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대퇴골 골절(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의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치료및간호
7) 합병증
Ⅱ본론
1.기초자료 수집
2)건강력
3)각기관별 문진
4)진단을 위한 검사
5)약물
6)간호진단
Ⅲ결론
Ⅳ참고문헌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대퇴골 골절(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의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치료및간호
7) 합병증
Ⅱ본론
1.기초자료 수집
2)건강력
3)각기관별 문진
4)진단을 위한 검사
5)약물
6)간호진단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절방법을 안다.
대상자는 3일내로 편안함을 느끼며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계획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한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심호흡, 복식호흡, 평화로운 상상과 같은 이완을 가져오는 행동을 유도한 다.
-통증부위를 베개로 올리고 ice bag을 대어준다.
-신체선열을 유지한다.
-Call bell 사용법을 교육한다.
-통증을 유발, 증가시키는 요소를 줄이도록 한다.
-통증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조절한다.
수행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하였다.
-입원시 Call bell사용법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해 드렸다. by.nurse
-PRN으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1월30일 8PM 1 IV) by.nurse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심호흡법을 교육하였으며 복식호흡법도 알려주었다. by.nurse
-통증부위에 냉장고에서 꺼내온 황토팩을 올려주었다.
-Fowler\'s Position을 취하여 주었다.
-통증을 유발, 증가시키는 요소(두려움, 피로)를 줄이도록 교육하였다.
-통증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공기, 온도, 빛, 소음)을 조절해 주었다.
이론적
근거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환자의 현 상태를 파악하여 통증을 경 감시킬 수 있다.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통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줄임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심호흡을 실시함으로써 통증 부위의 이완을 돕고 긴장을 풀어줄 수 있다.
-이완요법을 실시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킨다.
-이완을 돕고 근육 긴장을 감소시킨다. 또한 통증 부위의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Fowler\'s Position은 폐 확장을 돕고 횡격막의 눌림을 감소시켜주며 편안한 자세이므로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평가
통증기록지
날짜
시간
0~10
양상
위치
빈도및기간
2/2
9A
2
2
Lt hip
2
4P
1
2
\"
2
11P
1
2
\"
2
2/3
9A
2
2
\"
2
4P
1
2
\"
2
2/4
9A
1
1
\"
2
4P
1
1
\"
2
극심한 통증이 아닌 경우에는 처음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셨으나 차츰 그 효과를 보게 되어 2월 4일경 통증이 들하다며 만족하시는 모습을 보이셨다.
다리를 움직일시 통증을 많이 호소하셨는데 Position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교육한뒤 대상자는 Fowler\'s Position 으로 잘 계셨으며 움직이지도 않으셨다.
1월 29일 대상자와 간병인은 통증 조절방법을 습득하여 행한다.
사정
S : \"수술한대 붕대감고있으려니 답답한데 풀면안되요?\"
O : 병원에서 깨끗하게 빤 이불대신 집에서 가져온 이불을 덮는다.
날짜
시간
BP
PR
RR
BT
1/30
OP후 2P
130/63
2/2
9A
140/90
84
20
36.5
4P
130/80
80
20
36.4
2/3
9A
130/90
64
20
36.5
4P
120/80
80
20
36.6
2/4
9A
130/90
80
20
36.5
4P
120/80
80
20
36.6
일반혈액검사 : WBC 정상치 (4~10x10^6/mm³)
1/30
2/2
WBC
13.3
10.5
증가시 감염 의심
진단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2차 감염의 증상이 없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2월6일까지 대상자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고 말한다.
계획
-활력징후를 체크한다.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과 관련된 임상검사를 사정한다.
-절개부위를 Dressing할때는 철저히 무균술을 지킨다.
-수술부위의 피부를 자주 사정한다.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의 상태와 식성에 따른 수분섭취를 권장 하고, 영양공급을 한다.
수행
-활력징후를 정해진 시간마다 체크하였다.(1월30 ~ 2월4일 9A, 4P,11P)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했다. by nurse
-일반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1월30일, 2월2일 CBC 시행) by nurse
-절개부위를 Dressing해주며 Dressing할 때에 멸균된 일회용 장갑을 끼며, -멸균된 핀셋으로 betadine 과 hibitane 으로 환부를 소독한 뒤 필요시 멸 균된 거즈를 대어주거나 멸균된 붕대로 환부를 싸 주었다. by doctor
-환자분과 간병인에게 물을 많이 마시라고 말해드렸다.
이론적
근거
-수술부위를 외과적으로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의 가능성이 항상 있어 항상 규 칙적으로 vital sign과 fever체크한다.
-감염 시 맥박, 호흡, 혈압, 체온이 상승한다.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CBC 등)
-영양결핍시 감염이 잘된다.
평가
수술 후 v/s 할 때에도 눈에 띄게 체온이 상승하는 등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고, WBC는 수술 후 3일동안 상승했지만 그 이후로는 검사결과가 없어 확인하지 못하였다. 입원하고 있는 동안 선생님들께서 수술부위 치료를 잘해주셔서 별다른 증상없이 잘 지낸 것 같다며 말씀하셨다.
#.2
#.3
사정
S : \"수술해서 화장실 가는것도 힘들어죽겠네\"
“다리가아파 남들이하는 운동은 꿈도 못꿔”
“계속 앉아만 있으니까 다리가 잘 안펴지는거 같은데”
O : 화장실가는시간외엔 침상안정중이심.
대상자의 나이는 올해로 84세임
침대에서는 종일 high-F 자세 취하고 계심
간병인 도움없이 혼자서 침대에 올라가시지 못함
몸의 자세를 바꾸는데 도움이 필요하며 시간이 오래걸림
진단
허약과 관련된 운동장애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올바른 신체선열을 유지하며 자발적으로 운동을 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내로 조금씩 운동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계획
-체위변경마다 올바른 선열 유지하도록 한다.
-단단한 침요, 발받침대, 대전자두루마리등의 지지기구들을 사용한다.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올바른 체위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간병인이 대상자의 운동과 체위변경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대상자에게
수행
-공기침요를 대상자의 밑에 깔아주었다.(1월28 ~ 2월4일)
-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올바른 체위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by nurse
-린넨실에서 단단한 베개를 2개 가져다 드려 하나는 발
대상자는 3일내로 편안함을 느끼며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계획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한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심호흡, 복식호흡, 평화로운 상상과 같은 이완을 가져오는 행동을 유도한 다.
-통증부위를 베개로 올리고 ice bag을 대어준다.
-신체선열을 유지한다.
-Call bell 사용법을 교육한다.
-통증을 유발, 증가시키는 요소를 줄이도록 한다.
-통증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조절한다.
수행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하였다.
-입원시 Call bell사용법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해 드렸다. by.nurse
-PRN으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1월30일 8PM 1 IV) by.nurse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심호흡법을 교육하였으며 복식호흡법도 알려주었다. by.nurse
-통증부위에 냉장고에서 꺼내온 황토팩을 올려주었다.
-Fowler\'s Position을 취하여 주었다.
-통증을 유발, 증가시키는 요소(두려움, 피로)를 줄이도록 교육하였다.
-통증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공기, 온도, 빛, 소음)을 조절해 주었다.
이론적
근거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환자의 현 상태를 파악하여 통증을 경 감시킬 수 있다.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통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줄임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심호흡을 실시함으로써 통증 부위의 이완을 돕고 긴장을 풀어줄 수 있다.
-이완요법을 실시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킨다.
-이완을 돕고 근육 긴장을 감소시킨다. 또한 통증 부위의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Fowler\'s Position은 폐 확장을 돕고 횡격막의 눌림을 감소시켜주며 편안한 자세이므로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평가
통증기록지
날짜
시간
0~10
양상
위치
빈도및기간
2/2
9A
2
2
Lt hip
2
4P
1
2
\"
2
11P
1
2
\"
2
2/3
9A
2
2
\"
2
4P
1
2
\"
2
2/4
9A
1
1
\"
2
4P
1
1
\"
2
극심한 통증이 아닌 경우에는 처음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셨으나 차츰 그 효과를 보게 되어 2월 4일경 통증이 들하다며 만족하시는 모습을 보이셨다.
다리를 움직일시 통증을 많이 호소하셨는데 Position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교육한뒤 대상자는 Fowler\'s Position 으로 잘 계셨으며 움직이지도 않으셨다.
1월 29일 대상자와 간병인은 통증 조절방법을 습득하여 행한다.
사정
S : \"수술한대 붕대감고있으려니 답답한데 풀면안되요?\"
O : 병원에서 깨끗하게 빤 이불대신 집에서 가져온 이불을 덮는다.
날짜
시간
BP
PR
RR
BT
1/30
OP후 2P
130/63
2/2
9A
140/90
84
20
36.5
4P
130/80
80
20
36.4
2/3
9A
130/90
64
20
36.5
4P
120/80
80
20
36.6
2/4
9A
130/90
80
20
36.5
4P
120/80
80
20
36.6
일반혈액검사 : WBC 정상치 (4~10x10^6/mm³)
1/30
2/2
WBC
13.3
10.5
증가시 감염 의심
진단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2차 감염의 증상이 없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2월6일까지 대상자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고 말한다.
계획
-활력징후를 체크한다.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과 관련된 임상검사를 사정한다.
-절개부위를 Dressing할때는 철저히 무균술을 지킨다.
-수술부위의 피부를 자주 사정한다.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의 상태와 식성에 따른 수분섭취를 권장 하고, 영양공급을 한다.
수행
-활력징후를 정해진 시간마다 체크하였다.(1월30 ~ 2월4일 9A, 4P,11P)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했다. by nurse
-일반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1월30일, 2월2일 CBC 시행) by nurse
-절개부위를 Dressing해주며 Dressing할 때에 멸균된 일회용 장갑을 끼며, -멸균된 핀셋으로 betadine 과 hibitane 으로 환부를 소독한 뒤 필요시 멸 균된 거즈를 대어주거나 멸균된 붕대로 환부를 싸 주었다. by doctor
-환자분과 간병인에게 물을 많이 마시라고 말해드렸다.
이론적
근거
-수술부위를 외과적으로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의 가능성이 항상 있어 항상 규 칙적으로 vital sign과 fever체크한다.
-감염 시 맥박, 호흡, 혈압, 체온이 상승한다.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CBC 등)
-영양결핍시 감염이 잘된다.
평가
수술 후 v/s 할 때에도 눈에 띄게 체온이 상승하는 등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고, WBC는 수술 후 3일동안 상승했지만 그 이후로는 검사결과가 없어 확인하지 못하였다. 입원하고 있는 동안 선생님들께서 수술부위 치료를 잘해주셔서 별다른 증상없이 잘 지낸 것 같다며 말씀하셨다.
#.2
#.3
사정
S : \"수술해서 화장실 가는것도 힘들어죽겠네\"
“다리가아파 남들이하는 운동은 꿈도 못꿔”
“계속 앉아만 있으니까 다리가 잘 안펴지는거 같은데”
O : 화장실가는시간외엔 침상안정중이심.
대상자의 나이는 올해로 84세임
침대에서는 종일 high-F 자세 취하고 계심
간병인 도움없이 혼자서 침대에 올라가시지 못함
몸의 자세를 바꾸는데 도움이 필요하며 시간이 오래걸림
진단
허약과 관련된 운동장애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올바른 신체선열을 유지하며 자발적으로 운동을 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내로 조금씩 운동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계획
-체위변경마다 올바른 선열 유지하도록 한다.
-단단한 침요, 발받침대, 대전자두루마리등의 지지기구들을 사용한다.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올바른 체위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간병인이 대상자의 운동과 체위변경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대상자에게
수행
-공기침요를 대상자의 밑에 깔아주었다.(1월28 ~ 2월4일)
-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올바른 체위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by nurse
-린넨실에서 단단한 베개를 2개 가져다 드려 하나는 발
추천자료
골절의 원인과 분류 치료
[근골격계]대퇴골절에 관한 문헌고찰과 케이스
골절,Fracture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고관절치환술 케이스
안면골절 환자 케이스
상완골절 대상자 간호과정
외상성 뇌손상 case
압박골절 case study
골절 Fracture
정형외과 병동 케이스 스터디.오른쪽대퇴부경부골절.THRA<인공고관절대치술>
Ruptur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knee,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정형외과 ...
성인간호학 간호과정 (OS 케이스) 실습점수 만점자료
골절 환자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