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유가사상
1. 유가사상의 탄생과 핵심내용
2. 시대에 따른 유학의 발달과 특징
Ⅲ. 유가사상의 영향
1. 중국 안 유학의 지위
2. 세계의 유가사상
3. 현대 중국의 유가사상
Ⅳ. 결론
참고문헌
Ⅱ. 유가사상
1. 유가사상의 탄생과 핵심내용
2. 시대에 따른 유학의 발달과 특징
Ⅲ. 유가사상의 영향
1. 중국 안 유학의 지위
2. 세계의 유가사상
3. 현대 중국의 유가사상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과 ‘예’는 정신의 실질적인 면에서는 같다고 할 수 있다. ‘예’는 외적인 행위규범이고 ‘인’은 마음 안의 도덕적 자각(自覺)이기 때문이다.
셋째, ‘중용(中庸)’사상이다. ‘중용이란 어떠한 문제를 처리함에 있어 극단적으로 나아가지 않고 중간을 취(取)한다’ .咸恩仙, 『文化中』(차이나하우스, 2006), 12쪽.
는 뜻이다. 이러한 ‘중용지도(中庸之道)’는 훗날 중국인들이 일을 처리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상의 방법이 되었다.
넷째, ‘천명(天命)’사상이다.. 공자는 천명을 인정하고 ‘사생유명(死生有命), 부귀재천(富貴在天) “생사는 명을 따르고, 부귀는 하늘에 매어있다”. 張基槿 譯, 앞의 책, 412쪽.
’이라 여겼다. 동시에 공자는 ‘사람의 명운은 하늘이 결정하지만 사람이 수양하고 학습하면 자신을 제고(提高)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咸恩仙, 앞의 책, 13쪽.
. 공자의 이러한 인생에 대한 중시(重視)는 당시 사회사상 인식상의 하나의 중요한 진보(進步)이다.
다섯째, ‘공자의 핵심 교육사상은 유교무류(有敎無類), 인재시교(因材施敎)이다’. 공자의 교학(敎學) 기본 사상은 피교육자의 능력에 따라 가르친다는 ‘인재시교(因材施敎)’와 배우고자 희망하는 사람이면 차별하지 않고 누구나 가르친다는 ‘유교무류(유교무류)’에 있다.” 박재흥, 「공자의 사상과 발자취」, 『논어 품질 경영』(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61쪽
이는 교육대상의 평등성과 교육방법의 합리성을 갖춘 당시로선 획기적인 교육사상이다.
공자의 학설 이외에도 유가에는 매우 많은 유학자들의 사상학설이 있다. 예를 들자면, 전국시대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왕도정치(王道政治)‘, 순자의 ’성악설(性惡說)과 ’예치(禮治)와 법치(法治)의 결합‘, 송대(宋代)주자의 ’정주이학(程朱理學) 등이 있다.
2. 시대에 따른 유학의 발달과 특징
(1) 유가사상의 시대적 변천
공자에 의해 개창된 유학은 그 후 전국시대의 맹자(孟子)와 순자(荀子)가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그러나 그 시기의 유가사상은 독보적 위치에 있지 못하고 단지 당시 많은 사상 중의 하나였을 뿐이었다. 서한(西漢)시기에 유생(儒生) 동중서(董仲舒)가 한무제(漢武帝)에게 한(漢)나라에는 ‘사상파벌이 너무 많아 백성을 관리하는데 매우 불리하다고 생각되니, 다른 학파는 폐지하고 유가만 남길 것(黜百家, 尊儒)’ 王洪 , 앞의 책, 99쪽.
을 주장하였다. 한무제가 이를 승낙하게 되면서, 유가사상은 중국 봉건사회의 정통 통치사상이 되었고 비로소 중국 전통사상의 대표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남송시기에는 주희(朱熹:주자朱子)가 유가사상에 대하여 창의성이 가미된 즉 유가사상을 기초로 하고 거기에 불교(佛敎)와 도가(道家)사상을 흡수하여 ‘이학(理學)’ 같은 책, 100쪽.
이라는 신유학을 이루었다. 이학은 철학적인 방면에서 유학을 발전시킨 것이다.
유가사상은 공자에 의해 창립된 이래, 역대 학자들의 발전의 노력과 통치자들의 인정과 개조(改造) 등을 거쳐 점차 완전한 유가사상 체계를 형성하면서 중국 전통문화의 주류(主流)가 되었다
(2) 유가사상의 특징
유가사상은 ‘예’와 ‘인’을 근간으로 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와 과거의 진리를 천명하고 선인을 본받고 따르자는 복고주의(復古主義)가 특징이다.
공자의 ‘예’와‘인’의 학설은 역대 봉건지주계급 사상가에 의해 지지, 보완되어 봉건 예교사상으로 발전하여 신분제에 의한 위계질서를 정당화 했다. 이러한 봉건예교주의는 봉건통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사상적 기반이 되었지만, 피지배층에게는 사상적 압박도구가 되었다. 복고주의란 선인(先人)을 본받고 선친(先親)의 말씀을
셋째, ‘중용(中庸)’사상이다. ‘중용이란 어떠한 문제를 처리함에 있어 극단적으로 나아가지 않고 중간을 취(取)한다’ .咸恩仙, 『文化中』(차이나하우스, 2006), 12쪽.
는 뜻이다. 이러한 ‘중용지도(中庸之道)’는 훗날 중국인들이 일을 처리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상의 방법이 되었다.
넷째, ‘천명(天命)’사상이다.. 공자는 천명을 인정하고 ‘사생유명(死生有命), 부귀재천(富貴在天) “생사는 명을 따르고, 부귀는 하늘에 매어있다”. 張基槿 譯, 앞의 책, 412쪽.
’이라 여겼다. 동시에 공자는 ‘사람의 명운은 하늘이 결정하지만 사람이 수양하고 학습하면 자신을 제고(提高)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咸恩仙, 앞의 책, 13쪽.
. 공자의 이러한 인생에 대한 중시(重視)는 당시 사회사상 인식상의 하나의 중요한 진보(進步)이다.
다섯째, ‘공자의 핵심 교육사상은 유교무류(有敎無類), 인재시교(因材施敎)이다’. 공자의 교학(敎學) 기본 사상은 피교육자의 능력에 따라 가르친다는 ‘인재시교(因材施敎)’와 배우고자 희망하는 사람이면 차별하지 않고 누구나 가르친다는 ‘유교무류(유교무류)’에 있다.” 박재흥, 「공자의 사상과 발자취」, 『논어 품질 경영』(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61쪽
이는 교육대상의 평등성과 교육방법의 합리성을 갖춘 당시로선 획기적인 교육사상이다.
공자의 학설 이외에도 유가에는 매우 많은 유학자들의 사상학설이 있다. 예를 들자면, 전국시대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왕도정치(王道政治)‘, 순자의 ’성악설(性惡說)과 ’예치(禮治)와 법치(法治)의 결합‘, 송대(宋代)주자의 ’정주이학(程朱理學) 등이 있다.
2. 시대에 따른 유학의 발달과 특징
(1) 유가사상의 시대적 변천
공자에 의해 개창된 유학은 그 후 전국시대의 맹자(孟子)와 순자(荀子)가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그러나 그 시기의 유가사상은 독보적 위치에 있지 못하고 단지 당시 많은 사상 중의 하나였을 뿐이었다. 서한(西漢)시기에 유생(儒生) 동중서(董仲舒)가 한무제(漢武帝)에게 한(漢)나라에는 ‘사상파벌이 너무 많아 백성을 관리하는데 매우 불리하다고 생각되니, 다른 학파는 폐지하고 유가만 남길 것(黜百家, 尊儒)’ 王洪 , 앞의 책, 99쪽.
을 주장하였다. 한무제가 이를 승낙하게 되면서, 유가사상은 중국 봉건사회의 정통 통치사상이 되었고 비로소 중국 전통사상의 대표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남송시기에는 주희(朱熹:주자朱子)가 유가사상에 대하여 창의성이 가미된 즉 유가사상을 기초로 하고 거기에 불교(佛敎)와 도가(道家)사상을 흡수하여 ‘이학(理學)’ 같은 책, 100쪽.
이라는 신유학을 이루었다. 이학은 철학적인 방면에서 유학을 발전시킨 것이다.
유가사상은 공자에 의해 창립된 이래, 역대 학자들의 발전의 노력과 통치자들의 인정과 개조(改造) 등을 거쳐 점차 완전한 유가사상 체계를 형성하면서 중국 전통문화의 주류(主流)가 되었다
(2) 유가사상의 특징
유가사상은 ‘예’와 ‘인’을 근간으로 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와 과거의 진리를 천명하고 선인을 본받고 따르자는 복고주의(復古主義)가 특징이다.
공자의 ‘예’와‘인’의 학설은 역대 봉건지주계급 사상가에 의해 지지, 보완되어 봉건 예교사상으로 발전하여 신분제에 의한 위계질서를 정당화 했다. 이러한 봉건예교주의는 봉건통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사상적 기반이 되었지만, 피지배층에게는 사상적 압박도구가 되었다. 복고주의란 선인(先人)을 본받고 선친(先親)의 말씀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