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또 인간이 만드는 사회 안에는 제한된 재화가 존재한다. 개인의 소유가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이익을 준다는 것은 앞의 가정을 고려할 때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한 사람의 소유가 전체에 이익이 되지 위해서는 강자의 덕이 필요할 것이다. 자신의 이익을 감수하고 공공을 위해 개인의 재화가 쓰일 때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되는 것이다. 소유를 개인과 타인 모두의 이익을 통해 정당화하려는 것은 무리한 시도가 아닐까 생각한다.
개인이 정당하게 얻은 자신의 소유를 자유롭게 처분하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을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들이 얽혀서 사는 사회에서 개인의 처분과 권리가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 또한 당연한 일이다. 그 자신이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그것은 항상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정당한 소유와 권리에 대한 강제력을 정당화하는 것은 어렵다. 개개인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을 좀더 진다면, 즉 강자의 덕을 갖는 다면 복잡한 논리적 정당화의 문제없이 많은 부분이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지나친 기대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도덕 교사가 되는 사람들의 책임이 좀더 무겁게 느껴진다.
개인이 정당하게 얻은 자신의 소유를 자유롭게 처분하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을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들이 얽혀서 사는 사회에서 개인의 처분과 권리가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 또한 당연한 일이다. 그 자신이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그것은 항상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정당한 소유와 권리에 대한 강제력을 정당화하는 것은 어렵다. 개개인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을 좀더 진다면, 즉 강자의 덕을 갖는 다면 복잡한 논리적 정당화의 문제없이 많은 부분이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지나친 기대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도덕 교사가 되는 사람들의 책임이 좀더 무겁게 느껴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