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두
2.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
3. 코리올리
4. 태풍과 날씨
5. 테라포밍 프로젝트
6. 맺음말
2.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
3. 코리올리
4. 태풍과 날씨
5. 테라포밍 프로젝트
6. 맺음말
본문내용
높이를 재는 한 가지 방법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산의 높이를 재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고 한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할 때에만 에베레스트 산이 최고 높은 산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산의 높이를 재는 다른 두 가지 방법이 더 있다. 그것은 지구 중심으로부터 재는 방법과 해양저에서 재는 방법이다. 지구 중심에서부터 산의 높이를 잰다면 에베레스트 산이 아니라 침보라소 산이 가장 높은 산이 된다. 한편 해양저에서부터 산의 높이를 잰다면 마우나케아 산이 가장 높은 산이 된다. 이처럼 우리가 익히 아는 사실도 때로는 절대적 사실이 아니라 상대적 기준에 의한 사실일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에베레스트 산이 최고의 높이라고 정하게 된 기준인 해수면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사실 해수면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그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단순히 이름 그대로 ‘바다 표면 위’라는 정도로만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구는 둥글다는 표현과 달리 실제 지구는 전혀 둥글지 않다. 지구에는 8,000 미터가 넘는 높은 산과 1만 미터가
그렇다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에베레스트 산이 최고의 높이라고 정하게 된 기준인 해수면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사실 해수면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그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단순히 이름 그대로 ‘바다 표면 위’라는 정도로만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구는 둥글다는 표현과 달리 실제 지구는 전혀 둥글지 않다. 지구에는 8,000 미터가 넘는 높은 산과 1만 미터가
추천자료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를 읽고 - 과학과 역사를 통해 본 기후이야기
유아 교육, 지구와 자연 환경 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 쓰레기를 분리수거해서 버려요 (이...
(아동수과학) 만 5세 <지구의개념, 낮과밤, 지구의움직임 모의수업계획서 (역할극, 이야기나...
재밌어서 밤새 읽는 지구과학 이야기 사마키 다케오 독후감 감상문
[최고의 선택 A+ 리포트]김산하의 야생학교 야생학교 김산하 독후감 감상문 줄거리 요약
[최고의 선택 A+ 리포트]역사의 역사 역사 유시민 독후감 감상문 후기 서평 줄거리 요약
[최고의 선택 A+ 리포트]온라인 소비자 무엇을 사고 무엇을 사지 않는가 슐로모 베나치 독후...
[최고의 선택 A+ 리포트]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21가지 제언 유발 하라리 하라리 독후감 ...
[최고의 선택 A+ 리포트]세상을 바꾼 화학 화학 원정현 독후감 감상문 줄거리 요약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