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받는 존재였고,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어주기보다는 누군가 나의 버팀목이 되어주길 기대했다. 인간관계는 넓었으나, 깊은 인간관계는 나에게 신경써야하는 일이고 오히려 귀찮은 일이였기 때문에 이것을 항상 뒤로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일은 스스로 해결했고, 그 당시에는 몰랐지만 지금에서야 느끼는 외로움이 나를 항상 따라다녔던 것 같다. 나는 도구적 목적밖에 안되던 성공을 인생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이라 여기며 열심히 살았다. 열심히 살았던 반면 자만심도 많았다. 하지만 원하던 대학에 실패하고 거기서 오는 좌절감은 나를 정말 삶의 끝까지 밀어내려는 생각을 하게했다. 그렇게 욕심 많고 성공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고 행복이라 여기며 살았는데 그 행복이라 여기던 것이 깨지는 순간, 도구적 목적인 행복감마저 잃어버렸다. 지금 생각해보면 학창시절의 기억은 그리 행복하지 않다. 그 당시에는 행복했지만 지나고 보니 전혀 행복하지 않았다. 도구적 목적이 진짜 행복이라 착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열심히 살고 성적도 좋았던 나 자신은 대학교 때 그동안 했던 고생을 보상받기라도 해야겠다는 보상심리로 대학교 때는 전혀 공부라는 것에 중요성을 두지 않았다. 공부보다는 다른 것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것을 경험하고 싶었다. 그동안 내가 하고 싶었던 것, 꾹꾹 참아가며 억눌렀던 것을 다 해보고 싶었다. 이렇게 하고 싶었던 것을 해가며 자유롭게 살았는데 학점은 잘 나오지 않았다. 안나오는 것이 당연했지만 참 딜레마스럽게 학점이 안나오니 스트레스도 쌓이고 오히려 자신감도 잃어가는 것 같아 속상했다.
나는 항상 경쟁상대로만 남을 보았기 때문에 남을 인정하는 것은 지금도 쉽지 않다. 남을 그대로 인정하는 연습을 지금도 하고 있고, 그 전에는 정말 이것이 힘들었다. 남을 그대로 인정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참 쉬운일이다. 있는 그대로 칭찬해주고 잘하는 것이 있으면 배우려 하고 그 사람자체를 인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에게는 이것이 참 어려웠다. 지금은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한다. 그리고 있는 그대로 사랑한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법을 배웠고 지금도 배우고 있는 중이다. 이것을 일시적 중용상태가 아닌 습관적 덕으로 만들려고 부단히 노력중이다.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몰랐다. 물론 겉으로는 나 자신을 많이 사랑한다. 아니 그렇게 보이려 노력했다. 겉으로는 자신감에 나 자신을 무척이나 위하지만 내면으로는 나는 나 자신에 대한 불만으로 가득했다. 나의 부족한 부분만 보이고 칭찬보다는 항상 비난을 했고 못마땅해 했다. 나 자신의 소중함을 모르고 사랑하는 법을 몰랐다. 내 자신은 상처를 받아도 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상처를 주면 안된다는 생각에 결국 내 자신만 상처를 받고 있었는데도 그 사실도 모를만큼 나는 내 자신을 소중히 하지 않았다. 내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모르니 당연히 남을 사랑하는 법도 몰랐다. 나는 그렇게 나 자신과 하나하나 싸워가며 품성적 덕을 쌓아가는 중이다. 힘들다. 사실 이렇게 해나가는 과정에서 부딪치는 부분도 많고 상처받는 것도 많다. 대학와서 이런 부분들이 많이 고쳐치고 나는 비로소 나 자신의 중심을 잃지 않으며 많은 부분들을 고쳐나갔다. 이렇게 덕을 쌓아 가는 도중에 요즘 다시 삶에 대한 회의가 느껴지면서 많은 부분들을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요즘에 사람이라는 단어를 가장 중요시 여긴다. 사람의 중요성을 알게되면서 내가 참 많이 사람들에게 소홀했구나라는 것을 느끼고 왜 더 잘해주지 못하고 더 생각해주지 못했을까 하는 후회가 많이 든다. 나는 항상 사랑받고 있었으면서 왜 그들에게 사랑을 주지 못했을까라는 생각이 들고 주는 것에 정말 인색했구나라고 또한번 느끼게 된다.
요즘은 그동안 너무나도 작은 것만을 생각하던 내가 크고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면서 느끼는 것이 너무 많아 거기서 오는 혼란스러움도 많고 생각할 것도 많아졌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과연 내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야하며 이제 내가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어야 하는 위치에 있고 , 마음속에 어떠한 중심을 가지고 그것에 맞추어 세상을 살아가고 배워가야 하는지 혼란스럽다. 내가 그동안 도구적 목적을 진짜 행복이라 착각하고 ,또 그것이 전부였던 나에게 남은 것은 허영심과 외로움 뿐이였다. 그래서 내가 그동안 인생을 참 잘못 살았구나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그 도구적 목적이 나에게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 주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나는 진정한 행복에 대해 찾게되고 그것을 찾기위해 노력하게
그렇게 열심히 살고 성적도 좋았던 나 자신은 대학교 때 그동안 했던 고생을 보상받기라도 해야겠다는 보상심리로 대학교 때는 전혀 공부라는 것에 중요성을 두지 않았다. 공부보다는 다른 것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것을 경험하고 싶었다. 그동안 내가 하고 싶었던 것, 꾹꾹 참아가며 억눌렀던 것을 다 해보고 싶었다. 이렇게 하고 싶었던 것을 해가며 자유롭게 살았는데 학점은 잘 나오지 않았다. 안나오는 것이 당연했지만 참 딜레마스럽게 학점이 안나오니 스트레스도 쌓이고 오히려 자신감도 잃어가는 것 같아 속상했다.
나는 항상 경쟁상대로만 남을 보았기 때문에 남을 인정하는 것은 지금도 쉽지 않다. 남을 그대로 인정하는 연습을 지금도 하고 있고, 그 전에는 정말 이것이 힘들었다. 남을 그대로 인정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참 쉬운일이다. 있는 그대로 칭찬해주고 잘하는 것이 있으면 배우려 하고 그 사람자체를 인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에게는 이것이 참 어려웠다. 지금은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한다. 그리고 있는 그대로 사랑한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법을 배웠고 지금도 배우고 있는 중이다. 이것을 일시적 중용상태가 아닌 습관적 덕으로 만들려고 부단히 노력중이다.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몰랐다. 물론 겉으로는 나 자신을 많이 사랑한다. 아니 그렇게 보이려 노력했다. 겉으로는 자신감에 나 자신을 무척이나 위하지만 내면으로는 나는 나 자신에 대한 불만으로 가득했다. 나의 부족한 부분만 보이고 칭찬보다는 항상 비난을 했고 못마땅해 했다. 나 자신의 소중함을 모르고 사랑하는 법을 몰랐다. 내 자신은 상처를 받아도 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상처를 주면 안된다는 생각에 결국 내 자신만 상처를 받고 있었는데도 그 사실도 모를만큼 나는 내 자신을 소중히 하지 않았다. 내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모르니 당연히 남을 사랑하는 법도 몰랐다. 나는 그렇게 나 자신과 하나하나 싸워가며 품성적 덕을 쌓아가는 중이다. 힘들다. 사실 이렇게 해나가는 과정에서 부딪치는 부분도 많고 상처받는 것도 많다. 대학와서 이런 부분들이 많이 고쳐치고 나는 비로소 나 자신의 중심을 잃지 않으며 많은 부분들을 고쳐나갔다. 이렇게 덕을 쌓아 가는 도중에 요즘 다시 삶에 대한 회의가 느껴지면서 많은 부분들을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요즘에 사람이라는 단어를 가장 중요시 여긴다. 사람의 중요성을 알게되면서 내가 참 많이 사람들에게 소홀했구나라는 것을 느끼고 왜 더 잘해주지 못하고 더 생각해주지 못했을까 하는 후회가 많이 든다. 나는 항상 사랑받고 있었으면서 왜 그들에게 사랑을 주지 못했을까라는 생각이 들고 주는 것에 정말 인색했구나라고 또한번 느끼게 된다.
요즘은 그동안 너무나도 작은 것만을 생각하던 내가 크고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면서 느끼는 것이 너무 많아 거기서 오는 혼란스러움도 많고 생각할 것도 많아졌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과연 내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야하며 이제 내가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어야 하는 위치에 있고 , 마음속에 어떠한 중심을 가지고 그것에 맞추어 세상을 살아가고 배워가야 하는지 혼란스럽다. 내가 그동안 도구적 목적을 진짜 행복이라 착각하고 ,또 그것이 전부였던 나에게 남은 것은 허영심과 외로움 뿐이였다. 그래서 내가 그동안 인생을 참 잘못 살았구나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그 도구적 목적이 나에게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 주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나는 진정한 행복에 대해 찾게되고 그것을 찾기위해 노력하게
추천자료
도덕교육에서 윤리학에 바탕을 둔 덕교육이 중요한 이유 고찰
덕의 함양에 대한 고찰 [교육적 접근]
[초등도덕교육론]거짓말도 배워야 한다 -중용으로서의 선의의 거짓말-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와 도덕 교육이 만나다-덕 윤리학의 근원을 찾아서;실천적 호...
[초등도덕교육론]긍정의 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덕과 도덕교육 - 경험사례 - 5학년 - 2 절제하는 생활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의 입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실현)
초등도덕교육 - 아리스토텔레스와 덕윤리 - 도덕이론의 사례적용과 초등도덕교육과의 연계
초등도덕교육 -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