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료적의사소통기록지 1,2
본문내용
자의 근본적 생각을 간결 분명하게
다시 말함으로서 대상자는 자신이 이해되고
있음을 경험하게 하기 위함
● 명료화하기
뜻이 확실치 않은 부분이나 잘못 알아들은
내용에 대해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함이며
이는 대상자에게 필요로 하는 메시지를 확
실히 전달받을 수 있기 위함
● 해석하기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 자신
내면을 깨닫거나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
● 개방적 질문
대상자가 표현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감정
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⑪자기노출
상담자는 자신을 노출시킴으로써 대상자가 자신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경청하고 있음을
알게 하기 위함
● ⑫개방적 질문
대상자가 표현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감정
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2) 대상자와 면담 중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기록하시오.
(1) 대상자 측면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누군가와 대화를 오랫동안, 깊이 나눈 적이 없었다고 말하였으며, 이 때문에
초반에 대화를 시작할 때 대상자의 마음을 쉽게 열지 않아 어려움을 겪음
-이야기의 대부분을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대화를 통해 드러났음
-오랜 시절부터 겪었던 우울로 인한 상처의 깊이만큼 잠깐의 대화만으로는 상담자의 치료적 의사소통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았음
(2) 간호학생 측면
-우울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염려해두고 치료적 의사소통을 진행하려고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측은하다’
혹은 ‘안쓰럽다’라는 생각을 하며 대상자를 대하려고 한 것 같음
-대상자는 87세의 고령의 나이이시기 때문에, 질환이 없는 노인분들과 대화를 나눈 적은 많았지만 마음의
상처를 가지고 계신, 그것이 진단으로 나온 노인분들과는 대화를 나눈 적이 없기에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가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음
-치료적 의사소통에서 대상자가 그릇된 생각을 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다시 한 번 질문을 통해 생각해보게
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하지만, 이번 대화에선 과하게 상담자의 생각을 이야기한 것 같음
3) 대상자와의 부정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의 언어적, 비언어적 특성에 대한 앞으로의 수정 보완 계획을 기록하시오.
(1) 언어적 특성에 대한 수정 보완 계획
-반영하기 혹은 바꾸어 말하기에서, 부정적인 생각이 많은 대상자는 상담자가 이러한 의사소통 기술을
쓸 때에는 좀 더 생각해보고 대상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해야 할 것임
-노출하기에서, 상담자가 대상자를 경청하여 이해중이고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기 위함이지만
내 위주의 이야기를 섞기 보다는 최대한 대상자의 상황과 맞고, 비슷한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음
(2) 비언어적 특성에 대한 수정 보완 계획
-치료적 의사소통을 시작하기 전에, 대상자의 질환, 나이, 대화를 나눌 장소 등을 대상자에 맞게 고려하여
대화할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또한 마음이 아픈 대상자들의 경우에는 눈을 보며 경청을
해주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손을 잠깐씩 잡아드리는 것만으로도 공감받고 위로받는다는 느낌을 많이
받으시기
다시 말함으로서 대상자는 자신이 이해되고
있음을 경험하게 하기 위함
● 명료화하기
뜻이 확실치 않은 부분이나 잘못 알아들은
내용에 대해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함이며
이는 대상자에게 필요로 하는 메시지를 확
실히 전달받을 수 있기 위함
● 해석하기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 자신
내면을 깨닫거나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
● 개방적 질문
대상자가 표현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감정
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⑪자기노출
상담자는 자신을 노출시킴으로써 대상자가 자신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경청하고 있음을
알게 하기 위함
● ⑫개방적 질문
대상자가 표현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감정
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2) 대상자와 면담 중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기록하시오.
(1) 대상자 측면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누군가와 대화를 오랫동안, 깊이 나눈 적이 없었다고 말하였으며, 이 때문에
초반에 대화를 시작할 때 대상자의 마음을 쉽게 열지 않아 어려움을 겪음
-이야기의 대부분을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대화를 통해 드러났음
-오랜 시절부터 겪었던 우울로 인한 상처의 깊이만큼 잠깐의 대화만으로는 상담자의 치료적 의사소통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았음
(2) 간호학생 측면
-우울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염려해두고 치료적 의사소통을 진행하려고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측은하다’
혹은 ‘안쓰럽다’라는 생각을 하며 대상자를 대하려고 한 것 같음
-대상자는 87세의 고령의 나이이시기 때문에, 질환이 없는 노인분들과 대화를 나눈 적은 많았지만 마음의
상처를 가지고 계신, 그것이 진단으로 나온 노인분들과는 대화를 나눈 적이 없기에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가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음
-치료적 의사소통에서 대상자가 그릇된 생각을 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다시 한 번 질문을 통해 생각해보게
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하지만, 이번 대화에선 과하게 상담자의 생각을 이야기한 것 같음
3) 대상자와의 부정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의 언어적, 비언어적 특성에 대한 앞으로의 수정 보완 계획을 기록하시오.
(1) 언어적 특성에 대한 수정 보완 계획
-반영하기 혹은 바꾸어 말하기에서, 부정적인 생각이 많은 대상자는 상담자가 이러한 의사소통 기술을
쓸 때에는 좀 더 생각해보고 대상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해야 할 것임
-노출하기에서, 상담자가 대상자를 경청하여 이해중이고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기 위함이지만
내 위주의 이야기를 섞기 보다는 최대한 대상자의 상황과 맞고, 비슷한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음
(2) 비언어적 특성에 대한 수정 보완 계획
-치료적 의사소통을 시작하기 전에, 대상자의 질환, 나이, 대화를 나눌 장소 등을 대상자에 맞게 고려하여
대화할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또한 마음이 아픈 대상자들의 경우에는 눈을 보며 경청을
해주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손을 잠깐씩 잡아드리는 것만으로도 공감받고 위로받는다는 느낌을 많이
받으시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