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서 대복이에겐 건강하지 못한 가정문제가 선결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가정에서 비롯된 안좋은 영향을 대복이라는 인물 안에서 자체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해보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대복이의 반응을 억지적으로 추측한 점이나 이미 정답이 정해진 상태에서 진행된 일차원적인 프로그램이 아니었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대복이라는 캐릭터 설정이 너무 암울해서 <구운몽>이 정말 도움이 될까도 의심이 들었지만, 후에 비슷한 상황을 가진 학생을 실제로 치료할 때 하나의 작은 시도로써 참고되길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구두쇠 개심시킨 공수래공수거>,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4-6, 659; 5-7, 99.
<도둑 잡은 아이>,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1-4, 113, 938; 7-11, 805.
김미애, <구운몽>의 감상과 재창작을 통한 문학치료 연구, 건국대학교 학위논문, 2005
김만중, <구운몽>, 민음사, 2003.01.20. 23-24p, 88-89p, 114-115p, 165-166p, 190-191p, 227-228p
네이버 지식백과,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인생사 덧없다. 구운몽, 2012
[참고문헌]
<구두쇠 개심시킨 공수래공수거>,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4-6, 659; 5-7, 99.
<도둑 잡은 아이>,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1-4, 113, 938; 7-11, 805.
김미애, <구운몽>의 감상과 재창작을 통한 문학치료 연구, 건국대학교 학위논문, 2005
김만중, <구운몽>, 민음사, 2003.01.20. 23-24p, 88-89p, 114-115p, 165-166p, 190-191p, 227-228p
네이버 지식백과,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인생사 덧없다. 구운몽,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