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판단하는 데 비판적이 되도록 도와주고,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상에서 그 뜻대로 살도록 지혜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그는 종교의식이 상징적 행위라고 믿는다. 예배생활을 통해 종교의식과 사회행동을 연합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웨스터호프는 예배를 신앙공동체의 행위로 본다. 종교의식과 사회행동을 연합하기에 두 행동은 예배에 의해 협력된다, 웨스터호프에 있어서 가장 큰 쟁점은 예배와 교육을 함께 말하는 것이다. 교회 안에서의 예배와 종교의식의 측면들은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차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웨스터호프의 영성 교육의 4단계에서 첫 번째 단계는 회중을 중심으로 목회와 교육을 반영한 단계이다. 그가 말하는 영성교육의 뿌리는 회중의 삶, 간세대간의 경험, 예배와 공동적 제의에 중심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웨스터호프의 영성교육의 첫 단계는 회중을 중심으로 목회와 교육을 반영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과거 회중 중심의 목회 경험과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면서 교육, 예배, 전도, 사회운동과 목회의 다양한 측면들을 다루게 된다. 세 번째 단계는 기독교교육의 학문적인 영향을 끼치는 단계로서 창조의 교리와 성육신의 신학을 강조하게 되었고, 그에게 있어 문화의 변혁자로 나타나게 된다. 네 번째 단계는 기독교 신앙과 삶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카테케시스의 과정에 초점을 두며 터툴리안의 유명한 말, “그리스도인은 만들어지는 것이지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라는 명구에 카테케시스를 동일시한다.
제 3 부 대안적 교육 모델
제5장 비판적 문화교육학: 교육학적 접근
기독교 교육의 대안적 교육 모델로 생명교육이 제시된다. 생명교육이 대안적인 교육문화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신학적 반성이 요구된다. 첫째, 십자가의 정신이다. 생명의 원리는 한 생명이 죽고 희생할 때만 가능하다. 기독교의 생명은 타인에게 나누고 줌으로서 그 가치를 얻는다. 이러한 원리가 십자가이다. 이 생명의 원리에는 십자가 정신이 요구되며, 십자가 없이 부활 없듯이 생명과 십자가 정신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둘째 영혼의 사랑이다. 교회는 알게 모르게 교회 성장을 강조해 왔다. 이것이 교회교육 실패의 원인이다. 교회 성장에는 한 영혼을 사랑하는 것보다도 교회주의가 더 크게 자리하고 있다. 이런 위기 속에서 얼마나 모이는가보다는 무엇을 어떻게 사랑하느냐를 깨닫게 하는데 있다. 샛째, 더불어 살아가는 마음이다. 생명문화에 있어서 생태계와 환경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문제이다.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연대성을 의미한다. 연대성은 서로 간에 책임을 지며 더불어 살아가는 언약이다. 교육이론은 세 가지의 접근 방법으로 분류하는데, 첫째는 구조적 기능론으로 보수적 또는 긍정적인 사회학적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사회적 규범과 가치가 학교 현장을 통하여 전달되고 계승되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는 사회-현상학적 접근으로서 흔히 신교육사회학 방법이라고 부르며 기능적 방법론을 극복하여 클래스룸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만남을 강조한다. 셋째는 급진적 접근 방법으로서 경제, 사회, 문화적 재생산 사이의 관계성을 강조한다. 신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어떻게 사회적 재생산이 클래스룸의 사회적 관계와 연결되고,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이 잘못된 의식화 교육인지를 비판한다.
교육학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헨리 지루의 비판-문화의 교육 방법이 있다. 지루는 가능성의 언어를 교육의 방법으로 내세우면서 진보적 교육을 유지한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비판적이며 문화적 정치로서의 새로운 학교교육을 받아들이라는 의도이다. 학교는 좁은 의미에서 기술을 습득하는 곳이 아니고 비판적 시민성, 민주주의, 시민 용기, 유기적 지식인으로의 훈련을 경험하는 공공의 장이다. 비판적인 교사는 학생들이 학교 제도 속에서 어떻게 침묵하고 있는가를 인식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저항의 힘을 기르게 하고, 사회적 상상력을 연습하게 함으로써 주체적인 인간으로 서게끔 도와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루는 비판적이며 가능성의 언어를 방법으로 택한다. 지루는 문화적 정치의 형태로서 학교교육을 이해하며 학생들의 소리를 중요시 한다. 지루는 인간 존재가 이데올로기 안에 살고 있다고 믿는다. 지루가 보는 이데올로기는 근본적으로 이익과 관계되는 것이다. 인간의 이익이란 학교와 넓은 사회에서 지식과 힘의 관계로 구체화된다. 지루는 학교가 민주적 공적 공간으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공간은 교회, 정치 조직, 사회적 운동이 일어나는 곳으로, 이곳들은 대화와 의견이 상호 교환되며 민주주의와 사
웨스터호프의 영성 교육의 4단계에서 첫 번째 단계는 회중을 중심으로 목회와 교육을 반영한 단계이다. 그가 말하는 영성교육의 뿌리는 회중의 삶, 간세대간의 경험, 예배와 공동적 제의에 중심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웨스터호프의 영성교육의 첫 단계는 회중을 중심으로 목회와 교육을 반영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과거 회중 중심의 목회 경험과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면서 교육, 예배, 전도, 사회운동과 목회의 다양한 측면들을 다루게 된다. 세 번째 단계는 기독교교육의 학문적인 영향을 끼치는 단계로서 창조의 교리와 성육신의 신학을 강조하게 되었고, 그에게 있어 문화의 변혁자로 나타나게 된다. 네 번째 단계는 기독교 신앙과 삶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카테케시스의 과정에 초점을 두며 터툴리안의 유명한 말, “그리스도인은 만들어지는 것이지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라는 명구에 카테케시스를 동일시한다.
제 3 부 대안적 교육 모델
제5장 비판적 문화교육학: 교육학적 접근
기독교 교육의 대안적 교육 모델로 생명교육이 제시된다. 생명교육이 대안적인 교육문화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신학적 반성이 요구된다. 첫째, 십자가의 정신이다. 생명의 원리는 한 생명이 죽고 희생할 때만 가능하다. 기독교의 생명은 타인에게 나누고 줌으로서 그 가치를 얻는다. 이러한 원리가 십자가이다. 이 생명의 원리에는 십자가 정신이 요구되며, 십자가 없이 부활 없듯이 생명과 십자가 정신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둘째 영혼의 사랑이다. 교회는 알게 모르게 교회 성장을 강조해 왔다. 이것이 교회교육 실패의 원인이다. 교회 성장에는 한 영혼을 사랑하는 것보다도 교회주의가 더 크게 자리하고 있다. 이런 위기 속에서 얼마나 모이는가보다는 무엇을 어떻게 사랑하느냐를 깨닫게 하는데 있다. 샛째, 더불어 살아가는 마음이다. 생명문화에 있어서 생태계와 환경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문제이다.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연대성을 의미한다. 연대성은 서로 간에 책임을 지며 더불어 살아가는 언약이다. 교육이론은 세 가지의 접근 방법으로 분류하는데, 첫째는 구조적 기능론으로 보수적 또는 긍정적인 사회학적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사회적 규범과 가치가 학교 현장을 통하여 전달되고 계승되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는 사회-현상학적 접근으로서 흔히 신교육사회학 방법이라고 부르며 기능적 방법론을 극복하여 클래스룸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만남을 강조한다. 셋째는 급진적 접근 방법으로서 경제, 사회, 문화적 재생산 사이의 관계성을 강조한다. 신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어떻게 사회적 재생산이 클래스룸의 사회적 관계와 연결되고,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이 잘못된 의식화 교육인지를 비판한다.
교육학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헨리 지루의 비판-문화의 교육 방법이 있다. 지루는 가능성의 언어를 교육의 방법으로 내세우면서 진보적 교육을 유지한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비판적이며 문화적 정치로서의 새로운 학교교육을 받아들이라는 의도이다. 학교는 좁은 의미에서 기술을 습득하는 곳이 아니고 비판적 시민성, 민주주의, 시민 용기, 유기적 지식인으로의 훈련을 경험하는 공공의 장이다. 비판적인 교사는 학생들이 학교 제도 속에서 어떻게 침묵하고 있는가를 인식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저항의 힘을 기르게 하고, 사회적 상상력을 연습하게 함으로써 주체적인 인간으로 서게끔 도와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루는 비판적이며 가능성의 언어를 방법으로 택한다. 지루는 문화적 정치의 형태로서 학교교육을 이해하며 학생들의 소리를 중요시 한다. 지루는 인간 존재가 이데올로기 안에 살고 있다고 믿는다. 지루가 보는 이데올로기는 근본적으로 이익과 관계되는 것이다. 인간의 이익이란 학교와 넓은 사회에서 지식과 힘의 관계로 구체화된다. 지루는 학교가 민주적 공적 공간으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공간은 교회, 정치 조직, 사회적 운동이 일어나는 곳으로, 이곳들은 대화와 의견이 상호 교환되며 민주주의와 사
소개글