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종석의 『조선로동당 연구-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Ⅰ. 주요 내용 요약
연구 목적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과 구조는 주체사상과 유일지도체계.
-주체사상과 유일지도체계는 북한사회의 사회운용 논리와 사회운영을 규정하는 핵심.
-일반적인 공산당과 구별되는 특징.
유일지도체계란
-북한 조선로동당 지도체계인 유일지도체계는 절대권력자인 수령을 중심으로 전체 사회가 하나의 틀로 편재돼 있는 정치체계를 의미.(cf. 단일지도체계 : 1인의 절대권력자에 의해 물리력을 기초로 해서 운용되는 지도체계)
-단일지도체계가 주로 힘의 통치(지배)에 의존해 존립하는데 비해 유일지도체계는 힘 뿐 만 아니라 이 체계를 합리화시켜주는 이데올로기와 사회문화적 정서까지 스스로 재생산함.
-유일지도체계는 유기성이 매우 높은 사회체제를 지향하는 이른바 유기체적 체계관에 기초하고 있음. 단일지도체제로부터 질적 변환을 한 지도체제.
-유일지도체계는 혁명적 수령관에 기초해서 제시되는 ‘수령-당-대중의 통일체’를 관통하는 지도체계.
조선로동당
-탈식민상태에서 이미 국가권력을 장악하고 사회주의로의 이행과 혁명건설을 주도해가는 대중적 전위정당임.
-노동자계급의 광범위한 투쟁 속에서 형성된 당이 아니라 해방이라는 특별한 국면 속에서 반외생적으로 탄생한 정당.
제1부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 주체사상. 그 이론과 역사
제1장 주체사상의 이론구조
-주체사상은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과 김일성주의를 일컫는 넓은 의미의 주체사상을 나뉨.
-1982년 김정일이 발표한 ‘주체사상에 대하여’에서 체계화됨.
-1967년 이전의 주체사상(북한사회주의 발전전략적 차원에서 제시된 것)과 이후의 주체사상(유일체계 구축을 위한 지배권력의 통치담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재하면서 변질됨)으로 구분됨.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은 철학적 원리, 사회역사 원리, 지도적 원칙으로 구성됨.
☞철학적 원리:주체사상은 사람 중심의 새로운 철학사상/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 사람은 자주성과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 사회적 존재인 사람의 ‘사회정치적 생명’으로 규정됨.
☞사회역사 원리: 철학적 원리에서 밝혀진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에 기초해 사회
Ⅰ. 주요 내용 요약
연구 목적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과 구조는 주체사상과 유일지도체계.
-주체사상과 유일지도체계는 북한사회의 사회운용 논리와 사회운영을 규정하는 핵심.
-일반적인 공산당과 구별되는 특징.
유일지도체계란
-북한 조선로동당 지도체계인 유일지도체계는 절대권력자인 수령을 중심으로 전체 사회가 하나의 틀로 편재돼 있는 정치체계를 의미.(cf. 단일지도체계 : 1인의 절대권력자에 의해 물리력을 기초로 해서 운용되는 지도체계)
-단일지도체계가 주로 힘의 통치(지배)에 의존해 존립하는데 비해 유일지도체계는 힘 뿐 만 아니라 이 체계를 합리화시켜주는 이데올로기와 사회문화적 정서까지 스스로 재생산함.
-유일지도체계는 유기성이 매우 높은 사회체제를 지향하는 이른바 유기체적 체계관에 기초하고 있음. 단일지도체제로부터 질적 변환을 한 지도체제.
-유일지도체계는 혁명적 수령관에 기초해서 제시되는 ‘수령-당-대중의 통일체’를 관통하는 지도체계.
조선로동당
-탈식민상태에서 이미 국가권력을 장악하고 사회주의로의 이행과 혁명건설을 주도해가는 대중적 전위정당임.
-노동자계급의 광범위한 투쟁 속에서 형성된 당이 아니라 해방이라는 특별한 국면 속에서 반외생적으로 탄생한 정당.
제1부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 주체사상. 그 이론과 역사
제1장 주체사상의 이론구조
-주체사상은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과 김일성주의를 일컫는 넓은 의미의 주체사상을 나뉨.
-1982년 김정일이 발표한 ‘주체사상에 대하여’에서 체계화됨.
-1967년 이전의 주체사상(북한사회주의 발전전략적 차원에서 제시된 것)과 이후의 주체사상(유일체계 구축을 위한 지배권력의 통치담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재하면서 변질됨)으로 구분됨.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은 철학적 원리, 사회역사 원리, 지도적 원칙으로 구성됨.
☞철학적 원리:주체사상은 사람 중심의 새로운 철학사상/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 사람은 자주성과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 사회적 존재인 사람의 ‘사회정치적 생명’으로 규정됨.
☞사회역사 원리: 철학적 원리에서 밝혀진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에 기초해 사회
추천자료
[북한 연구] - 조선로동당 연구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북한 연구] - 이종석 조선로동당 연구-지도사상과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 주체사상 그 이론...
[북한 연구] - 조선로동당 연구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 주체사상의 이론구조 ...
북한연구 주요 저작 강독 - 조선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조선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 유일지도체계의 확립 후계체제 등장
조선 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 강독 보고서 - 북한의 주체사상의 형...
조선 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 북한의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 ...
조선 로동당 연구 - 강독 보고서 - 북한의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 사회적 규정력
조선 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1~4장) - 이종석 - 주체사상 이론 역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