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옥수수의 습격을 보고
우리 밥상 제대로 알고 있는가?
□ 우리 밥상 제대로 알고 있는가?
- 행복한 밥상,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 옥수수의 습격을 보고...
우리는 흔히 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들 그리고 길거리에서 사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들 책 「마이클 폴란의 행복한 밥상」과「브루스터 닌의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 하는가」그리고 TV프로인 SBS 스페셜 옥수수의 습격을 본다면 아마도 그 생각을 달리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이들 책과 TV프로는 그동안 우리가 무지했던 많은 음식에 관한 진실을 밝혀주고, 우리에게 새로운 가이드를 내려준다.
도대체 음식이란 무엇이기에 사람을 병들게 하고, 걱정을 하게 만드는 것인가? 왜 영양이라는 틀에 매여 사람이 누릴 수 있는 식사의 즐거움을 빼앗기게 되는가? 라는 물음에는 마이클 폴란의 행복한 밥상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는 우리가 식사를 해야 하는 틀을 3가지로 잡고 이에 따라서 수행하기를 바라고 있다. 그 세 가지는 ‘음식을 먹어라, 과식을 하지 마라, 주로 채식을 해라’라는 것이다. 현대 사회를 살면서 이 세 가지는 아주 쉬워 보이지만 실상은 아주 까다로운 문제이다.
첫 번째로 ‘음식을 먹어라’라는 대목에서는 실제의 음식, 우리 집 앞에 있는 마트들에서 식품코너 중앙을 차지하고 있는 음식 같은 물질이 아닌, 측면 코너 으슥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천연의 식품들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천연식품들이 우리 건강에 좋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왜 우리가 마트에 가게 되면 그 좋은 천연식품이 있음에도 가공된 음식을, 음식 같은 물질을 장바구니에 집어 담게 되는가라는 물음에 나는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우선 영양학자들에 세뇌에 의한 시민들의 영양 신격화라고 할 수 있다. 시중에 과학자들이 개발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 소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신라면 블랙 같은 겉보기에는 기존 신라면과 같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영양의 증대 때문에 고가의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구입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영양이 좋음 = 건강 증대’라는 등식 때문이다.
둘째로, 현대인들은 시간에
우리 밥상 제대로 알고 있는가?
□ 우리 밥상 제대로 알고 있는가?
- 행복한 밥상,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 옥수수의 습격을 보고...
우리는 흔히 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들 그리고 길거리에서 사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들 책 「마이클 폴란의 행복한 밥상」과「브루스터 닌의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 하는가」그리고 TV프로인 SBS 스페셜 옥수수의 습격을 본다면 아마도 그 생각을 달리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이들 책과 TV프로는 그동안 우리가 무지했던 많은 음식에 관한 진실을 밝혀주고, 우리에게 새로운 가이드를 내려준다.
도대체 음식이란 무엇이기에 사람을 병들게 하고, 걱정을 하게 만드는 것인가? 왜 영양이라는 틀에 매여 사람이 누릴 수 있는 식사의 즐거움을 빼앗기게 되는가? 라는 물음에는 마이클 폴란의 행복한 밥상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는 우리가 식사를 해야 하는 틀을 3가지로 잡고 이에 따라서 수행하기를 바라고 있다. 그 세 가지는 ‘음식을 먹어라, 과식을 하지 마라, 주로 채식을 해라’라는 것이다. 현대 사회를 살면서 이 세 가지는 아주 쉬워 보이지만 실상은 아주 까다로운 문제이다.
첫 번째로 ‘음식을 먹어라’라는 대목에서는 실제의 음식, 우리 집 앞에 있는 마트들에서 식품코너 중앙을 차지하고 있는 음식 같은 물질이 아닌, 측면 코너 으슥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천연의 식품들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천연식품들이 우리 건강에 좋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왜 우리가 마트에 가게 되면 그 좋은 천연식품이 있음에도 가공된 음식을, 음식 같은 물질을 장바구니에 집어 담게 되는가라는 물음에 나는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우선 영양학자들에 세뇌에 의한 시민들의 영양 신격화라고 할 수 있다. 시중에 과학자들이 개발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 소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신라면 블랙 같은 겉보기에는 기존 신라면과 같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영양의 증대 때문에 고가의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구입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영양이 좋음 = 건강 증대’라는 등식 때문이다.
둘째로, 현대인들은 시간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