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 이론
2-1)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하는 최고의 선
2-2)행복
2-3)덕이란?
2-4)중용
3.경험 사례
4.교과서 적용
도덕 4학년 2학기-진희의 고민
4-1) 실천적 지혜의 습득과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기 위한 지도방안
4-2) 행동적 실천을 가능토록 하기 위한 지도 방안
5.마치며..
2. 이론
2-1)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하는 최고의 선
2-2)행복
2-3)덕이란?
2-4)중용
3.경험 사례
4.교과서 적용
도덕 4학년 2학기-진희의 고민
4-1) 실천적 지혜의 습득과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기 위한 지도방안
4-2) 행동적 실천을 가능토록 하기 위한 지도 방안
5.마치며..
본문내용
있을 것인가? 그렇게 말 할 수 있다면 그것은 허영이자 허식일 뿐이다. 그들은 이렇게 해명할 수 있다. 우리 입장에서는, 우리 기준에서는 이것이 최선의 행위이며 중용이라고.
그러나 이것이 제 3자의 입장에서도 중용을 지킨 것이 되는가? 그러한 말이 결국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기위한 오만함이자 성인의 권위를 잘못 빗댄 비굴함이고 지위를 잃지 않기 위한 탐욕스러운 변명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듯 실제 사례에서 중용을 행하는 것은 실로 매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예비교육자로 훗날 아이들을 가르쳐야 할 입장이다. 어떻게, 어느 정도로 행동해야 하는지 중간이 아닌 중용의 입장에서 충분히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것이다.
4.교과서 적용
도덕 4학년 2학기-진희의 고민
말이 없고 조용한 성격의 진희는 1학기 회장이었던 종찬이의 도움으로 2학기 회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진희는 종찬이 때문에 고민할 때가 많습니다.
종찬이는 발표도 잘 하고, 수업 분위기를 잘 이끌어 갚 뿐만 아니라, 진희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곤 합니다. 그러나 종찬이는 목소리가 크고, 재미있는 말을 잘 하기 때문에 주위에 많은 친구들이 모여 늘 소란스럽습니다.
진희는 학급에서 친구들이 조용히 공부할 수 있도록 이끌 책임이 있지만, 종찬이에게는 조용히 하라는 말을 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함께 떠들다가 지적당한 친구들은
“왜 우리들의 잘못만 지적하고 종찬이에게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거야?”
라고 불평을 합니다.
떠드는 정도로 따진다면 종찬이가 가장 많이 지적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진희는 반에서 종찬이가 하는 역할과 자신을 도와 준 일 등을 생각하면 뭐라고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요즈음 진희는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고민입니다.
이 단원은 3. 공정한 생활에 속해있고 그중 1차시에 해당한다. 『이 제재의 주요 가치 덕목은 ‘공정’이며, ‘공정한 생활 태도’를 지도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공정한 생활 태도가 가지의 중요성을 이해시켜 일상 생활에서 공정한 행동을 해야 하는 까닭을 알고, 평소 공정하게 행동했는지 반성해 보며, 공정한 행동을 실천하도록 지도하려는 것이다.』라고 교사용 지도서에 나와있는 것처럼 이 단원은 공정함을 가르치는 단원이다. 이러한 ‘공정’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사례에 적합하고 그에 앞서서 진희의 상황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자신의 위치에서 고유한 본성과 기능이 최대한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덕 윤리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사례인 듯 해서 선정하게 되었다.
초등학교 4학년에게 공정한 행동에 대해서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질문들이 상당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①친구들이 진희에게 불평을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라고 물었을때 아이들은 어떻게 대답할까? 아마도 “진희가 친구들에게 대한것 처럼 똑같이 종찬이에게 대하지 않아서” 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에따른 ②위와 같은 경우에 진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는 질문에도 역시 아이들은 “종찬이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 라고 대답할 것임이 분명하다.
여기서 알 수 있듯 이 ‘똑같이’대하지 않은 부분이 문제가 된다. 진희는 공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신뢰를 잃었고 그것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서는 회장으로서 공정해 져야 한다. 우리는 이 부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적용할 수 있다. 진희가 똑같이 대하지 않은 부분이 정의를 잃었고 그에 따라 위엄도 잃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용에 입각한 올바를 판단이 아니였다고 할 수 있고 각자의 위치에서 고유한 본성과 기능이 최대한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덕 윤리의 입장에서 봤을
그러나 이것이 제 3자의 입장에서도 중용을 지킨 것이 되는가? 그러한 말이 결국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기위한 오만함이자 성인의 권위를 잘못 빗댄 비굴함이고 지위를 잃지 않기 위한 탐욕스러운 변명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듯 실제 사례에서 중용을 행하는 것은 실로 매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예비교육자로 훗날 아이들을 가르쳐야 할 입장이다. 어떻게, 어느 정도로 행동해야 하는지 중간이 아닌 중용의 입장에서 충분히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것이다.
4.교과서 적용
도덕 4학년 2학기-진희의 고민
말이 없고 조용한 성격의 진희는 1학기 회장이었던 종찬이의 도움으로 2학기 회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진희는 종찬이 때문에 고민할 때가 많습니다.
종찬이는 발표도 잘 하고, 수업 분위기를 잘 이끌어 갚 뿐만 아니라, 진희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곤 합니다. 그러나 종찬이는 목소리가 크고, 재미있는 말을 잘 하기 때문에 주위에 많은 친구들이 모여 늘 소란스럽습니다.
진희는 학급에서 친구들이 조용히 공부할 수 있도록 이끌 책임이 있지만, 종찬이에게는 조용히 하라는 말을 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함께 떠들다가 지적당한 친구들은
“왜 우리들의 잘못만 지적하고 종찬이에게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거야?”
라고 불평을 합니다.
떠드는 정도로 따진다면 종찬이가 가장 많이 지적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진희는 반에서 종찬이가 하는 역할과 자신을 도와 준 일 등을 생각하면 뭐라고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요즈음 진희는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고민입니다.
이 단원은 3. 공정한 생활에 속해있고 그중 1차시에 해당한다. 『이 제재의 주요 가치 덕목은 ‘공정’이며, ‘공정한 생활 태도’를 지도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공정한 생활 태도가 가지의 중요성을 이해시켜 일상 생활에서 공정한 행동을 해야 하는 까닭을 알고, 평소 공정하게 행동했는지 반성해 보며, 공정한 행동을 실천하도록 지도하려는 것이다.』라고 교사용 지도서에 나와있는 것처럼 이 단원은 공정함을 가르치는 단원이다. 이러한 ‘공정’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사례에 적합하고 그에 앞서서 진희의 상황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자신의 위치에서 고유한 본성과 기능이 최대한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덕 윤리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사례인 듯 해서 선정하게 되었다.
초등학교 4학년에게 공정한 행동에 대해서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질문들이 상당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①친구들이 진희에게 불평을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라고 물었을때 아이들은 어떻게 대답할까? 아마도 “진희가 친구들에게 대한것 처럼 똑같이 종찬이에게 대하지 않아서” 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에따른 ②위와 같은 경우에 진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는 질문에도 역시 아이들은 “종찬이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 라고 대답할 것임이 분명하다.
여기서 알 수 있듯 이 ‘똑같이’대하지 않은 부분이 문제가 된다. 진희는 공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신뢰를 잃었고 그것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서는 회장으로서 공정해 져야 한다. 우리는 이 부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적용할 수 있다. 진희가 똑같이 대하지 않은 부분이 정의를 잃었고 그에 따라 위엄도 잃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용에 입각한 올바를 판단이 아니였다고 할 수 있고 각자의 위치에서 고유한 본성과 기능이 최대한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덕 윤리의 입장에서 봤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