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0일 한국ㆍ중국 FTA가 발효되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5년 12월 20일 한국ㆍ중국 FTA가 발효되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한 예견 및 현황을 중소부분제조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중 FTA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것은 바로 관세철폐효과이다. 약국의 소재, 부품, 반제품, 완제품 등의 유통이 가속화 됨에 따라 중소부품제조기업은 중국에서 더욱 용이하게 차이나 아웃소싱을 가능하게 하고, 중국시장에 진출하기도 쉬워지도록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역으로 생각했을 때 중국 역시 중소부품제조기업을 한국으로 납품할 수 있어 국내 시장의 경쟁이 훨씬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 역시 함께 잇따르고 있다.
더불어 관세철폐/인하 등의 조치로 인하여 비관세 장벽, 통관관련 조치, TBT, 투자 관련 조치는 중국시장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한국기업들이 중국수출을 더욱 근접하게 느낄 수 있게 하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효율을 보여줄 것이다. 이 역시 역으로 중국기업들의 한국시장 접근성이 수월해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양날의 칼과 같은 한중 FTA의 영향에서 우리의 국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대응안이 필요할 것이다. 그에 대한 대응안을 소개하자면 첫째, 차이나 아웃소싱+코리아 아웃소싱 방식에서 원가우위확보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국내시장과 국제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한국 중수부품제조기업은 다품종, 소량생산 등 독특한 차별화우위를 강화하는 등 국내시장에서 필요한 분량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고, 잠재적인 국제시장의 경쟁자가 진입하기 어려울 만한 진입장벽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그와 동시에 무역전환효과의 흐름에 맞추어 중국시장에서의 성장 요소 및 기회를 찾아내야겠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2.18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