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페미니스트 정치사상사
여성의 눈으로 다시 보는 고전 (8-21P)
철인여왕과 가정주부(플라톤이 본 여성과 가족) (25-54P)
아리스토텔레스(불완전한 남성, 서열제, 그리고 정치학의 한계) (57-89P)
신은 인간에게 배우자를 정해줬다(홉스, 가부장제, 성교권) (93-210P)
초기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근원(존 로크의 가부장주의 비판) (125-156P)
루소와 근대 페미니즘 (159-182P)
억압된 나의 성(울스턴크래프트가 본 이성, 감성, 평등) (185-210P)
헤겔, 여성과 역설 (213-236P)
남성 맑스 (239-262P)
결혼에 의한 노예와 우정 (265-288P)
존 롤즈, 공정성으로의 정의 (291-314P)
시몬느 드 보봐르와 여성 (317-342P)
푸코와 페미니즘 (345-363P)
한나 아렌트와 페미니즘 정치학 (367-395P)
비판이론이 비판받을 점은 무엇인가? (399-420P)
여성의 눈으로 다시 보는 고전 (8-21P)
철인여왕과 가정주부(플라톤이 본 여성과 가족) (25-54P)
아리스토텔레스(불완전한 남성, 서열제, 그리고 정치학의 한계) (57-89P)
신은 인간에게 배우자를 정해줬다(홉스, 가부장제, 성교권) (93-210P)
초기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근원(존 로크의 가부장주의 비판) (125-156P)
루소와 근대 페미니즘 (159-182P)
억압된 나의 성(울스턴크래프트가 본 이성, 감성, 평등) (185-210P)
헤겔, 여성과 역설 (213-236P)
남성 맑스 (239-262P)
결혼에 의한 노예와 우정 (265-288P)
존 롤즈, 공정성으로의 정의 (291-314P)
시몬느 드 보봐르와 여성 (317-342P)
푸코와 페미니즘 (345-363P)
한나 아렌트와 페미니즘 정치학 (367-395P)
비판이론이 비판받을 점은 무엇인가? (399-420P)
본문내용
의해서만 즉 이런 관계의 형성과 관련된 사람들의 동의에 의해서만 성립될 수 있다. 필머는 부권은 그저 가부장제의 한 차원일 뿐이다. 필머의 이런 솔직한 진술은 정치적 권리의 근원적 토대를 모호하게 만든다. 남성이 아버지로서의 천부적 권리를 획득할 수 있기 이전에 우선 정치적 기원의 또 다른 행위가 요구되는 것이다.
고전적 가부장주의가 정당한 근거도 없이 남성에게 부여해 놓은 이처럼 특수한 권력의 성격을 고려한다면 남성은 단지 아버지의 명목으로 그리고 아버지임을 나타내는 공식 문서에 의해서 권력을 소유하고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계약론에서 말하는 인간의 자유는 남성의 자유를 뜻한다. 계약론이 고전적 가부장주의에 거둔 승리는 오히려 고전적 가부장주의를 새로운 형태의 가부장주의로 변모시켰을 뿐이다. 계약론자들은 세 번째의 역사적 형태인 근대적 가부장주의를 탄생시켰다. 이 가부장주의는 자연적이기보다는 계약에 의존하며, 부성의 권리보다는 남성의 권리를 구체화한다.
계약론자들중에서 가장 명석하고 대담했던 홉스도 근대적 의미에서의 가부장주의 이론가이다. 그의 주장은 몇가지 측면에서 동료 계역론자들의 주장과 다르다. 즉, 가부장적 시민사회에 필수적인 이론 구조를 제공한 자는 홉스가 아니라 그의 동료 계약론자들인 것이다. 홉스의 자연상태에는 결혼을 규제하는 법률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결혼도 없다. 결혼은 장기 계약으로서, 장기간의 성관계는 다른 관계들처럼 성립하기도 유지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그의 자연상태에는 결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자연상태에 놓인 사람들을 구분해 주는 경계는 아주 엄격하기 때문에 각 개인은 주관적인 관점이나 순전히 이기적인 관점에서 나머지 사람을 판단할 수밖에 없다. 자연적 개인은 자신에게 유리하기만 한다면 계약을 파기하거나 계약상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홉스가 운동 중인 합리적 실체의 자연적 구성 단위로 시민사회를 해체하고 자연상태를 재구성해 얻은 논리적 결론은 남성과 여성의 결합이 일시적일 뿐이라는 사실, 그리고 최초의 정치적 권리는 어머니의 권리라는 사실이었다. 채프먼은 홉스의 가족이 자연스러운 사회 형태라기보다는 오히려 인위적이며 정치적인 제도하고 강조했다. 홉스가 말하는 가족의 독특한 특징은 단지 이점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성교권과 부인의 지위를 무시했기에 홉스가 설명한 가족의 가장 색다른 측면을 불 수 없었다. 홉스나 홉스가 말한 가족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던 학자들조차도 결혼법이 존재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부인이 존재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지 않았다. 홉스가 자신의 자연상태를 구상했던 방법을 보면 철저히 일관된 이론가였던 그는 논리적이면서도 충격적인 전제, 즉 성적 지배의 부재와 최초의 모권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결혼에 관한 시민법, 즉 성교권을 뒷받침하는 시민법도 최초의 계약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정치 이론가들은 홉스의 정치이론 중 가장 주목할 만 한 특징을 계속 언급해 오지 않았다. 홉스는 성교권이 자연적이지 않다고 분명히 말했다. 성교권은 최초의 계약을 통해서 만들어지며, 따라서 정치적 권리이다. 홉스의 설명에 따르면 시민사회에서는 남편이 지배한다. 대부분의 경우 가족의 구성원 중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가 세웠기 때문이다. 홉스는 고전적 가부장주의를 근대적 가부장주의로 변화시켰지만 그의 주장에 담긴 몇몇 특징으로 인해 근대적 가부장주의의 시조가 되지는 않았다.
그는 시민적 가부장주의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부분 이외에는 필머의 이론을 수용하지 않았다. 필머는 가족과 왕국이 동일하며 이 양자는 자녀를 임신시킬 수 있는 아버지의 자연적 능력에 의해 결합된다고 봤다. 자신이 보기에 계약과 동일한 칼의 힘에 의해서 양자가 결합됐다고 봤다. 그는 주권자는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필머의 주장에도 동의했다. 시민적 아버지와 주인은 축소판 리바이어던이 아니다.
그들의 힘은 오직 리바이어던의 법과 칼이 허용하는 한에서만 발휘된다. 그러므로 홉스는 리바이어던에서 필머의 고전적 가부장주의에 수반되는 문제의 해결책을 얻을 수 있었다.
초기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근원(존 로크의 가부장주의 비판) (125-156P)
17세기 초, 영구의 지배적 세계관은 가부장주의였다.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이 이론은 왕과 신민, 아버지와 자녀, 주인과 하인, 그밖에 모든 사회관계를 가부장적인 용어로 완벽히 설명했다. 자유롭게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든 사람들은 가부장적 상위자에게 종속된 채 태어난다. 남성이건 여성이건 인간 개인은 가부장주의의 조언을 받아들임으로서 자신에게 적절한 지위를 발견할 수 있다.
가부장적 정치이론은 가부장주의가 들려줬고, 모든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었던 명백한 진실을 통해서 가부장주의의 효율성을 도출해냈다. 가부장적 가족의 경험은 보편적이었다. 가장은 거대한 권력을 가진 권위의 전형으로 널리 인정됐다. 어떤 이론가는 왕의 권위와 아버지의 권위를 연결시킴으로써, 신민이 지닌 정치적 의무의 본질을 밝혀낼 수 있었다.
가부장적 권력에 근거한 군주의 권력은 도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사회 제도인 가족의 정통성을 이용했다. 부권과 군주 권력이 연결되자 신민의 충성심이 누군가에 의해서 매개될 필요가 없어졌고, 절대적이고 가부장적인 군주 권력이 왕에게 부여됐다. 즉, 충성과 복종을 받을 권한이 지역 귀족이 아니라 왕에게 모두 주어지게 된 것이다.
필머는 성격을 분석하면서 실수를 범했지만 당시 비평가들은 그저 너무나 만족스러운 나머지 그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는 아담에게 모든 권력을 부여했지만 신은 아담과 이브에게 모두 지배권을 부여했다.
만약 가부장주의의 증거를 신의 은총에서 발견할 수 없다면 아마 신의 저주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필머는 가부장적 권위의 윤곽이 원죄이후에 확립됐다고 주장했다. 필머 비평가들은 그가 취사선택한 문구들을 간과하지 않았다. 1680년대에 휘그당원들은 필머가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려고 성격 텍스트를 파렴치하게 악용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서 성경 인용문을 하나씩 들춰내며 가부장제를 격렬하게 공격했다.
17세기 동안 증명의 근거와 논의의 형식은 급격히 달라
고전적 가부장주의가 정당한 근거도 없이 남성에게 부여해 놓은 이처럼 특수한 권력의 성격을 고려한다면 남성은 단지 아버지의 명목으로 그리고 아버지임을 나타내는 공식 문서에 의해서 권력을 소유하고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계약론에서 말하는 인간의 자유는 남성의 자유를 뜻한다. 계약론이 고전적 가부장주의에 거둔 승리는 오히려 고전적 가부장주의를 새로운 형태의 가부장주의로 변모시켰을 뿐이다. 계약론자들은 세 번째의 역사적 형태인 근대적 가부장주의를 탄생시켰다. 이 가부장주의는 자연적이기보다는 계약에 의존하며, 부성의 권리보다는 남성의 권리를 구체화한다.
계약론자들중에서 가장 명석하고 대담했던 홉스도 근대적 의미에서의 가부장주의 이론가이다. 그의 주장은 몇가지 측면에서 동료 계역론자들의 주장과 다르다. 즉, 가부장적 시민사회에 필수적인 이론 구조를 제공한 자는 홉스가 아니라 그의 동료 계약론자들인 것이다. 홉스의 자연상태에는 결혼을 규제하는 법률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결혼도 없다. 결혼은 장기 계약으로서, 장기간의 성관계는 다른 관계들처럼 성립하기도 유지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그의 자연상태에는 결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자연상태에 놓인 사람들을 구분해 주는 경계는 아주 엄격하기 때문에 각 개인은 주관적인 관점이나 순전히 이기적인 관점에서 나머지 사람을 판단할 수밖에 없다. 자연적 개인은 자신에게 유리하기만 한다면 계약을 파기하거나 계약상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홉스가 운동 중인 합리적 실체의 자연적 구성 단위로 시민사회를 해체하고 자연상태를 재구성해 얻은 논리적 결론은 남성과 여성의 결합이 일시적일 뿐이라는 사실, 그리고 최초의 정치적 권리는 어머니의 권리라는 사실이었다. 채프먼은 홉스의 가족이 자연스러운 사회 형태라기보다는 오히려 인위적이며 정치적인 제도하고 강조했다. 홉스가 말하는 가족의 독특한 특징은 단지 이점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성교권과 부인의 지위를 무시했기에 홉스가 설명한 가족의 가장 색다른 측면을 불 수 없었다. 홉스나 홉스가 말한 가족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던 학자들조차도 결혼법이 존재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부인이 존재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지 않았다. 홉스가 자신의 자연상태를 구상했던 방법을 보면 철저히 일관된 이론가였던 그는 논리적이면서도 충격적인 전제, 즉 성적 지배의 부재와 최초의 모권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결혼에 관한 시민법, 즉 성교권을 뒷받침하는 시민법도 최초의 계약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정치 이론가들은 홉스의 정치이론 중 가장 주목할 만 한 특징을 계속 언급해 오지 않았다. 홉스는 성교권이 자연적이지 않다고 분명히 말했다. 성교권은 최초의 계약을 통해서 만들어지며, 따라서 정치적 권리이다. 홉스의 설명에 따르면 시민사회에서는 남편이 지배한다. 대부분의 경우 가족의 구성원 중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가 세웠기 때문이다. 홉스는 고전적 가부장주의를 근대적 가부장주의로 변화시켰지만 그의 주장에 담긴 몇몇 특징으로 인해 근대적 가부장주의의 시조가 되지는 않았다.
그는 시민적 가부장주의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부분 이외에는 필머의 이론을 수용하지 않았다. 필머는 가족과 왕국이 동일하며 이 양자는 자녀를 임신시킬 수 있는 아버지의 자연적 능력에 의해 결합된다고 봤다. 자신이 보기에 계약과 동일한 칼의 힘에 의해서 양자가 결합됐다고 봤다. 그는 주권자는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필머의 주장에도 동의했다. 시민적 아버지와 주인은 축소판 리바이어던이 아니다.
그들의 힘은 오직 리바이어던의 법과 칼이 허용하는 한에서만 발휘된다. 그러므로 홉스는 리바이어던에서 필머의 고전적 가부장주의에 수반되는 문제의 해결책을 얻을 수 있었다.
초기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근원(존 로크의 가부장주의 비판) (125-156P)
17세기 초, 영구의 지배적 세계관은 가부장주의였다.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이 이론은 왕과 신민, 아버지와 자녀, 주인과 하인, 그밖에 모든 사회관계를 가부장적인 용어로 완벽히 설명했다. 자유롭게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든 사람들은 가부장적 상위자에게 종속된 채 태어난다. 남성이건 여성이건 인간 개인은 가부장주의의 조언을 받아들임으로서 자신에게 적절한 지위를 발견할 수 있다.
가부장적 정치이론은 가부장주의가 들려줬고, 모든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었던 명백한 진실을 통해서 가부장주의의 효율성을 도출해냈다. 가부장적 가족의 경험은 보편적이었다. 가장은 거대한 권력을 가진 권위의 전형으로 널리 인정됐다. 어떤 이론가는 왕의 권위와 아버지의 권위를 연결시킴으로써, 신민이 지닌 정치적 의무의 본질을 밝혀낼 수 있었다.
가부장적 권력에 근거한 군주의 권력은 도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사회 제도인 가족의 정통성을 이용했다. 부권과 군주 권력이 연결되자 신민의 충성심이 누군가에 의해서 매개될 필요가 없어졌고, 절대적이고 가부장적인 군주 권력이 왕에게 부여됐다. 즉, 충성과 복종을 받을 권한이 지역 귀족이 아니라 왕에게 모두 주어지게 된 것이다.
필머는 성격을 분석하면서 실수를 범했지만 당시 비평가들은 그저 너무나 만족스러운 나머지 그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는 아담에게 모든 권력을 부여했지만 신은 아담과 이브에게 모두 지배권을 부여했다.
만약 가부장주의의 증거를 신의 은총에서 발견할 수 없다면 아마 신의 저주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필머는 가부장적 권위의 윤곽이 원죄이후에 확립됐다고 주장했다. 필머 비평가들은 그가 취사선택한 문구들을 간과하지 않았다. 1680년대에 휘그당원들은 필머가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려고 성격 텍스트를 파렴치하게 악용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서 성경 인용문을 하나씩 들춰내며 가부장제를 격렬하게 공격했다.
17세기 동안 증명의 근거와 논의의 형식은 급격히 달라
키워드
추천자료
매매춘과 페미니즘, 그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를 읽고
은희경 소설의 페미니즘
윤영상 교수님 경제학 역사에 관한 책 독후감 자료입니다. (죽은 경제학자들의 살아있는 아이...
[여성해방론][여성해방]여성해방론(여성해방)의 종류, 여성해방론(여성해방)과 페미니즘, 여...
[A+ 평가 독후감]미래를 읽는 기술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2009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B형(플라톤의 정치가)
2008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E형(플라톤의 정치가)
[독후감] 반복되는 금융위기를 읽고
노무현과 클린턴의 탄핵 정치학 (미국적 정치의 시대와 민주주의의 미래)
[독후감] 이분법 사회를 넘어서 _ 송호근 저
[독후감] 학교는 죽었다를 읽고
[독서보고서, 서평] 다이어트의 성정치 _ 한서설아 저
Susan Glaspell의 ‘Trifles’와 페미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