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사회의 이해 - 일제말기 제주도의 일본군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사회의 이해 - 일제말기 제주도의 일본군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치부가 있는 일본군 동굴기지를 사들여 자신들의 역사적 잣대로 바꿀 가능성은 매우 높다. 즉, 태평양 전쟁의 정당성이나 그 당시 일본군의 우월성을 보여주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조선 전역은 일본에 의한 수탈과 억압을 받았다. 그중에서 제주는 일본으로 끌려간 강제징용자가 많았던 지역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 일본이 최후까지 전쟁을 통해 군국주의를 포기하지 않았던 실상을 알 수 있는 가마오름 동굴진지는 참으로 귀중한 자료이지만, 국가에서는 아무런 신경 쓰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영근 관장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했지만, 일본에 매각할 수밖에 없는 참담한 심정을 말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제주도에 아픔이 곳곳에 눈에 보인다. 하지만 우리들은 그 아픔을 외면이 아닌 무관심 속에 방치해 두고 있다고 해야 맞는 말일 것이다. 전쟁유물을 조사하고 연구하고 많은 사람에게 알려야 하는 이유는 다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배우는 것은 아니어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지금 나라에서 조차도 그런 노력이 보이지 않는 것 같다. 늦기전에 조치를 취해야 할 것 같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9.01.05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