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있어야만 하는 무기력한 존재였다.
ㄷ) 메이지유신이후의 천황제 : 西勢東漸이라는 세계사의 흐름은 일본이라는 나라를 쇄국에서 벗어나 개국과 개항에 이르게 만들고, 이러한 역사적 변혁은 막부세력의 뒤에서 잊혀져가던 천황의 존재를 다시 부각시키는 동인이 되었다. 개혁세력들은 천황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막부를 타도하는 것에 성공하였기에 막부에 의해 가리워있던 천황은 다시 국가권력구조의 핵심에 위치하게 되었다. 타키코지(多木浩三)著 박삼헌驛, 천황의 초상 (서울:소명출판, 2007),16면. 메이지유신이후의 천황은 메이지(明治시대, 1898-1912), 다이쇼(大正시대, 1912-1926), 쇼와시대(昭和시대, 1926-1989), 헤이세이(平成시대1945- 현재)이다. 이밖에 전설시기의 진무(神武)부터 근대 명치이전의 천황에 대하여는 김용민, 「일본천황제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57-62면 참조.
존왕양이 주장에 힘입어 천황은 女官의 손에 있는 연약한 천황이 아니라 새로운 천황상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야스마루 요시오저 이원범역「 천황제국가의 성립과 신흥종교」 (서울: 소화, 2002), 118-119면.
四.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특성
가) 천황제의 다의성 : \'천황제\'는 군주제를 의미하는 독일어 \'Monarchie\'를 일본어로 번역한 것이며,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사용하였던 조어(造語)였던 것이다. 후치타쇼조著 김석근驛, 「천황제국가의 지배원리」 (서울: 논형, 2009),7면.
천황제에 내포된 의미는 3가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단순히 군주로서 천황이라는 존재가 잇다는 의미이다. 둘째는 엄격하게 구분하면 근대일본의 정치구조를, 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는 언어적 표현으로 특정한 사회적 현상이 천황적 지배양식이 갖는 특징적 성격을 나타내는 경우에 , 그러한 특징에 비추어보아 그러한 현상은 \'천황제\'라는 호칭을 하게된다는 것이다. 위의 책, 24면.
나) 천황제의 성립 : 근세유럽의 경우에 절대왕정은 교황과 교회와의 격심한 투쟁을 통하여 기존의 종교적 권위와 왕의 정치적 권력이 분리와 독립의 과정을 통하여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천황은 종래 자신이 지니고 있었던 권위를 이용하여 성립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천황제는 천황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적 요소의 상황변화에 따라 권력의 주체로 재등장하게 된 것이다. 위의 책, 27면. 천화기관설, 천황주권설에 대하여는 쓰루미
있어야만 하는 무기력한 존재였다.
ㄷ) 메이지유신이후의 천황제 : 西勢東漸이라는 세계사의 흐름은 일본이라는 나라를 쇄국에서 벗어나 개국과 개항에 이르게 만들고, 이러한 역사적 변혁은 막부세력의 뒤에서 잊혀져가던 천황의 존재를 다시 부각시키는 동인이 되었다. 개혁세력들은 천황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막부를 타도하는 것에 성공하였기에 막부에 의해 가리워있던 천황은 다시 국가권력구조의 핵심에 위치하게 되었다. 타키코지(多木浩三)著 박삼헌驛, 천황의 초상 (서울:소명출판, 2007),16면. 메이지유신이후의 천황은 메이지(明治시대, 1898-1912), 다이쇼(大正시대, 1912-1926), 쇼와시대(昭和시대, 1926-1989), 헤이세이(平成시대1945- 현재)이다. 이밖에 전설시기의 진무(神武)부터 근대 명치이전의 천황에 대하여는 김용민, 「일본천황제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57-62면 참조.
존왕양이 주장에 힘입어 천황은 女官의 손에 있는 연약한 천황이 아니라 새로운 천황상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야스마루 요시오저 이원범역「 천황제국가의 성립과 신흥종교」 (서울: 소화, 2002), 118-119면.
四.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특성
가) 천황제의 다의성 : \'천황제\'는 군주제를 의미하는 독일어 \'Monarchie\'를 일본어로 번역한 것이며,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사용하였던 조어(造語)였던 것이다. 후치타쇼조著 김석근驛, 「천황제국가의 지배원리」 (서울: 논형, 2009),7면.
천황제에 내포된 의미는 3가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단순히 군주로서 천황이라는 존재가 잇다는 의미이다. 둘째는 엄격하게 구분하면 근대일본의 정치구조를, 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는 언어적 표현으로 특정한 사회적 현상이 천황적 지배양식이 갖는 특징적 성격을 나타내는 경우에 , 그러한 특징에 비추어보아 그러한 현상은 \'천황제\'라는 호칭을 하게된다는 것이다. 위의 책, 24면.
나) 천황제의 성립 : 근세유럽의 경우에 절대왕정은 교황과 교회와의 격심한 투쟁을 통하여 기존의 종교적 권위와 왕의 정치적 권력이 분리와 독립의 과정을 통하여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천황은 종래 자신이 지니고 있었던 권위를 이용하여 성립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천황제는 천황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적 요소의 상황변화에 따라 권력의 주체로 재등장하게 된 것이다. 위의 책, 27면. 천화기관설, 천황주권설에 대하여는 쓰루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