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건강사정
Ⅲ. 약물
Ⅳ. 진단검사
Ⅴ. 치료경과 및 계획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Ⅱ. 건강사정
Ⅲ. 약물
Ⅳ. 진단검사
Ⅴ. 치료경과 및 계획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움직임
완화요인: 부동, 진통제
오심: 무
bdomen-pelvis CT :
관골구 후벽 골절 소견
수술명: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Lt. tibia, Lt elbow, Rt arm)
수술절개부위 및 골절과 관련된 급성통증
■ 간호진단 2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꼬리뼈가 아파요.”
객관적 자료:
피부손상: 유
(엉덩이 미골부위 10*10 발진 보임)
수술 후 침상에서 부동 상태임
욕창위험도 사정: 14점
(중간 정도 위험 있음)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간호진단 3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옮길 때 조심해주세요.”
객관적 자료:
골절 수술로 인해 부동 상태임.
하루에 수차례의 검사로 침상에서 이동침상으로의 이동이 잦음.
낙상위험도사정 점수: 5점
신체기동성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 간호진단 1 : 수술절개부위와 골절과 관련된 급성통증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이내에 통증사정점수가 3점 이하로 나타날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사정점수가 4점 이하로 나타날 것이다.
1-1) 매일 대상자의 통증을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1-2)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물리적 요법, 인지행동요법, 생활습관의 변화)
1-3) PCA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1-4) prn 처방에 따라 Tridol 500mg을 IV 투여한다.
1-1) 통증은 주관적 경험으로, 객관적인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하여야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2) 비약물적 통증관리에는 물리적 요법, 인지 행동요법, 생활습관의 변화가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3) PCA는 대상자가 조절하는 주입펌프를 통한 마약성 진통제를 정맥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4) prn 처방은 필요시 간호사의 판단하에 독자적으로 투약할 수 있는 처방이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수
행
1-1) 매일 아침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하였다.
11/09: 5점, 11/10: 5점, 11/11: 4점, 11/12: 4점, 11/13: 4점
2-1) 11/0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음악 감상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3-1) 11/0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PCA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아프시면 동그란 버튼을 누르시면 진통제가 들어갑니다.
4-1) 11/09 (5점), 11/10 (5점), 11/11 (4점), 11/12 (4점), 11/13 (4점)
→ prn 처방에 따라 NRS 4점 이상일 시 Tidol 500mg IV 투여하였다.
평
가
11/16 목표달성 됨.
대상자 통증사정점수 3점 나타남.
■ 간호진단 2 :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개월 이내에 욕창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미골 부위의 발진이 사라질 것이다.
1-1) 발진이 있는 미골 부위의 피부 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1-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발생원인에 대해 교육한다.
1-3)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1-4) 환부를 매일 마사지 한다.
1-1) 건강한 피부는 피부가 팽팽하고, 만졌을 때 따뜻하고 건조하며, 피부손상이 없고,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이 6초 이내이어야 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2) 대상자나 돌봄제공자가 욕창 발생원인에 대해 인지한다면, 대상자에게 적절한 피부손상 예방법을 찾을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3) 공기 순환이 가능한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를 부풀리고 빼는 것을 반복하여 순환을 증진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4) 마사지를 통해 조진관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수
행
1-1) 발진이 있는 미골 부위를 매일 사정하였다.
11/09, 11/10, 11/11, 11/12, 11/13 : 피부 상태 사정함.
1-2) 11/0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욕창발생 원인에 대해 교육하였다.
: 장기간 같은 자세로 있으면 같은 부위에 압력이 계속 가해져 욕창이 생길 수 있습니다.
습한 환경 또한 욕창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1-3) 11/09 대상자에게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였다.
1-4) 대상자의 환부를 매일 마사지 하였다.
11/09, 11/10, 11/11, 11/12, 11/13 : 피부 상태 사정함.
평
가
11/13 목표 부분 달성 됨.
11/13 피부상태 사정: 미골 부위 발진 사라짐.
■ 간호진단 3 : 신체기동성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개월 이내에 낙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낙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1-1) 매일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한다.
1-2) Side rail을 항상 올리도록 교육한다.
1-3) 호출벨 사용법을 교육한다.
1-4) 항상 침대바퀴 고정을 하도록 교육한다.
1-1)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표준 낙상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 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조치를 결정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2), 1-3), 1-4) Side rail, 호출벨 사용, 침대바퀴 고정을 통해 낙상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수
행
1-1) 매일 낙상 위험도를 사정하였다.
11/09: 5점, 11/10: 5점, 11/11: 5점, 11/12: 5점, 11/13: 5점
1-2) 11/09 Side rail을 항상 올리도록 교육하였다.
1-3) 11/09 호출벨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1-4) 11/09 항상 침대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하였다.
평
가
11/13 목표 부분 달성됨.
11/09~11/13 : 낙상 발생 없었음.
Ⅶ. 참고문헌
완화요인: 부동, 진통제
오심: 무
bdomen-pelvis CT :
관골구 후벽 골절 소견
수술명: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Lt. tibia, Lt elbow, Rt arm)
수술절개부위 및 골절과 관련된 급성통증
■ 간호진단 2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꼬리뼈가 아파요.”
객관적 자료:
피부손상: 유
(엉덩이 미골부위 10*10 발진 보임)
수술 후 침상에서 부동 상태임
욕창위험도 사정: 14점
(중간 정도 위험 있음)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간호진단 3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옮길 때 조심해주세요.”
객관적 자료:
골절 수술로 인해 부동 상태임.
하루에 수차례의 검사로 침상에서 이동침상으로의 이동이 잦음.
낙상위험도사정 점수: 5점
신체기동성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 간호진단 1 : 수술절개부위와 골절과 관련된 급성통증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이내에 통증사정점수가 3점 이하로 나타날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사정점수가 4점 이하로 나타날 것이다.
1-1) 매일 대상자의 통증을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1-2)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물리적 요법, 인지행동요법, 생활습관의 변화)
1-3) PCA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1-4) prn 처방에 따라 Tridol 500mg을 IV 투여한다.
1-1) 통증은 주관적 경험으로, 객관적인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하여야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2) 비약물적 통증관리에는 물리적 요법, 인지 행동요법, 생활습관의 변화가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3) PCA는 대상자가 조절하는 주입펌프를 통한 마약성 진통제를 정맥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4) prn 처방은 필요시 간호사의 판단하에 독자적으로 투약할 수 있는 처방이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수
행
1-1) 매일 아침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하였다.
11/09: 5점, 11/10: 5점, 11/11: 4점, 11/12: 4점, 11/13: 4점
2-1) 11/0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음악 감상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3-1) 11/0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PCA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아프시면 동그란 버튼을 누르시면 진통제가 들어갑니다.
4-1) 11/09 (5점), 11/10 (5점), 11/11 (4점), 11/12 (4점), 11/13 (4점)
→ prn 처방에 따라 NRS 4점 이상일 시 Tidol 500mg IV 투여하였다.
평
가
11/16 목표달성 됨.
대상자 통증사정점수 3점 나타남.
■ 간호진단 2 :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개월 이내에 욕창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미골 부위의 발진이 사라질 것이다.
1-1) 발진이 있는 미골 부위의 피부 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1-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발생원인에 대해 교육한다.
1-3)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1-4) 환부를 매일 마사지 한다.
1-1) 건강한 피부는 피부가 팽팽하고, 만졌을 때 따뜻하고 건조하며, 피부손상이 없고,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이 6초 이내이어야 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2) 대상자나 돌봄제공자가 욕창 발생원인에 대해 인지한다면, 대상자에게 적절한 피부손상 예방법을 찾을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3) 공기 순환이 가능한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를 부풀리고 빼는 것을 반복하여 순환을 증진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4) 마사지를 통해 조진관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수
행
1-1) 발진이 있는 미골 부위를 매일 사정하였다.
11/09, 11/10, 11/11, 11/12, 11/13 : 피부 상태 사정함.
1-2) 11/0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욕창발생 원인에 대해 교육하였다.
: 장기간 같은 자세로 있으면 같은 부위에 압력이 계속 가해져 욕창이 생길 수 있습니다.
습한 환경 또한 욕창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1-3) 11/09 대상자에게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였다.
1-4) 대상자의 환부를 매일 마사지 하였다.
11/09, 11/10, 11/11, 11/12, 11/13 : 피부 상태 사정함.
평
가
11/13 목표 부분 달성 됨.
11/13 피부상태 사정: 미골 부위 발진 사라짐.
■ 간호진단 3 : 신체기동성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개월 이내에 낙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낙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1-1) 매일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한다.
1-2) Side rail을 항상 올리도록 교육한다.
1-3) 호출벨 사용법을 교육한다.
1-4) 항상 침대바퀴 고정을 하도록 교육한다.
1-1)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표준 낙상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 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조치를 결정한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1-2), 1-3), 1-4) Side rail, 호출벨 사용, 침대바퀴 고정을 통해 낙상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수
행
1-1) 매일 낙상 위험도를 사정하였다.
11/09: 5점, 11/10: 5점, 11/11: 5점, 11/12: 5점, 11/13: 5점
1-2) 11/09 Side rail을 항상 올리도록 교육하였다.
1-3) 11/09 호출벨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1-4) 11/09 항상 침대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하였다.
평
가
11/13 목표 부분 달성됨.
11/09~11/13 : 낙상 발생 없었음.
Ⅶ.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골절-FRACTURE
대퇴골 골절(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케이스
fracture case study.hwp
대퇴골경부골절(Femur Neck Fracture) case study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A+ (femur neck fracture CASE,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대퇴부 골절 케이...
Closed pertrochanteric fracture 폐쇄성 대퇴 전자부 골절 A+ ( 폐쇄성 대퇴 전자부 골절 케...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대퇴골 경부 바닥의 골절 케...
[A+ 성인OS]대퇴경부골절(Fx. neck femur) 간호과정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