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씨 병(Crohns diseas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크론씨 병(Crohns dise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과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관리
1) 진단
2) 내과적 치료
(1) 약물관리
(2) 식이관리
3) 외과적 치료
(1) 전체 직장-결장 절제술
(2) 회장-직장 연결술
(3) 회장주머니-항문 연결술
(4) 소장 절제술
4) 간호

본문내용

체중과 영양섭취량 관찰
구강간호를 자주 시행하며 식전에 충분히 휴식을 취하도록 함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면 충분히 섭취하도록 격려함
크론병 환자는 질환의 악화로 장기간 음식물을 구강으로 섭취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가정에서 완전비경구영양요법을 하게됨
수술 후에는 고단백, 고탄수화물, 고칼로리의 섬유소가 적은 식이 권장
(제한해야 할 음식 : 팝콘, 땅콩류, 질긴 고기류, 껍질 있는 야채류, 쌀겨, 코코넛 등)
계속 요산치가 높으면 allpurinol 투여
하루에 1,500mL 이상 수분섭취
#3
체액 부족의 위험성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
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링함
설사와 구토의 양상 관찰
매일 체중 측정
점막과 피부가 건조한지, 피부긴장도가 떨어지는지 등 수분과 전해질의 심한 불균형이 나타나는지 관찰
#4
급성/만성 통증
통증의 양상을 사정하고 악화 또는 완화시키는 요인 확인
무릎을 구부린 자세와 같이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격려하고 안위간호 제공
통증 양상의 변화, 복부팽만, 체온상승, 혈압하강 등 합병증의 발병 여부 확인
진통제, 항경련제를 투여하며 마약성 진통제는 독성 거대결장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사용
#5
비효율적 대처
정서적 요인들이 질병의 원인으로는 작용하지 않으나 질병의 진행과정에는 영향미침
환자가 말하는 것을 경청하고, 환자가 효율적인 대처기술을 사용하며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
환자에게 회장루술을 시행할 계획이라면 장루는 삶의 위기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줌
환자가 자가간호가 힘들다면 방문간호사가 필요한 추후 교육 시행
#6
피부통합성 장애
Karaya 고무나 하이드로콜로이드 웨이퍼 등 피부 보호막판이 부착된 주머니를 개구부에 꼭 맞도록 부착함으로서 피부자극 감소
곰팡이균 칸디다에 의해 피부감염이 생기면 Nystatin과 같은 항진균성 분말을 직접 감염된 피부에 뿌려준 후 피부 보호제를 덧발라줌
장루 주변의 피부 손상은 대변, 테이프나 피부보호판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너무 거칠게 또는 잦은 주머니의 교환, 감염 등에 의해 발생
#7
지식부족 : 수술 후 관리
회장직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의 교육목표는 직장이 지나치게 팽창되기 전에 배변을 하는 것
이 수술에 적응한 환자들은 하루 4~5회 배변함
과거에 설사를 일으켰던 음식물은 피하도록 하며 한 번에 한 가지씩 새로운 음식물을 먹도록 하여 그 음식물에 대한 신체의 반응 확인
식이는 제한하지 않지만 탈수를 피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수분 섭취
회장주머니-항문문합술을 받은 환자는 배변 감각에 반응하는 것을 배워야 대변이 흘러넘치는 일이 생기지 않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변이 굳어지므로 대부분 하루 5~6회 배변
적절한 수분섭취
회장루술을 한 환자는 곧바로 자가간호를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 습득
4) 간호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441-450
Joyce M. Black 외(2013), 성인간호학, 정다미디어, p449-460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339-406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