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택 동기
2. 칸트 이론
(1) 이성
(2) 선의지
(3) 정언명법
3. 경험 사례 및 분석
4.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
5. 마치는 글
6. 참고 및 인용
2. 칸트 이론
(1) 이성
(2) 선의지
(3) 정언명법
3. 경험 사례 및 분석
4.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
5. 마치는 글
6. 참고 및 인용
본문내용
약속이 있나요?
자기 자신과의 약속, 다른 사람들과의 약속이 있습니다.
- 지킬 수 없는 약속을 하면 되나요?
약속은 항상 지키려 노력해야 합니다.
- 현이가 찬성한 학급 규칙은 무엇인가요?
복도에서는 뛰지 않고 사뿐 사뿐 걸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현이가 친구와 한 약속은 무엇인가요?
친구에게 빌린 물건을 제 때에 돌려주는 것입니다.
- 현이는 두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그렇습니다.
- 현이는 두 약속을 모두 지킬 수 있을까요?
두 약속을 모두 지키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현이가 할 수 있는 선택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정리해 봅시다.
(개별 정리)
- 내가 현이였다면 어떤 선택을 할지 정해봅시다.
(모둠별 토론 및 판단내리기)
(2) 5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9단원 서로 돕고 힘을 모아
<협동을 위한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 탐구해 봅시다.>
다음 그림을 보고 사람들이 협동을 잘하지 않는 이유와 그 결과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그리고
협동을 위해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우리 사회는 협동과 경쟁의 조화 속에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함께’보다 “나만 더 커 보일 거야!”라고
생각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 모두는 공동체 속에서 여러 사람과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모두 “나 하나쯤이야!” 라고
생각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본 단원에서는 협동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실천하려는 마음을 기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칸트 이론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협동’을 도덕법칙으로 세우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상황에 대하여 협동하였을 때의 결과가 긍정적임을 근거로 협동의 가치를 가르친다면 해당 상황에 대해서는 협동을 선한 것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모든 상황에 적용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만약 협동하는 것이 조금이라도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되는 경우 협동을 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따라서 협동의 개념의 경우 교과서 내용과 같이 칸트의 정언명령 ‘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에 비추어 생각해보도록 가르치는 것이 좋다. “나만 더 커 보일 거야”라는 이기적인 생각은 개인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옳을 수도 있지만 모두가 “나 하나쯤이야!” 라고 생각한다면 그 결과는 아주 부정적일 것이다.
발문 : - 친구나 함께 모둠 활동을 할 때 협동을 잘 하지 않은 경험이 있나요?
네. 있습니다.
- 그때 협동을 잘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내가 더 돋보이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협동을 하면 손해를 볼 것 같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 그 결과는 어떠했습니까?
모둠 활동의 결과가 좋지 못했습니다.
때로는 내가 돋보이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 만약 나뿐만 아니라 모두가 협동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모둠 활동이 엉망이 될 것입니다.
- 우리 생활 속에서 구체적 사례를 들면서 협동을 위한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 더
이야기해봅시다. (모둠 토의 후 발표)
(3) 단원의 정리
초등도덕교과서의 매 단원의 마지막 차시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단원을 정리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다음의 예는 5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1단원 최선을 다하는 삶의 마지막 장에서 발췌한 것이다.
● 배운 것을 정리해 봅시다.
성실하려면 그 내용이 바른 것이어야 한다.
성실하려면 근면하고 인내하는 힘이 필요하다.
성실하게 노력하면 자신의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성실하기 위해서는 정성과 최선을 다해야 한다.
성실한 사람은 꾸준히 노력하는 특성이 있다.
● 마음에 새겨 둡시다.
모든 일에 정성과 최선을 다하고 거짓됨이 없이 진실하게 생활하겠습니다.
많은 유혹을 이겨 내면서 옳은 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생각하겠습니다.
계획을 잘 세우고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며 꾸준히 실천하겠습니다.
이를 보면 단원의 마지막 차시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다짐하는 어떤 ‘준칙’을 세워 마음에 새겨보는 활동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준칙을 교과서에 미리 제시해두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행위의 준칙을 세우고 내면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칸트의 이론과 맥락이 닿는다. 칸트 이론을 좀 더 적용한다면 빈칸을 주어 학생들 스스로 준칙을 세우고 그것을 마음에 새기게 할 수 있을 것이다.
5. 마치는 글
돌이켜보면 이 과제를 수행하기 전의 나는 칸트 이론에 대해 막연히 끌렸을 뿐이었다. 나름대로 열심히 수업을 들었다고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칸트 이론에 대해 상당부분 오해하고 있었다. 가장 대표적인 부분이 칸트의 이론을 파시즘적인 것으로 생각한 것이었다. 내가 칸트하면 떠올리는 것이 바로 ‘의무감으로 행위하라’는 것이었다. 이것은 자칫 우리나라의 도덕교육처럼 맹목적으로 어떤 가치를 강요하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칸트가 말한 도덕의 본질은 주체의 자유롭고 자율적인 입법능력에 있는 것이지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의무감에 있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선의지’와 ‘주체적인 의무가 동기가 되는 행위’를 강조하는 이론으로서 칸트의 이론을 제대로 보게 되었으며 더 큰 동조를 느끼게 되었다.
또한 칸트의 선의지 이론을 통해 나의 도덕적 개념을 재고해 볼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나를 보는 사람들의 눈에 맞춘 생각과 행동은 거짓된 선이었음을 느끼게 해준 것이다. 또 나만의 행복을 위한 준칙들을 보편성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나의 내면에서 우러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으로부터 도덕적 행동을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이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고 상황에 대한 유연한 판단 역시 필요한 것이겠지만, 스스로 정립한 어떠한 도덕적 법칙도 없다면 결국은 상황을 핑계로 모든 선을 외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참고 및 인용
교수님이 주신 칸트 이론 자료
NAVER 지식 검색
김상봉 『도덕교육의 파시즘-노예도덕을 넘어서』, 길(박우정), 2005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자기 자신과의 약속, 다른 사람들과의 약속이 있습니다.
- 지킬 수 없는 약속을 하면 되나요?
약속은 항상 지키려 노력해야 합니다.
- 현이가 찬성한 학급 규칙은 무엇인가요?
복도에서는 뛰지 않고 사뿐 사뿐 걸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현이가 친구와 한 약속은 무엇인가요?
친구에게 빌린 물건을 제 때에 돌려주는 것입니다.
- 현이는 두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그렇습니다.
- 현이는 두 약속을 모두 지킬 수 있을까요?
두 약속을 모두 지키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현이가 할 수 있는 선택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정리해 봅시다.
(개별 정리)
- 내가 현이였다면 어떤 선택을 할지 정해봅시다.
(모둠별 토론 및 판단내리기)
(2) 5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9단원 서로 돕고 힘을 모아
<협동을 위한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 탐구해 봅시다.>
다음 그림을 보고 사람들이 협동을 잘하지 않는 이유와 그 결과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그리고
협동을 위해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우리 사회는 협동과 경쟁의 조화 속에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함께’보다 “나만 더 커 보일 거야!”라고
생각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 모두는 공동체 속에서 여러 사람과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모두 “나 하나쯤이야!” 라고
생각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본 단원에서는 협동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실천하려는 마음을 기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칸트 이론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협동’을 도덕법칙으로 세우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상황에 대하여 협동하였을 때의 결과가 긍정적임을 근거로 협동의 가치를 가르친다면 해당 상황에 대해서는 협동을 선한 것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모든 상황에 적용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만약 협동하는 것이 조금이라도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되는 경우 협동을 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따라서 협동의 개념의 경우 교과서 내용과 같이 칸트의 정언명령 ‘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에 비추어 생각해보도록 가르치는 것이 좋다. “나만 더 커 보일 거야”라는 이기적인 생각은 개인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옳을 수도 있지만 모두가 “나 하나쯤이야!” 라고 생각한다면 그 결과는 아주 부정적일 것이다.
발문 : - 친구나 함께 모둠 활동을 할 때 협동을 잘 하지 않은 경험이 있나요?
네. 있습니다.
- 그때 협동을 잘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내가 더 돋보이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협동을 하면 손해를 볼 것 같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 그 결과는 어떠했습니까?
모둠 활동의 결과가 좋지 못했습니다.
때로는 내가 돋보이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 만약 나뿐만 아니라 모두가 협동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모둠 활동이 엉망이 될 것입니다.
- 우리 생활 속에서 구체적 사례를 들면서 협동을 위한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 더
이야기해봅시다. (모둠 토의 후 발표)
(3) 단원의 정리
초등도덕교과서의 매 단원의 마지막 차시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단원을 정리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다음의 예는 5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1단원 최선을 다하는 삶의 마지막 장에서 발췌한 것이다.
● 배운 것을 정리해 봅시다.
성실하려면 그 내용이 바른 것이어야 한다.
성실하려면 근면하고 인내하는 힘이 필요하다.
성실하게 노력하면 자신의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성실하기 위해서는 정성과 최선을 다해야 한다.
성실한 사람은 꾸준히 노력하는 특성이 있다.
● 마음에 새겨 둡시다.
모든 일에 정성과 최선을 다하고 거짓됨이 없이 진실하게 생활하겠습니다.
많은 유혹을 이겨 내면서 옳은 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생각하겠습니다.
계획을 잘 세우고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며 꾸준히 실천하겠습니다.
이를 보면 단원의 마지막 차시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다짐하는 어떤 ‘준칙’을 세워 마음에 새겨보는 활동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준칙을 교과서에 미리 제시해두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행위의 준칙을 세우고 내면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칸트의 이론과 맥락이 닿는다. 칸트 이론을 좀 더 적용한다면 빈칸을 주어 학생들 스스로 준칙을 세우고 그것을 마음에 새기게 할 수 있을 것이다.
5. 마치는 글
돌이켜보면 이 과제를 수행하기 전의 나는 칸트 이론에 대해 막연히 끌렸을 뿐이었다. 나름대로 열심히 수업을 들었다고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칸트 이론에 대해 상당부분 오해하고 있었다. 가장 대표적인 부분이 칸트의 이론을 파시즘적인 것으로 생각한 것이었다. 내가 칸트하면 떠올리는 것이 바로 ‘의무감으로 행위하라’는 것이었다. 이것은 자칫 우리나라의 도덕교육처럼 맹목적으로 어떤 가치를 강요하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칸트가 말한 도덕의 본질은 주체의 자유롭고 자율적인 입법능력에 있는 것이지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의무감에 있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선의지’와 ‘주체적인 의무가 동기가 되는 행위’를 강조하는 이론으로서 칸트의 이론을 제대로 보게 되었으며 더 큰 동조를 느끼게 되었다.
또한 칸트의 선의지 이론을 통해 나의 도덕적 개념을 재고해 볼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나를 보는 사람들의 눈에 맞춘 생각과 행동은 거짓된 선이었음을 느끼게 해준 것이다. 또 나만의 행복을 위한 준칙들을 보편성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나의 내면에서 우러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으로부터 도덕적 행동을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이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고 상황에 대한 유연한 판단 역시 필요한 것이겠지만, 스스로 정립한 어떠한 도덕적 법칙도 없다면 결국은 상황을 핑계로 모든 선을 외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참고 및 인용
교수님이 주신 칸트 이론 자료
NAVER 지식 검색
김상봉 『도덕교육의 파시즘-노예도덕을 넘어서』, 길(박우정), 2005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