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질병에 관한 기술
★폐쇄성 담관암(Hilar cholangiocarcinoma)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결론
실습후기
참고문헌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질병에 관한 기술
★폐쇄성 담관암(Hilar cholangiocarcinoma)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결론
실습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 P 86회/분 R 20회/분
2019.01.16. 18:00
BP 120/80mmHg T 36.2℃ P 86회/분 R 20회/분
2019.01.17. 06:00
BP 140/80mmHg T 36.5℃ P 60회/분 R 20회/분
2019.01.17. 10:00
BP 140/80mmHg T 36.5℃ P 91회/분 R 20회/분
2019.01.17. 18:00
BP 120/70mmHg T 36.8℃ P 92회/분 R 20회/분
2019.01.18. 06:00
BP 140/80mmHg T 36.5℃ P 83회/분 R 20회/분
2019.01.18. 10:00
BP 125/75mmHg T 36.4℃ P 84회/분 R 20회/분
2019.01.18. 18:00
BP 120/70mmHg T 36.3℃ P 75회/분 R 20회/분
★ Vital Sign
날짜
method
시간
혈당
투약
용량
주사부위
2019년 1월 10일
2회+RI
17:00
186
2019년 1월 10일
2회+RI
21:00
127
2019년 1월 11일
4회+RI
17:00
172
2019년 1월 11일
4회+RI
21:00
262
2019년 1월 12일
4회+RI
06:00
422
2019년 1월 12일
4회+RI
07:30
409
2019년 1월 12일
Q4HR+RI
10:00
394
2019년 1월 12일
4회+ RI
11:00
429
2019년 1월 12일
4회+RI
12:00
363
2019년 1월 12일
4회+RI
13:00
396
2019년 1월 12일
Q4HR+RI
15:00
322
2019년 1월 12일
Q4HR+RI
16:00
244
2019년 1월 12일
Q4HR+RI
18;00
186
2019년 1월 12일
Q4HR+RI
21:00
119
2019년 1월 13일
Q4HR+RI
02:00
78
2019년 1월 13일
Q4HR+RI
06:00
120
2019년 1월 13일
Q4HR+RI
10:00
230
2019년 1월 13일
Q4HR+RI
14:00
235
E1
2019년 1월 13일
Q4HR+RI
18:00
284
IV
2019년 1월 13일
Q4HR+RI
21:00
282
IV
2019년 1월 14일
Q4HR+RI
02:00
224
E2
2019년 1월 14일
Q4HR+RI
06:00
264
IV
E4
2019년 1월 14일
Q4HR+RI
10:00
93
2019년 1월 14일
Q4HR+RI
14:00
104
2019년 1월 14일
Q4HR+RI
18:00
214
E5
2019년 1월 14일
Q4HR+RI
21:00
245
E6
2019년 1월 15일
Q4HR+RI
06:00
199
2019년 1월 15일
Q4HR+RI
10:00
258
IV
5
2019년 1월 15일
Q4HR+RI
14:00
194
2019년 1월 15일
Q4HR+RI
18:00
240
5
E8
2019년 1월 15일
Q4HR+RI
21:00
259
IV
2019년 1월 16일
Q4HR+RI
02:00
160
2019년 1월 16일
Q4HR+RI
06:00
184
2019년 1월 16일
Q4HR+RI
10:00
163
2019년 1월 16일
Q4HR+RI
14:00
152
2019년 1월 16일
Q4HR+RI
18:00
227
E7
2019년 1월 16일
Q4HR+RI
21:00
270
IV
2019년 1월 17일
Q4HR+RI
02:00
273
IV
5
2019년 1월 17일
Q4HR+RI
06:00
280
IV
5
2019년 1월 17일
Q4HR+RI
10:00
258
IV(자가투여)
5
2019년 1월 17일
Q4HR+RI
14:00
274
IV
5
2019년 1월 17일
Q4HR+RI
18:00
221
5
E9
2019년 1월 17일
Q4HR+RI
21:00
257
IV
5
2019년 1월 18일
Q4HR+RI
02:00
190
2019년 1월 18일
Q4HR+RI
06:00
209
E10
2019년 1월 18일
Q4HR+RI
10:00
258
SC
E11
2019년 1월 18일
Q4HR+RI
14:00
248
SC
E12
2019년 1월 18일
Q4HR+RI
18:00
183
2019년 1월 18일
Q4HR+RI
21:00
110
★ BST
★ Laboratory Finding
항목
2019.01.19
기준치
단위
임상적의의
WBC
▲
13.62
3.5-10
10*3/ul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순환장애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
2.94
3.9-5.5
10*6/ul
▲ 심한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청색증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기능장애
▼ 용혈성빈혈, 빈혈, 출혈, 에디슨병, 류마티스열, 골수기능부전, 백혈병
Hb
▼
9.2
13-17
g/dl
▲ 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다혈구혈증, 탈수
▼ 갑상선항진증, 빈혈, 간경화, 심한출혈, 혈액희석(수액과잉)
Hct
▼
26.9
38-50
%
▲ Erythrocytosis, 탈수, 다혈구혈증, 체액손실
▼ 갑상선기능항진증, Hemolysis 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blood loss, 빈혈, 백혈병, 실혈
MCV
91.5
80-98
fl
★ 평균적혈구용적
Macrocytic, Normocytic, Microcytic의 구별
MCH
31.3
27-34
pg
★ 평균적혈구혈색소량
MCHC
34.2
32-36
g/dl
★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Platelet
229
140-360
10*3/ul
▲ 외상, 심장병, 만성췌장염, 비장절제술, 결핵
▼ 바이러스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용혈장애, 화학/방사선 요법, 수술후, DIC, ITP, AIDS, 비장기능항진증
1. EDTA ★ 일반혈액검사 : CBC (Complete bloodcell count)
항목
2019.01.19
기준치
단위
임상적의의
BUN
25
8-26
mg/dL
▲ 신기능저하, 신증후군, 요독증, 급성사구체신염, 간경변
▼ 임신, 저단백, 요붕증, 심한간부전
Creatinine
▼
0.60
0.8-1.2
mg/dL
▲ 신기능
2019.01.16. 18:00
BP 120/80mmHg T 36.2℃ P 86회/분 R 20회/분
2019.01.17. 06:00
BP 140/80mmHg T 36.5℃ P 60회/분 R 20회/분
2019.01.17. 10:00
BP 140/80mmHg T 36.5℃ P 91회/분 R 20회/분
2019.01.17. 18:00
BP 120/70mmHg T 36.8℃ P 92회/분 R 20회/분
2019.01.18. 06:00
BP 140/80mmHg T 36.5℃ P 83회/분 R 20회/분
2019.01.18. 10:00
BP 125/75mmHg T 36.4℃ P 84회/분 R 20회/분
2019.01.18. 18:00
BP 120/70mmHg T 36.3℃ P 75회/분 R 20회/분
★ Vital Sign
날짜
method
시간
혈당
투약
용량
주사부위
2019년 1월 10일
2회+RI
17:00
186
2019년 1월 10일
2회+RI
21:00
127
2019년 1월 11일
4회+RI
17:00
172
2019년 1월 11일
4회+RI
21:00
262
2019년 1월 12일
4회+RI
06:00
422
2019년 1월 12일
4회+RI
07:30
409
2019년 1월 12일
Q4HR+RI
10:00
394
2019년 1월 12일
4회+ RI
11:00
429
2019년 1월 12일
4회+RI
12:00
363
2019년 1월 12일
4회+RI
13:00
396
2019년 1월 12일
Q4HR+RI
15:00
322
2019년 1월 12일
Q4HR+RI
16:00
244
2019년 1월 12일
Q4HR+RI
18;00
186
2019년 1월 12일
Q4HR+RI
21:00
119
2019년 1월 13일
Q4HR+RI
02:00
78
2019년 1월 13일
Q4HR+RI
06:00
120
2019년 1월 13일
Q4HR+RI
10:00
230
2019년 1월 13일
Q4HR+RI
14:00
235
E1
2019년 1월 13일
Q4HR+RI
18:00
284
IV
2019년 1월 13일
Q4HR+RI
21:00
282
IV
2019년 1월 14일
Q4HR+RI
02:00
224
E2
2019년 1월 14일
Q4HR+RI
06:00
264
IV
E4
2019년 1월 14일
Q4HR+RI
10:00
93
2019년 1월 14일
Q4HR+RI
14:00
104
2019년 1월 14일
Q4HR+RI
18:00
214
E5
2019년 1월 14일
Q4HR+RI
21:00
245
E6
2019년 1월 15일
Q4HR+RI
06:00
199
2019년 1월 15일
Q4HR+RI
10:00
258
IV
5
2019년 1월 15일
Q4HR+RI
14:00
194
2019년 1월 15일
Q4HR+RI
18:00
240
5
E8
2019년 1월 15일
Q4HR+RI
21:00
259
IV
2019년 1월 16일
Q4HR+RI
02:00
160
2019년 1월 16일
Q4HR+RI
06:00
184
2019년 1월 16일
Q4HR+RI
10:00
163
2019년 1월 16일
Q4HR+RI
14:00
152
2019년 1월 16일
Q4HR+RI
18:00
227
E7
2019년 1월 16일
Q4HR+RI
21:00
270
IV
2019년 1월 17일
Q4HR+RI
02:00
273
IV
5
2019년 1월 17일
Q4HR+RI
06:00
280
IV
5
2019년 1월 17일
Q4HR+RI
10:00
258
IV(자가투여)
5
2019년 1월 17일
Q4HR+RI
14:00
274
IV
5
2019년 1월 17일
Q4HR+RI
18:00
221
5
E9
2019년 1월 17일
Q4HR+RI
21:00
257
IV
5
2019년 1월 18일
Q4HR+RI
02:00
190
2019년 1월 18일
Q4HR+RI
06:00
209
E10
2019년 1월 18일
Q4HR+RI
10:00
258
SC
E11
2019년 1월 18일
Q4HR+RI
14:00
248
SC
E12
2019년 1월 18일
Q4HR+RI
18:00
183
2019년 1월 18일
Q4HR+RI
21:00
110
★ BST
★ Laboratory Finding
항목
2019.01.19
기준치
단위
임상적의의
WBC
▲
13.62
3.5-10
10*3/ul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순환장애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
2.94
3.9-5.5
10*6/ul
▲ 심한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청색증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기능장애
▼ 용혈성빈혈, 빈혈, 출혈, 에디슨병, 류마티스열, 골수기능부전, 백혈병
Hb
▼
9.2
13-17
g/dl
▲ 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다혈구혈증, 탈수
▼ 갑상선항진증, 빈혈, 간경화, 심한출혈, 혈액희석(수액과잉)
Hct
▼
26.9
38-50
%
▲ Erythrocytosis, 탈수, 다혈구혈증, 체액손실
▼ 갑상선기능항진증, Hemolysis 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blood loss, 빈혈, 백혈병, 실혈
MCV
91.5
80-98
fl
★ 평균적혈구용적
Macrocytic, Normocytic, Microcytic의 구별
MCH
31.3
27-34
pg
★ 평균적혈구혈색소량
MCHC
34.2
32-36
g/dl
★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Platelet
229
140-360
10*3/ul
▲ 외상, 심장병, 만성췌장염, 비장절제술, 결핵
▼ 바이러스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용혈장애, 화학/방사선 요법, 수술후, DIC, ITP, AIDS, 비장기능항진증
1. EDTA ★ 일반혈액검사 : CBC (Complete bloodcell count)
항목
2019.01.19
기준치
단위
임상적의의
BUN
25
8-26
mg/dL
▲ 신기능저하, 신증후군, 요독증, 급성사구체신염, 간경변
▼ 임신, 저단백, 요붕증, 심한간부전
Creatinine
▼
0.60
0.8-1.2
mg/dL
▲ 신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