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기도의 어원적 정의
2. 기도의 명제적 정의
3. 기도의 목적
4. 기도의 필요성
5. 기도의 종류
6. 기도의 원칙
Ⅲ.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1. 기도의 어원적 정의
2. 기도의 명제적 정의
3. 기도의 목적
4. 기도의 필요성
5. 기도의 종류
6. 기도의 원칙
Ⅲ.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청원에 사용되었으나 기도로 사용되었다.
(롬8:32, 34, 히7:25)
2. 기도의 명제적 정의
기도는 하나님과 대화하는 것이다. 성경에 나오는 기도에 대한 모든 언급을 포괄할 수 있는 기도의 정의는 어렵다. 다만 기도를 가리키는 전칭적 용어 속에 나타난 의미만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기도는 성경의 진리 가운데 계시된 하나님께 대한 부응과 간구를 의미한다. 즉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하여 내가 하나님께 응답하는 행위이다. 넓은 의미의 기도는 그리스도인의 삶 전체까지도 기도에 포함된다.
기도란 우주만물의 주인이신 하나님 앞에 내 자신의 능력과 경험과 내 지식을 완전히 부정하고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청하는 행위와 하나님의 부르심과 도우심에 감사와 찬양과 바르게 사는 삶 그 자체까지가 기도이다. 엄세천, 「기도신학」(서울: 한국 계자씨 선교회, 1985), 13.
1) 호흡
기도는 영적 호흡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영적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육체가 그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호흡을 쉬지 않는 것처럼 영적인 호흡인 기도를 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2) 교제
기도는 교제이다. 기도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아버지와 교제하며 대화하는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라는 위대한 통로를 통해서 사람을 하나님과 연결시키고 거룩한 하나님과 구속받은 자녀들을 연결시켜 동행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3) 자기포기
기도는 자기포기이다. 기도는 끊임없이 자기포기를 추구해야하는 영적 전투이기도 하다. 기도할수록 지식, 능력, 지혜, 경험, 철학 등을 포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도는 하나님의 뜻을 찾고 자신의 것을 포기하는 것이다.
4) 부르짖음
창조주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의 부르짖음이다. 자신의 힘으로 해결 할 수 없는 것을 깨닫고 인간의 생사화복을 주관하시는 하나님께 절대적인 긍정의 고백으로서 부르짖음이다.
5) 체험
기도는 체험이다.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에 대해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인격적으로 체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기도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하신 공로를 힘입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항상 그 삶 속에서 아버지 하나님께 나아가 그의 은혜를 감사하고 찬송하며 자신의 죄를 회개하므로 그 사정을 아뢰고 그의 뜻이 온전히 이루어지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나님께 간구하는 것” 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3. 기도의 목적
기도의 목적은 구원의 은혜를 입은 성도가 자신을 구원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뜻을 찾고 그 뜻에 헌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이 되며 구원받은 성도는 참된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게 되기 때문이다. 민장배, 「예배학」(대전: 세화출판사, 2009), 112.
1) 신앙의 성장을 위해
신앙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그중에서 기도의 요소를 빼놓을 수 없다. 디모데전서 4장 5절에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 짐이니라.” 라는 말씀처럼 기도함으로 신앙이 성장할 수 있다.
2) 평안을 얻기 위해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세상을 살다보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평안을 잃어버릴 때가 있다. 이럴 때 그리스도인들이 해야 할 일이 바로 기도이다. 기도는 비겁한 인간을 담대한 인간으로 바꾸는 힘이 있다. 인간의 힘으로 불안을 극복하려 한다면 또 다른 불안을 낳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기도할 때 세상에서 찾을 수 없는 진정한 평안을 얻을 수 있다.
3) 시험에 들지 않기 위해
예수님께서는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기도하라고 말씀하셨다. 기도는 시험을 예방하며 시험 가운데서 빠져나올 수 있는 방법이다.
4)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6:33)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함이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하고 주님은 우리의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시는 것이다.
5) 성령의 능력을 받기위해
예수님께서 하늘로 승천하시면서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기다리라고 하였으며 제자들은 기도에 전혀 힘쓰므로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능력을 받았다. 기도에 힘쓸 때 성령의 능력이 임하게 된다.
4. 기도의 필요성
성경에 등장하는 위대한 인물들 모두가 한결같이 기도하는 삶을 살았다. 기도는 그들의 생활의 일부였으며, 매우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이와 같은 그들의 기도하는 삶은 늘 변화를 일으켰다. 어려움을 극복하기도 하고, 문제의 답을 얻기도 하며, 때로는 그들의 운명을 정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기도는 왜 필요한가? 하나님의 권능이 우리 생활 가운데 역사하기 위해서는 전심전력을 다하여 기도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물론 계속적인 기도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물에 부딪치게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불퇴진의 기도를 할 때 비로소 하나님께서 복을 주셔서 능력 있는 신앙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조용기, 「나는 이렇게 기도한다」(서울: 서울말씀사, 1996), 41.
1) 하나님의 명령
기도의 일차적인 목적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성도는 기도의 목적이 인간적인 정황에 기인된 것이 아니가 하나님께서 그 기도를 명령하신 데서 비롯된 것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도는 이 땅에서 성도가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인 수단이다. 기도로서 하나님과 교제하는 것이 성도의 삶에 있어 기본적인 의무이기에 하나님은 기도를 명령하신 것이다.
또한 예수님께서도 마26:41에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있어 기도하라고 명령 하셨다.
2) 기도하지 않으면 죄이다.
삼상12:23에 사무엘은 “나는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여호와 앞에 결단코 범치 아니하고” 라고 말했다. 기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믿지 못해서 이건 기도의 효력을 믿지 못해서이건 기도하지 않는 것은 죄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3) 하나님의 뜻을
(롬8:32, 34, 히7:25)
2. 기도의 명제적 정의
기도는 하나님과 대화하는 것이다. 성경에 나오는 기도에 대한 모든 언급을 포괄할 수 있는 기도의 정의는 어렵다. 다만 기도를 가리키는 전칭적 용어 속에 나타난 의미만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기도는 성경의 진리 가운데 계시된 하나님께 대한 부응과 간구를 의미한다. 즉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하여 내가 하나님께 응답하는 행위이다. 넓은 의미의 기도는 그리스도인의 삶 전체까지도 기도에 포함된다.
기도란 우주만물의 주인이신 하나님 앞에 내 자신의 능력과 경험과 내 지식을 완전히 부정하고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청하는 행위와 하나님의 부르심과 도우심에 감사와 찬양과 바르게 사는 삶 그 자체까지가 기도이다. 엄세천, 「기도신학」(서울: 한국 계자씨 선교회, 1985), 13.
1) 호흡
기도는 영적 호흡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영적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육체가 그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호흡을 쉬지 않는 것처럼 영적인 호흡인 기도를 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2) 교제
기도는 교제이다. 기도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아버지와 교제하며 대화하는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라는 위대한 통로를 통해서 사람을 하나님과 연결시키고 거룩한 하나님과 구속받은 자녀들을 연결시켜 동행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3) 자기포기
기도는 자기포기이다. 기도는 끊임없이 자기포기를 추구해야하는 영적 전투이기도 하다. 기도할수록 지식, 능력, 지혜, 경험, 철학 등을 포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도는 하나님의 뜻을 찾고 자신의 것을 포기하는 것이다.
4) 부르짖음
창조주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의 부르짖음이다. 자신의 힘으로 해결 할 수 없는 것을 깨닫고 인간의 생사화복을 주관하시는 하나님께 절대적인 긍정의 고백으로서 부르짖음이다.
5) 체험
기도는 체험이다.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에 대해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인격적으로 체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기도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하신 공로를 힘입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항상 그 삶 속에서 아버지 하나님께 나아가 그의 은혜를 감사하고 찬송하며 자신의 죄를 회개하므로 그 사정을 아뢰고 그의 뜻이 온전히 이루어지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나님께 간구하는 것” 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3. 기도의 목적
기도의 목적은 구원의 은혜를 입은 성도가 자신을 구원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뜻을 찾고 그 뜻에 헌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이 되며 구원받은 성도는 참된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게 되기 때문이다. 민장배, 「예배학」(대전: 세화출판사, 2009), 112.
1) 신앙의 성장을 위해
신앙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그중에서 기도의 요소를 빼놓을 수 없다. 디모데전서 4장 5절에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 짐이니라.” 라는 말씀처럼 기도함으로 신앙이 성장할 수 있다.
2) 평안을 얻기 위해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세상을 살다보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평안을 잃어버릴 때가 있다. 이럴 때 그리스도인들이 해야 할 일이 바로 기도이다. 기도는 비겁한 인간을 담대한 인간으로 바꾸는 힘이 있다. 인간의 힘으로 불안을 극복하려 한다면 또 다른 불안을 낳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기도할 때 세상에서 찾을 수 없는 진정한 평안을 얻을 수 있다.
3) 시험에 들지 않기 위해
예수님께서는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기도하라고 말씀하셨다. 기도는 시험을 예방하며 시험 가운데서 빠져나올 수 있는 방법이다.
4)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6:33)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함이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하고 주님은 우리의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시는 것이다.
5) 성령의 능력을 받기위해
예수님께서 하늘로 승천하시면서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기다리라고 하였으며 제자들은 기도에 전혀 힘쓰므로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능력을 받았다. 기도에 힘쓸 때 성령의 능력이 임하게 된다.
4. 기도의 필요성
성경에 등장하는 위대한 인물들 모두가 한결같이 기도하는 삶을 살았다. 기도는 그들의 생활의 일부였으며, 매우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이와 같은 그들의 기도하는 삶은 늘 변화를 일으켰다. 어려움을 극복하기도 하고, 문제의 답을 얻기도 하며, 때로는 그들의 운명을 정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기도는 왜 필요한가? 하나님의 권능이 우리 생활 가운데 역사하기 위해서는 전심전력을 다하여 기도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물론 계속적인 기도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물에 부딪치게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불퇴진의 기도를 할 때 비로소 하나님께서 복을 주셔서 능력 있는 신앙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조용기, 「나는 이렇게 기도한다」(서울: 서울말씀사, 1996), 41.
1) 하나님의 명령
기도의 일차적인 목적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성도는 기도의 목적이 인간적인 정황에 기인된 것이 아니가 하나님께서 그 기도를 명령하신 데서 비롯된 것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도는 이 땅에서 성도가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인 수단이다. 기도로서 하나님과 교제하는 것이 성도의 삶에 있어 기본적인 의무이기에 하나님은 기도를 명령하신 것이다.
또한 예수님께서도 마26:41에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있어 기도하라고 명령 하셨다.
2) 기도하지 않으면 죄이다.
삼상12:23에 사무엘은 “나는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여호와 앞에 결단코 범치 아니하고” 라고 말했다. 기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믿지 못해서 이건 기도의 효력을 믿지 못해서이건 기도하지 않는 것은 죄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3) 하나님의 뜻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