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시대적 배경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2.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II. 코메니우스
1. 코메니우스의 생애
2.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기초
3. 코메니우스의 교육 사상
4. 코메니우스의 주된 교육사상 - 범지학
5. 범교육 속의 유아교육
6. 주요 저서
7.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이 미친 영향
8. 오늘날 우리 교육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시점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2.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II. 코메니우스
1. 코메니우스의 생애
2.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기초
3. 코메니우스의 교육 사상
4. 코메니우스의 주된 교육사상 - 범지학
5. 범교육 속의 유아교육
6. 주요 저서
7.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이 미친 영향
8. 오늘날 우리 교육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시점
본문내용
함께 가정, 직장, 사회, 국가에서의 의무를 잘 감당해 내기 위해서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성경, 모국어, 읽기, 쓰기, 셈하기, 음악, 체육, 공예, 가사 등이 포함된 초등교육을 모든 어린이들이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고 이들은 주장하였다. 현대의 보통의무교육은 사실상 이들로부터 시작된다.
첫째, 종교개혁은 성서를 독일어(모국어) 번역하여 교육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당시의 구교가 라틴어로 된 성서만을 고집하고 있었음에 반해,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보급한 것은 일반 서민들이 쉽고도 직접적으로 읽을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보통교육이 신속하게 보급되도록 영향을 주었다.
둘째, 종교개혁은 실용적인 인간을 길러 내는 데 기여했다. 종교개혁세력은 신앙의 자유, 그리고 인간 그 자체를 중요시한 결과 아동으로 하여금 즐겁게 교육받을 수 있게 하였으며, 과학적 진리를 허용하였다. 따라서 교육은 실제 사회에 유용한 인물을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게 되었다.
셋째, 종교개혁은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교육으로 하여금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의 조화를 도모하여 현실적인 사회발전을 강조하게 하였다. 교육의 지배 하에 있던 교육 기관이 시정하에 있게 되어 공교육 제도가 출현하게 되었다. 독일에서는 초등교육이 서민교육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기존의 교구학교나 도시학교를 변조하여 창설하게 되었다. 시민계급과 빈민의 자제를 위한 직업교육 실시되었다. 중등교육은 대학의 준비를 위한 교육이 주로 이루어져 고전 중심이 되었다. 대학은 거의 인문주의화 되었고, 교회의 많은 재산이 몰수되어 대학 건립과 운영에 쓰여졌으며, 교회의 감독권이 국왕에게 넘어감으로써 대학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초교육으로서의 가정교육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대다수의 종교 개혁가들이 모든 국가발전의 기초는 가정교육에 있으며, 자녀교육을 모든 교육 가운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가정교육에 대한 종교 개혁가들의 강조는 나중에 페스탈로찌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2.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1)인문주의 (humanism)
인문주의에 기초하는 르네상스 정신은 당연히 교육에도 반영되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의 교육사조를 ‘인문주의 교육’이라고 한다. 이 인문주의 교육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①. 개인적 인문주의(자유인문주의)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초기에 부유층을 중심으로 소수인에 의해 활기를 띠게 되었는데, 이 운동이 귀족적이며 개인주의적으로 이루어졌으므로 개인주의적 인문주의라 한다.
교육 목적은 지, 덕, 체의 조화로운 발달과 개성의 존중에 두었다.(자유인의 양성) 인문주의자들은 인간의 욕망은 결코 나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연으로서 마땅히 허용되어야한다고 하였다. 그들은 고대 아테네의 개성적 초월성과 개인적 자아실현에의 회귀를 핵심으로 삼았다. 즉, 인문주의는 사고의 자유, 자기표현 및 창의적 활동의 자유가 주된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인문주의는 고대 그리스의 자유교양이라는 이상을 추구했다. 즉, 지ㆍ덕ㆍ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여 인간적 교양을 갖춘 자유인을 길러내고자 했던 것이었다. 이러한 이념은 특히 희랍의 철학자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사상을 기초로 이루어졌다.
교육 내용은 중세의 신학 과목이나 내세적인 것보다는 인문학 과목과 현세에 치중하여 광범한 교육 내용, 즉 과거의 실생활로 그리스, 로마인의 생활에 관한 고전문학과 예술, 주관적 정서 생활에 관한 내용, 자연에 관한 연구 등을 가졌다.
이 개인적 인문주의는 두 가지 두드러진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하나는 다양한 흥미이고 또 하나는 계몽에의 열망이었다. 이러한 성격은 그들의 교과내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즉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문학, 고전예술을 중심으로 하여 라틴어·도덕·예의·체육·음악· 무용에 관한 교육을 하였고, 대학에서는 7자유과 중 문법·수사학·수학에 중심을 두면서 예술에도 치중했다. 초기에는 중세의 3학(trivium)과 4과(Quadrivium)까지도 가르치다가 나중에 논리학, 변증법 등은 차츰 사라지고 문법, 수사학 등이 강조되었다. 이처럼 인문주의의 교육은 다방면의 학과목을 두었으므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 등의 다방면에 능한 인물을 배출할 수 있었다.
교육 방법은 인쇄술의 발달로 교과서에 의한 강의가 대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논문 작성 등을 통하여 개성을 존중하고 기억을 중시하였으며 온화한 훈육을 원칙으로 하였다. 교사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주로 지도하여 어학 실력을 양성하게 하였으며, 자기 표현과 자연적 활동에 치중하였다.
교육 기관은 중등 교육 기관의 확립을 보게 되어 현재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즉, 이탈리아의 궁정학교, 프랑스의 꼴레쥬와 리세, 독일의 김나지움, 영국의 라틴어 문법학교이다.
특징은 중등 교육에 관심을 두었고(인문 중고등학교의 전통 형성) 사고의 자유와 개성을 존중했으며 전인교육이었다. 대표자로는 베지오, 실비우스, 비토리노 등이 있다.
② 사회적 인문주의(고전 본위의 인문주의) : 하류층 중심
북유럽의 하류층 사회에서 발달한 인문주의로 이탈리아와는 반대로 전 민중에게 교양을 넓혀, 사회 개혁 및 도덕 개혁을 이루자는 것이었다. 종교와 도덕에 의해 사회 전체의 행복을 추구하자는 것이므로 사회성이 짙어 사회적 인문주의라 한다.
인문주의는 지ㆍ덕ㆍ체가 겸비된 자유교양인을 기르기 위한 수단으로 고전문학의 학습을 강조했다. 즉,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문헌들을 공부함으로써 그 속에 담겨 있는 인본주의적 정신과 사상을 받아들이고자 했던 것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단순히 수단 또는 방법이어야 할 고전문학의 학습이 그 자체의 목적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그리하여 교육의 목적인 일상적인 생활 속에 밀접하게 녹아들지 못하고, 고대의 언어와 문학에 국한됨으로써 전인교육으로서의 이상이 실현되지 못하고 좁은 의미의 잘못된 인문주의 교육이 당시 유럽을 지배하게 되었다.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사상은 개인의 행복 달성보다는 사회개혁과 인간관계의 개선에 목적을 두었다.
첫째, 종교개혁은 성서를 독일어(모국어) 번역하여 교육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당시의 구교가 라틴어로 된 성서만을 고집하고 있었음에 반해,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보급한 것은 일반 서민들이 쉽고도 직접적으로 읽을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보통교육이 신속하게 보급되도록 영향을 주었다.
둘째, 종교개혁은 실용적인 인간을 길러 내는 데 기여했다. 종교개혁세력은 신앙의 자유, 그리고 인간 그 자체를 중요시한 결과 아동으로 하여금 즐겁게 교육받을 수 있게 하였으며, 과학적 진리를 허용하였다. 따라서 교육은 실제 사회에 유용한 인물을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게 되었다.
셋째, 종교개혁은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교육으로 하여금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의 조화를 도모하여 현실적인 사회발전을 강조하게 하였다. 교육의 지배 하에 있던 교육 기관이 시정하에 있게 되어 공교육 제도가 출현하게 되었다. 독일에서는 초등교육이 서민교육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기존의 교구학교나 도시학교를 변조하여 창설하게 되었다. 시민계급과 빈민의 자제를 위한 직업교육 실시되었다. 중등교육은 대학의 준비를 위한 교육이 주로 이루어져 고전 중심이 되었다. 대학은 거의 인문주의화 되었고, 교회의 많은 재산이 몰수되어 대학 건립과 운영에 쓰여졌으며, 교회의 감독권이 국왕에게 넘어감으로써 대학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초교육으로서의 가정교육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대다수의 종교 개혁가들이 모든 국가발전의 기초는 가정교육에 있으며, 자녀교육을 모든 교육 가운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가정교육에 대한 종교 개혁가들의 강조는 나중에 페스탈로찌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2.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1)인문주의 (humanism)
인문주의에 기초하는 르네상스 정신은 당연히 교육에도 반영되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의 교육사조를 ‘인문주의 교육’이라고 한다. 이 인문주의 교육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①. 개인적 인문주의(자유인문주의)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초기에 부유층을 중심으로 소수인에 의해 활기를 띠게 되었는데, 이 운동이 귀족적이며 개인주의적으로 이루어졌으므로 개인주의적 인문주의라 한다.
교육 목적은 지, 덕, 체의 조화로운 발달과 개성의 존중에 두었다.(자유인의 양성) 인문주의자들은 인간의 욕망은 결코 나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연으로서 마땅히 허용되어야한다고 하였다. 그들은 고대 아테네의 개성적 초월성과 개인적 자아실현에의 회귀를 핵심으로 삼았다. 즉, 인문주의는 사고의 자유, 자기표현 및 창의적 활동의 자유가 주된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인문주의는 고대 그리스의 자유교양이라는 이상을 추구했다. 즉, 지ㆍ덕ㆍ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여 인간적 교양을 갖춘 자유인을 길러내고자 했던 것이었다. 이러한 이념은 특히 희랍의 철학자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사상을 기초로 이루어졌다.
교육 내용은 중세의 신학 과목이나 내세적인 것보다는 인문학 과목과 현세에 치중하여 광범한 교육 내용, 즉 과거의 실생활로 그리스, 로마인의 생활에 관한 고전문학과 예술, 주관적 정서 생활에 관한 내용, 자연에 관한 연구 등을 가졌다.
이 개인적 인문주의는 두 가지 두드러진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하나는 다양한 흥미이고 또 하나는 계몽에의 열망이었다. 이러한 성격은 그들의 교과내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즉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문학, 고전예술을 중심으로 하여 라틴어·도덕·예의·체육·음악· 무용에 관한 교육을 하였고, 대학에서는 7자유과 중 문법·수사학·수학에 중심을 두면서 예술에도 치중했다. 초기에는 중세의 3학(trivium)과 4과(Quadrivium)까지도 가르치다가 나중에 논리학, 변증법 등은 차츰 사라지고 문법, 수사학 등이 강조되었다. 이처럼 인문주의의 교육은 다방면의 학과목을 두었으므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 등의 다방면에 능한 인물을 배출할 수 있었다.
교육 방법은 인쇄술의 발달로 교과서에 의한 강의가 대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논문 작성 등을 통하여 개성을 존중하고 기억을 중시하였으며 온화한 훈육을 원칙으로 하였다. 교사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주로 지도하여 어학 실력을 양성하게 하였으며, 자기 표현과 자연적 활동에 치중하였다.
교육 기관은 중등 교육 기관의 확립을 보게 되어 현재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즉, 이탈리아의 궁정학교, 프랑스의 꼴레쥬와 리세, 독일의 김나지움, 영국의 라틴어 문법학교이다.
특징은 중등 교육에 관심을 두었고(인문 중고등학교의 전통 형성) 사고의 자유와 개성을 존중했으며 전인교육이었다. 대표자로는 베지오, 실비우스, 비토리노 등이 있다.
② 사회적 인문주의(고전 본위의 인문주의) : 하류층 중심
북유럽의 하류층 사회에서 발달한 인문주의로 이탈리아와는 반대로 전 민중에게 교양을 넓혀, 사회 개혁 및 도덕 개혁을 이루자는 것이었다. 종교와 도덕에 의해 사회 전체의 행복을 추구하자는 것이므로 사회성이 짙어 사회적 인문주의라 한다.
인문주의는 지ㆍ덕ㆍ체가 겸비된 자유교양인을 기르기 위한 수단으로 고전문학의 학습을 강조했다. 즉,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문헌들을 공부함으로써 그 속에 담겨 있는 인본주의적 정신과 사상을 받아들이고자 했던 것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단순히 수단 또는 방법이어야 할 고전문학의 학습이 그 자체의 목적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그리하여 교육의 목적인 일상적인 생활 속에 밀접하게 녹아들지 못하고, 고대의 언어와 문학에 국한됨으로써 전인교육으로서의 이상이 실현되지 못하고 좁은 의미의 잘못된 인문주의 교육이 당시 유럽을 지배하게 되었다.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사상은 개인의 행복 달성보다는 사회개혁과 인간관계의 개선에 목적을 두었다.
추천자료
도산 안창호 선생의 교육사상과 현 교육과의 비교 고찰
[교육학개론]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F. Froebel의 교육사상과 유치원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루소의 교육사상 및 체육사상 고찰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주는 실천적 의미 연구
존 듀이의 교육사상과 특징 및 교육사적 의의 (2007년 최신 레포트)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한국 교육에 끼친 영향에 대한 비판
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론
19세기 교육사상, 국가주의교육 연구
<교육철학>진보주의와 본질주의 교육사상 개념정리,비교 및 평가
J.Dewey의 교육사상이 초등교육에 미친 시사점
루터의 교육사상 (교육목적 및 방법)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점
계몽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