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른 모습을 한 채 마주보았다. 그녀는 퓨어 어메리칸은 아니지만 미국 국적이 분명한 미국인이다. 그녀의 몸과 정신은 이미 미국의 색이 짙게 스며들어 있지만 그와 동시에 국적이 또 다른 그녀 부모들의 모국, 또한 그녀의 모국이기도 한 그네들의 다른 문화 역시 질리언의 가슴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그렇게 가슴 한가득 품고서 더욱더 넓고 커다란 시각으로 그녀가 발 딛고 서있는 더 크고 화려한 세계, 미국 안에서 색색이 알록달록한 사회를 맛볼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서서, 온전한 자신으로서 맛깔 나는 다양한 여타 문화와 섞이고 배여 거대한 미국이라는 그릇 안에서 오롯이 ‘재료’로서의 역할을, 없어서는 안될 필수불가결의 요소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다문화’의 진정한 의미는 그러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추천자료
인간과 문화
[다문화가족복지의 전망과 과제] 다민족, 다인종, 다문화가족의 도전과 전망 및 다문화주의의...
한국 다문화주의의 전망 (부제 : 이민정책을 중심으로)
1.다문화 주의적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2.결혼이주민 여성 교육(가칭)을 다문화 ...
[다문화교육론 공통] 다문화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교...
[한국의 다문화정책 현황과 문제점] 다문화 사회 - 한국 다문화 사회의 실태와 문제점 및 다...
미국의 사회와 문화 과제 - 단원 요약 및 관련 사진자료
[청소년복지] 사회통합에 대한 이해(이민자 및 탈북청소년을 중심으로) - 사회통합의 개념, ...
[다문화주의 문화상대주의] 다문화주의와 문화상대주의를 비교하여 설명 - 다문화주의와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