을 가지며, 퀘이커라는 이름은 하느님(하나님) 앞에서 떤다는 조지 폭스의 말에서 유래했다. 1650년대에 영국의 조지 폭스(George Fox)가 제창한 명상 운동으로 시작하였다. 창시자 조지 폭스는 19세에 집을 나와 4년간의 구도여행을 통해 펜들 힐(Pendle Hill)이라는 산에서 환상을 보며 그리스도의 진리를 깨달았다고 한다. 퀘이커는 영국 정부에 의해 탄압받았으나, 퀘이커 신도 윌리엄 펜이 불하받은 북아메리카 식민지 영토에 도시(현 미국 펜실베이니아)를 세움으로써 종교의 자유를 허용받았다.퀘이커 교도들은 퓨리턴과는 달리 구원 예정설과 원죄 개념을 부인했다. 모든 사람은 자기 안에 신성(神性)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기르는 법을 배우기만 하면 되고, 그렇게 신성만 기른다면 모두가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앨런 브링클리 (2005).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황혜성 외 역, 휴머니스트. ISBN 8958620293]대한민국의 유명한 퀘이커로는 함석헌 선생,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박성준 교수(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남편이자 평화학자이기도 하다.) 등이 있다.
는 내면의 빛이 남성과 여성이 종교적으로 동등 하게 만들었다고 믿었다. 캐스린 이반스는 그녀의 남편과 엘리자베스 리벤스와 함께 전도를 했었다. 그들은 쿼이크교들의 신앙전통을 신봉했다. Elizabeth Hooten 과 Elizabeth Williams 가 옥스퍼드에서 전도 할 때 시당국은 그들을 채찍질 한 뒤 도시 바깥으로 내
재세례파 교도들은 가정이 우주의 축도로서의 교회라고 생각 했다. 그리스도가 교회를 이끈 것 같이 아버지는 가족을 이끌었다. 부모들은 자녀들이 읽기와 쓰기를 배우는 것을 도와주었다. “순교자의 거울”이라는 책속에 잘 구성된 편지글들은 어떤 아내들이 그들의 남편들보다 더 나은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워쿰 출신의 클리슨 이라는 여성은 문맹자였던 그녀의 남편을 위해 큰 소리로 읽어 주었으며 클리슨의 사형 집행자는 그녀의 충실한 교육이 그녀의 남편을 재세례파교로 유혹 했다고 주장했다. Claude de Vettre 는 목사의 아내로서 성경 본문의 위치를 잘 찾지 못하는 남편이 그녀를 칭찬할 정도였다.
재세례파의 헌신적 신앙의 사례들이 보존되어 있을 수 있었던 것은 여성 작가들과 예술가들의 역할 때문이었다. Balthasar Beck 이라는 재세례파교도와 결혼한 스트라스버그 출신의 Margret Pruss 라는 여성이 그 좋은 예이다. 1530년대 그들은 Press-Beck 라는 출판사를 세웠으며 재세례파 학자들과 목사들의 책들을 출판 하였다.
재세례파 여성 신도들은 캐톨릭과 신교도들로부터 동시에 박해를 당했다. 그 여성들의 이야기는 T. J. van Bright 에 의해 집필된 ‘순교자의 거울’에서 나타난다. 이 책에 실린 930명의 순교자들 중 300명 이상이 여성들이다.
Monjou 출신의 설교가 Maria 라는 여성은 1552년 Monschau (몬샤우)라는 곳에서 물속에 던져지는 익사형으로 사형을 당했다. Elizabeth Munstdorp 이라는 여성은 그녀의 남편과 Antwerp 라는 곳에서 사형을 당할 당시 결혼한 지 1년 밖에 되지 않았으며 임신 중이었다. 1573년 독일 국교회는 Malyken Wens를 수감한 뒤 고문해서 죽였다. 같은 해에 Malyken van Deventer라는 여성이 체포를 당해서 신념 때문에 순교를 당했다. Menno Simons와 함께 자주 여행을 하며 선교를 했었던 Leeuwarden 출신의 Elizabeth Dirks 라는 여성이 1549를 체포가 되었다. 종교 경찰들은 엘리자베스에 대해 잘 알고 있었는것 같은데 그 이유는 경찰들이 “우리가 드디어 확실한 사람을 잡았다. 우리가 그 여선생을 잡았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엘리자베스의 신앙과 죽음에 관한 민요는 가장 오래된 옛 스위스의 찬송가였던 Ausbund (아우스분트)에 포함 되어 있다. 이 찬송가는 15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지금도 북미 아미쉬 공동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어느 저술가는 재세례파 여성들을 극찬하기를 “여성은 재세례 신앙운동을 통해 종교적 문제에서 진정한 해방자로서와 기독교 신념의 자의적 운반자로서 태어난다” 고 했다.
6. 영국 종교개혁과 여성들
영국에서는 핸리 8세 국왕 재위 때 여성들이 교육 받을 기회가 점점 줄어들었다. 그는 수많은 수녀원들을 폐쇄 시켰고 그 결과 대부분의 수녀원이 다시는 문을 열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조치는 영국 여성들의 교육 받을 기회를 크게 손상 시켰다. 보다 중요한 것은 핸리 8세의 박해는 수많은 순교자들의 생명을 빼앗았다.
여러 여성들이 고해성사에 대한 반대 의견을 말했으며, 영어 성경을 찬성하며 이교도라고 여겨지는 종교를 가족과 친구들에게 가르쳤다. 핸리 국왕은 그중에 Elizabeth Barton 과 Anne Boleyn 을 참수했으며 특히 Alice Potkin 을 굶주려서 죽게 했다.
순교자들이 관련된 아주 이례적인 사건은 Derby 출신의 맹인 Joan Waste (1500 - 1556)에 관한 것이었다. 그녀의 개신교로의 회심 이후 Joan 은 신약성경을 구입해서 한 노인에게 보수를 지급하며 매일 자신에게 성경을 읽게 했다. 그렇게 함으로서 Joan은 많은 양의 성경내용을 암기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캐톨릭 미사에 출석하는 것을 거부 하였다. 그 당시 범죄로 여겨졌던 이러한 행위로 인해 Joan은 1556년 화형을 당했다.
영국 개신교도들은 일반적으로 정통 교회들 보다는 여성들에게 권위, 표현, 종교적 자유를 더 많이 인정 하였다. 대체로 좀 더 급진적인 집단일수록 중요한 역할이 여성들에게 맡겨진다. 종교개혁 주의는 여성들에게 그들의 통찰력과 신감 (신에 대한 감정)을 표현 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 주었다.
\'형제들의 단체 - 친우회\' 라고 알려진 ‘퀘이크교도’ 퀘이커(Quaker)는 17세기에 등장한 개신교의 한 종파이다. 친우회(형제들의 단체, Society of Friends)란 뜻을 가지며, 퀘이커라는 이름은 하느님(하나님) 앞에서 떤다는 조지 폭스의 말에서 유래했다. 1650년대에 영국의 조지 폭스(George Fox)가 제창한 명상 운동으로 시작하였다. 창시자 조지 폭스는 19세에 집을 나와 4년간의 구도여행을 통해 펜들 힐(Pendle Hill)이라는 산에서 환상을 보며 그리스도의 진리를 깨달았다고 한다. 퀘이커는 영국 정부에 의해 탄압받았으나, 퀘이커 신도 윌리엄 펜이 불하받은 북아메리카 식민지 영토에 도시(현 미국 펜실베이니아)를 세움으로써 종교의 자유를 허용받았다.퀘이커 교도들은 퓨리턴과는 달리 구원 예정설과 원죄 개념을 부인했다. 모든 사람은 자기 안에 신성(神性)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기르는 법을 배우기만 하면 되고, 그렇게 신성만 기른다면 모두가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앨런 브링클리 (2005).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황혜성 외 역, 휴머니스트. ISBN 8958620293]대한민국의 유명한 퀘이커로는 함석헌 선생,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박성준 교수(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남편이자 평화학자이기도 하다.) 등이 있다.
는 내면의 빛이 남성과 여성이 종교적으로 동등 하게 만들었다고 믿었다. 캐스린 이반스는 그녀의 남편과 엘리자베스 리벤스와 함께 전도를 했었다. 그들은 쿼이크교들의 신앙전통을 신봉했다. Elizabeth Hooten 과 Elizabeth Williams 가 옥스퍼드에서 전도 할 때 시당국은 그들을 채찍질 한 뒤 도시 바깥으로 내
추천자료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르네상스시대(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루터) 발표자료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교육
[세계의 여가 발전사] 세계의 여가 발전과정(발달과정) -여가의 역사 (고대사회의 여가, 그리...
[주일학교교육론]주일학교 교육의 역사 - 구약시대, 신약시대, 초대교회, 중세와 종교개혁시...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중세의 교육, 르네상스, 종교개혁기, 실학주의, ...
종교개혁시대의 교육-루터의 생애와 종교개혁,루터의 종교개혁의 사상적 배경,루터의 교육적 ...
[근대교육사] 근대교육의 역사(발전과정) - 근대의 교육철학(문예부흥기, 종교개혁기 근대후...
르네상스 와 인문주의 교육,종교개혁과 교육,르네상스 운동,고대 그리스 문화 부흥,르네상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