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논의의 필요성
Ⅱ. 생산계획의 의미와 절차
1. 생산계획의 의미
2. 생산계획 절차의 소개
Ⅲ. 생산계획의 수립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Ⅱ. 생산계획의 의미와 절차
1. 생산계획의 의미
2. 생산계획 절차의 소개
Ⅲ. 생산계획의 수립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이 때, 부품 A, B, C의 경우 재고가 없다고 가정하며 조달 기간 역시 모두 1달의 시간이 소요된다.
<자재소요 량>
품목
모제품 1단위 당 소요단위
총 소요량
부품 A
2
2400
부품 B
4
4800
부품 C
1
1200
한 단위의 모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부품A는 2개, 부품 B는 4개, 부품C 는 1개가 소요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6개월의 총괄계획에 맞는 생산을 달성하기 위해서 부품 A, B, C의 총 소요량은 각각 2400개, 4800개, 1200개가 된다. 이를 기반으로 자재조달계획을 월 단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품 A
부품 B
부품 C
12월
800
1600
400
1월
350
700
175
2월
350
700
175
3월
300
600
150
4월
300
600
150
5월
300
600
150
<자재 조달 계획>
즉, 한 달의 조달기간을 고려하여 생산이 시작되는 1월 이전에 각기 필요한 부품을 조달하되 충분한 재고 확보를 위해 12월과 1월, 3월에는 각 월별로 필요한 자재 소요량 이상의 부품을 구입하고 그 후로 수요부품량을 줄여감으로써 재고 관리를 하고자 한다. 자재 소요의 경우는 각 월별로 400개, 800개, 200개가 된다.
Ⅳ. 결론
이상에서 적용한 생산계획의 경우 조달기간을 매우 단순화하였고 부품의 세부 단위 공정 혹은 하부 단위 공정이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재고 역시 0에서 시작하였으며 생산능력계획을 세움에 있어서도 매우 단순화된 가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현실의 생산계획과는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업은 ‘생산계획’의 의미와 내용,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함의를 정해준다. 각 계획의 단계, 그리고 다루는 대상 별로 큰 것부터 보다 세분화 된 것으로 체계적으로, 각 단계별로 그에 맞는 자료를 취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커다란 청사진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현장의 상황에 맞춰 생산을 이어간다면 시장 수요에 맞추지 못해 이윤 창출 기회를 놓치거나 혹은 과다 생산하여 많은 재고로 인해 재고 관리 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기업의 이윤극대화 동기를 해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생산계획의 수립을 통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생산계획과 관련된 세부 계획 및 이론들은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정지복, 『생산관리』, 학현사, 2014.
<자재소요 량>
품목
모제품 1단위 당 소요단위
총 소요량
부품 A
2
2400
부품 B
4
4800
부품 C
1
1200
한 단위의 모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부품A는 2개, 부품 B는 4개, 부품C 는 1개가 소요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6개월의 총괄계획에 맞는 생산을 달성하기 위해서 부품 A, B, C의 총 소요량은 각각 2400개, 4800개, 1200개가 된다. 이를 기반으로 자재조달계획을 월 단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품 A
부품 B
부품 C
12월
800
1600
400
1월
350
700
175
2월
350
700
175
3월
300
600
150
4월
300
600
150
5월
300
600
150
<자재 조달 계획>
즉, 한 달의 조달기간을 고려하여 생산이 시작되는 1월 이전에 각기 필요한 부품을 조달하되 충분한 재고 확보를 위해 12월과 1월, 3월에는 각 월별로 필요한 자재 소요량 이상의 부품을 구입하고 그 후로 수요부품량을 줄여감으로써 재고 관리를 하고자 한다. 자재 소요의 경우는 각 월별로 400개, 800개, 200개가 된다.
Ⅳ. 결론
이상에서 적용한 생산계획의 경우 조달기간을 매우 단순화하였고 부품의 세부 단위 공정 혹은 하부 단위 공정이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재고 역시 0에서 시작하였으며 생산능력계획을 세움에 있어서도 매우 단순화된 가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현실의 생산계획과는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업은 ‘생산계획’의 의미와 내용,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함의를 정해준다. 각 계획의 단계, 그리고 다루는 대상 별로 큰 것부터 보다 세분화 된 것으로 체계적으로, 각 단계별로 그에 맞는 자료를 취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커다란 청사진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현장의 상황에 맞춰 생산을 이어간다면 시장 수요에 맞추지 못해 이윤 창출 기회를 놓치거나 혹은 과다 생산하여 많은 재고로 인해 재고 관리 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기업의 이윤극대화 동기를 해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생산계획의 수립을 통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생산계획과 관련된 세부 계획 및 이론들은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정지복, 『생산관리』, 학현사,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