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권문제분석보고서, 활동요법보고서, 치료적환경보고서, 이상행동관찰보고서, 의사소통분석기록지, 정신케이스
본문내용
되었다. 뿐만 아니라 계획을 구체적으로는 작성하였으나, 내 대상자에 맞추어 중재 계획을 세우는 것은 미흡했던 것 같다.
간호 수행은 대상자가 나에게 협조적이어서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마지막 날 대상자와 나와 치료적 관계가 제대로 성립되지 않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비추어 볼 때 대상자는 협조적으로 나를 대했으나 진심으로 마음을 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 간호진단 :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감각지각장애 : 청각
1. 11월 26일 대상자는 환청에 대한 경험 및 생각을 1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 11월 26일 면담 후 나는 대상자가 환청에 대한 생각을 2가지 말하였다고 평가했다.
면담 동안 대상자는 느린 언어로 차분히 대화를 진행했고 협조적이었다.
2. 12월 24일까지 대상자는 환청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 11월 26일 실습 기간 동안 대상자는 환청을 통제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더 오랜 기간 동안 대상자가 대처 전략을 스스로 개발하고 실행하도록 돕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실습 중 보호자가 방문하지 않아 보호자에게 환청을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할 수 없었다. 보호자 방문 시기를 미리 체크하고, 보호자 교육 자료를 따로 마련하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2 간호진단 : 현실감부족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1. 11월 26일 대상자는 망상에 대한 경험 및 생각을 1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 11월 26일 나는 면담 후 대상자가 망상에 대한 생각을 1가지 말했다고 평가했다.
그런데 대상자는 자신의 나쁜 소문과 관련하여 오빠들에 관한 피해망상, 관계망상에 대해 명확히 이야기 하지 않았다. 간접적으로 언급했을 뿐 망상에 대한 직접적인 생각은 들을 수 없었다. 간호사 선생님들에게는 망상에 관련하여 이야기 하는 것으로 봐서 학생간호사 신분인 것을 알고 말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 점은 좀 더 오랜 기간 대상자를 지켜보며 신뢰를 쌓는다면 극복할 수 있을 것 같다.
2. 대상자는 11월 27일 현실에 바탕을 둔 사고를 언어로 1문장 이상 말할 것이다.
→ 대상자는 11월 27일 현실에 바탕을 둔 사고를 언어로 1문장 말하였다.
10. 기타 보고서 양식
2) 의사소통분석 기록지
※ 대상자와 1:1로 20분 이상 의사소통한 내용을 분석하여 기록합니다. (3사례 이상)
일시
2015.12.01 2시-
장소
대상자
OOO
연령
54
성별
여
진단명
미분화형조현병
□ 상황기술: 쇼파에 앉아계시는 대상자 분 옆자리에 자연스럽게 앉아서 대화를 시작했다.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행동
사용한 의사소통 기법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응”
( 눈을 내리 깔며)
“ 안녕하세요 . OOO님. 슬리퍼에 이름 쓰셨네요? ”
(대상자 슬리퍼를 가르키며)
개방적 질문
의미있는 관계를 시작하기 위해 대상자를 관찰하여 대화를 시작하였다. 평소 표정이 어두운 편이셨는데 괜찮은 소재로 대화를 시작해 관심을 가져주신 것 같다.
“50...”
( 나를 쳐다보며 )
“나이 여쭤봐도 될까요? ”
(대상자와 눈맞춤 하며)
“ 그래?? 이리 손 좀 줘봐... ”
(부드럽게 내 손을 가져가 3초 정도 잡으시다가 놔주심)
“ 아.. 저희 엄마도 비슷한 나이세요.. ”
(놀란 표정으로 손을 내밀며)
내용반영
항상 무표정에 무뚝뚝하시던 분이 손을 따뜻하게 잡아주셔서 놀랐다. 무뚝뚝한 대상자여서 대화 도중 스킨십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하고 대비하지 못했다.
앞으로는 예기치 못한 상황도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겠다.
그리고 계속 단답형으로 대답하셔서 대화를 이어가려다 보니 내가 질문을 많이 하게 되었다.
“ 응 있어.. XX 이... ”
(따님 이름을 언급하심)
“혹시 따님 있으세요? ”
(조심스러운 말투로 )
“ XX이.. OO이 는 아들.. ”
“ 아 저는 첫짼데 따님은요 ?? ”
“응 ”
“ 따님 한분 아드님 한분 있으신 거애요? ”
“ 이쪽 .. 217호.. ”
“ OOO님 어니 쪽에 방 있으세요? ” ( 손으로 오른쪽 왼쪽 통로 가르키며 )
경청 및 명료화하기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든 말을 경청 할 때 표정을 무표정으로 들었었다. 알아듣지 못하는 말이더라도 약간의 미소를 잊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
“ 다 친해 우리방 사람들... ”
“ 아.. 혹시 친한 환자분들 있으세요?? ”
“ 웅얼....웅얼.. ”
(간혹 알아듣기 힘들게 말씀하심 )
경청 후 (무표정)
“ 무엇을 말씀하셨는지 잘 못 들었어요. ”
“방에 놀러올래?”
(무표정 , 무미건조한 말투로)
“제가 방에 놀러가도 되나요? ” (놀란 표정)
내용반영
대화 중 말씀을 가장 길게 하셨었다. 병실까지 데려가 주셔서 대상자와 관계가 진전된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응” ( 의자에서 일어나 병실로 걸어가심 )
대상자를 따라 나서 병실에 도착.
“ 저기 저애는 우리 방 예쁜이야. 코가 예쁘거든 그런데 자기는 코가 커서 싫대.”
(약간 미소를 띄우시며)
“아 저분 코가 정말 예쁘시네요. ”
(미소를 띄며 )
일시
2015.12.02 9시 30분 -
장소
마음사랑병원
대상자
OOO
연령
41
성별
남
진단명
편집성조현병
□ 상황기술: 아침에 병동에 도착한 나를 보고 먼저 말을 걸어주셨다.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행동
사용한 의사소통 기법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내가 무서운 얘기 해줄까? ”
(나를 손으로 톡톡치며)
“네 해주세요.~
(웃으며 )
경청 후(쇼파에 같이 앉음 )
경청 및 사건의 순서를 시간대로 정리하기
아침에 도착하자마자 대화를 요청하셔서 약간 당황했었다. 그리고 도착 시 다른 환자분 2명이 더 나와 이야기하고 싶어 하시는 듯 옆에 나란히 섰는데 대상자분과 눈을 마주치며 집중하다보니 다른 환자분들께서 그냥 방으로 돌아가셨다.
“ 내가 옛날에 친구들이랑 놀러갔었어 . 그런데 돈을 달라는 거야. 고기사게. . .
5명이었는데.. “
(쇼파에 앉으며, 중간 중간 눈썹을 위로 올리며 )
“ 그래서 어떻게
간호 수행은 대상자가 나에게 협조적이어서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마지막 날 대상자와 나와 치료적 관계가 제대로 성립되지 않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비추어 볼 때 대상자는 협조적으로 나를 대했으나 진심으로 마음을 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 간호진단 :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감각지각장애 : 청각
1. 11월 26일 대상자는 환청에 대한 경험 및 생각을 1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 11월 26일 면담 후 나는 대상자가 환청에 대한 생각을 2가지 말하였다고 평가했다.
면담 동안 대상자는 느린 언어로 차분히 대화를 진행했고 협조적이었다.
2. 12월 24일까지 대상자는 환청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 11월 26일 실습 기간 동안 대상자는 환청을 통제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더 오랜 기간 동안 대상자가 대처 전략을 스스로 개발하고 실행하도록 돕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실습 중 보호자가 방문하지 않아 보호자에게 환청을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할 수 없었다. 보호자 방문 시기를 미리 체크하고, 보호자 교육 자료를 따로 마련하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2 간호진단 : 현실감부족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1. 11월 26일 대상자는 망상에 대한 경험 및 생각을 1가지 이상 말 할 것이다.
→ 11월 26일 나는 면담 후 대상자가 망상에 대한 생각을 1가지 말했다고 평가했다.
그런데 대상자는 자신의 나쁜 소문과 관련하여 오빠들에 관한 피해망상, 관계망상에 대해 명확히 이야기 하지 않았다. 간접적으로 언급했을 뿐 망상에 대한 직접적인 생각은 들을 수 없었다. 간호사 선생님들에게는 망상에 관련하여 이야기 하는 것으로 봐서 학생간호사 신분인 것을 알고 말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 점은 좀 더 오랜 기간 대상자를 지켜보며 신뢰를 쌓는다면 극복할 수 있을 것 같다.
2. 대상자는 11월 27일 현실에 바탕을 둔 사고를 언어로 1문장 이상 말할 것이다.
→ 대상자는 11월 27일 현실에 바탕을 둔 사고를 언어로 1문장 말하였다.
10. 기타 보고서 양식
2) 의사소통분석 기록지
※ 대상자와 1:1로 20분 이상 의사소통한 내용을 분석하여 기록합니다. (3사례 이상)
일시
2015.12.01 2시-
장소
대상자
OOO
연령
54
성별
여
진단명
미분화형조현병
□ 상황기술: 쇼파에 앉아계시는 대상자 분 옆자리에 자연스럽게 앉아서 대화를 시작했다.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행동
사용한 의사소통 기법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응”
( 눈을 내리 깔며)
“ 안녕하세요 . OOO님. 슬리퍼에 이름 쓰셨네요? ”
(대상자 슬리퍼를 가르키며)
개방적 질문
의미있는 관계를 시작하기 위해 대상자를 관찰하여 대화를 시작하였다. 평소 표정이 어두운 편이셨는데 괜찮은 소재로 대화를 시작해 관심을 가져주신 것 같다.
“50...”
( 나를 쳐다보며 )
“나이 여쭤봐도 될까요? ”
(대상자와 눈맞춤 하며)
“ 그래?? 이리 손 좀 줘봐... ”
(부드럽게 내 손을 가져가 3초 정도 잡으시다가 놔주심)
“ 아.. 저희 엄마도 비슷한 나이세요.. ”
(놀란 표정으로 손을 내밀며)
내용반영
항상 무표정에 무뚝뚝하시던 분이 손을 따뜻하게 잡아주셔서 놀랐다. 무뚝뚝한 대상자여서 대화 도중 스킨십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하고 대비하지 못했다.
앞으로는 예기치 못한 상황도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겠다.
그리고 계속 단답형으로 대답하셔서 대화를 이어가려다 보니 내가 질문을 많이 하게 되었다.
“ 응 있어.. XX 이... ”
(따님 이름을 언급하심)
“혹시 따님 있으세요? ”
(조심스러운 말투로 )
“ XX이.. OO이 는 아들.. ”
“ 아 저는 첫짼데 따님은요 ?? ”
“응 ”
“ 따님 한분 아드님 한분 있으신 거애요? ”
“ 이쪽 .. 217호.. ”
“ OOO님 어니 쪽에 방 있으세요? ” ( 손으로 오른쪽 왼쪽 통로 가르키며 )
경청 및 명료화하기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든 말을 경청 할 때 표정을 무표정으로 들었었다. 알아듣지 못하는 말이더라도 약간의 미소를 잊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
“ 다 친해 우리방 사람들... ”
“ 아.. 혹시 친한 환자분들 있으세요?? ”
“ 웅얼....웅얼.. ”
(간혹 알아듣기 힘들게 말씀하심 )
경청 후 (무표정)
“ 무엇을 말씀하셨는지 잘 못 들었어요. ”
“방에 놀러올래?”
(무표정 , 무미건조한 말투로)
“제가 방에 놀러가도 되나요? ” (놀란 표정)
내용반영
대화 중 말씀을 가장 길게 하셨었다. 병실까지 데려가 주셔서 대상자와 관계가 진전된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응” ( 의자에서 일어나 병실로 걸어가심 )
대상자를 따라 나서 병실에 도착.
“ 저기 저애는 우리 방 예쁜이야. 코가 예쁘거든 그런데 자기는 코가 커서 싫대.”
(약간 미소를 띄우시며)
“아 저분 코가 정말 예쁘시네요. ”
(미소를 띄며 )
일시
2015.12.02 9시 30분 -
장소
마음사랑병원
대상자
OOO
연령
41
성별
남
진단명
편집성조현병
□ 상황기술: 아침에 병동에 도착한 나를 보고 먼저 말을 걸어주셨다.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행동
사용한 의사소통 기법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내가 무서운 얘기 해줄까? ”
(나를 손으로 톡톡치며)
“네 해주세요.~
(웃으며 )
경청 후(쇼파에 같이 앉음 )
경청 및 사건의 순서를 시간대로 정리하기
아침에 도착하자마자 대화를 요청하셔서 약간 당황했었다. 그리고 도착 시 다른 환자분 2명이 더 나와 이야기하고 싶어 하시는 듯 옆에 나란히 섰는데 대상자분과 눈을 마주치며 집중하다보니 다른 환자분들께서 그냥 방으로 돌아가셨다.
“ 내가 옛날에 친구들이랑 놀러갔었어 . 그런데 돈을 달라는 거야. 고기사게. . .
5명이었는데.. “
(쇼파에 앉으며, 중간 중간 눈썹을 위로 올리며 )
“ 그래서 어떻게
추천자료
중국 인권문제에 관한 개요 및 주요 흐름
[논문] 정신간호학과 관련된 기초분야
[정신간호학] 비판성찰적 사고
간호학실습레포트-소화기내과(간병동) C바이러스 간암(C-Virus HCC) 환자 대상자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폐렴,당뇨병
기관분석보고서,기관보고서,기관소개서,사회복지기관분석보고서
[정신간호학][delusion][망상][irritable behavio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 MR(정신지체),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Schizophrenia Case Study) - 이름 : 장O진...
A+ 정신간호학 케이스 ADHD 케이스 스터디 자료
[정신간호학] 08.정신심리학적 이해 & 09.사회문화적 이해
[정신간호학] 개인정신치료
정신간호학 CASE STUDY [조현병][정신분열]
첨단 종합 사회 복지관 기관 분석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